|
고대 이집트에서 아직도 배울 것이 있음을 깨닫게 해준, 놀란만한 새로운 발견이 1993년에 있었다. 더욱이 이 발견은 세월만 낭비하는 고고학자가 발견한 것이 아니라 일반인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천문학에 밝은 벨기에 건축기사인 로버트 보발이 하늘과 기자의 피라미드와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이다. 지면에만 관심을 가졌던 전문가들이 놓친 분야이다.
보발의 발견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오리온자리의 세 별은 기자의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데, 일직선이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래쪽 두 개의 별인 알 니탁과 알 닐람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세 번째 별인 민타카는 그 선에서 왼쪽 즉 동쪽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듯이 보인다.
흥미롭게도 기자의 세 피라미드와 배치가 동일하다.


기자 피라미드의 항공사진
보발은 하늘에서 기자 묘지를 살펴본 후에 쿠푸 왕의 피라미드는 알 니탁의 위치에, 카프레 왕의 제 2 피라미드는 알 닐람의 위치에, 멘카우레 왕의 제 3 피라미드는 이 두 피라미드를 연결하는 선의 동쪽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으로 별의 장엄한 구도가 완성된다.



정말로 기자의 세 피라미드는 이처럼 배치되었던 것일까? 보발의 그후의 연구성과는 수학자들과 천문학자들로부터 전면적인 지지를 받았다. 보발의 천재적인 직감이 옳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다. 그의 증거는 세 피라미드가 믿기 어려울 정도로 정확하게 오리온자리의 세 별과 대응되고 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또한 별들의 상호 위치관계와 광도까지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이 천체도는 남북으로 퍼져나가서 기자 대지의 다른 건출물들도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 건출물들 역시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보발의 천문학적 계산이 초래한 경이로움은 다른 곳에 있다. 보발에 의하면 대피라미드가 천문학적으로 "피라미드 시대"와의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자의 건축물 전체의 배치를 보면 그들이 나타내고 있는 천체도는 기원전 2500년경의 제 4 왕조 때가 아니라 기원전 1만450년경의 것이라고 한다.
보발의 천문학적 자료와 비슷한 그 증거는 항상 존재했지만 귄위주의적인 이집트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미국 학자 존 앤소니 웨스트는 확실한 증거를 제시하며, 나일 강 유역에는 기원전 1만 년 전이나 아니면 그보다도 이전에 고도의 문명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것은 기자의 스핑크스와 밸리 신전, 거기에서 좀더 남쪽에 있는 아비도스의 오시레이온이다. 웨스트는 이 사막의 건축물에는 과학적으로 부인할 수 없을 정도로 확실하게 비에 의한 마모의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한다.


돌을 마모시킨 것은 비가 아니면 안 된다. 대량의 비가 내린 때는 마지막 빙하시대가 끝날무렵에 있었던 "강우기" 즉 기원전 1만1000 - 기원전 1만 년경이라고 한다. 이 특이하고 아주 또렷한 형태를 남긴 "강우량에 의한" 침식현상의 흔적이 오시레이온, 스핑크스 그리고 그외의 이 건축물에 남아 있다. 이것은 그 건축물들이 기원전 1만 년 전 이전에 지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새로운 이론은 "뛰어난 이집트학자들"의 반발을 초래했지만 어떠한 상황에서도 사라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다른 분야의 학자들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 학자들은 다름 아닌 지질학자들이다.
그후로 지질학자들과 이집트학자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는데, 대부분이 공개석상에서 행해졌다.
나도 과거 4년 동안 돌아다니며 조사하고 연구한 결과 전설들이 사실일 수도 있다는 경이로운 가능성을 깨닫게 되었다. 이제까지 서로 연관이 없다고 생각했던 조사의 여러 가지가 완전하게 연결되고 천문학적 또는 지질학적으로 사라진 지문이 떠오르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나일 강 유역이 본거지가 아닐지도 모르지만, 기원전 1만1000 - 기원전 1만 년경에 사라진 문명이 이 땅에 존재했던 것 같다.
▣ 시대별 스핑크스

1858년

1890년

1930년

1937년
자료 출처 :
그레이엄 핸콕의 <신의 진문 下> 中 편집
| |
첫댓글 원본 게시글에 꼬리말 인사를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