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3로 스위치인데 1개를 2개소, 예를 들면 1층과 2층 사이의 계단에 있는 등을 점멸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스위치를 사러 가실 일이 있으시다면, 뒷면을 보면 회로도가 아래와 같이 표시되어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단극 스위치이고, 방금 말한 용도는 3로 스위치 2개를 사용하여 배선합니다. 공통부분을 따로 빼고, 분리된 부분을 하나씩 이어주면, 상 하나를 양쪽에서 개방 및 단락이 가능하여 조정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질문하신 3개 장소는 3로 스위치의 연결사이에 4로 스위치를 하나 넣으면 해결됩니다. 4로 스위치는 조작할 때마다 위의 연결과 아래의 연결을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차단된 쪽과 연결된 쪽을 바꿔주면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지요.
참고로 4개장소 이상 연결하신다면, 두 3로 스위치 배선 사이에 4로 스위치를 늘어난만큼 추가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계전기를 이용한 시퀀스도는 더 간단합니다. 계전기 하나와 자기유지접점 기본회로를 구성하신 다음에 늘어난만큼 접점을 늘려주시면 됩니다. ON버튼은 자기유지접점에 병렬로, OFF버튼은 계전기 전원 윗부분에 병렬로 늘어난 만큼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참고하시라고 간단하게 텀블러 스위치와 회로도를 그려봤습니다. 부족하지만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