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개의 물의 장면 / 이정은 제주 N 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1
11월, 시침은 어디로 가고 없을까
카라꽃 조화를 11년째 키우고 있어요
물 없는 화병에서 꽃대는 올라오고
하얀 꽃잎은 향기를 뿜은 듯 버성기네요
속아주어야겠어요, 꽃이고 싶어 하잖아요
빈 화병에 물을 줍니다
찰랑찰랑 아파트 지하 수면실로 타고 내려가요
보일러 아저씨 잠이 깨요
달력 한 장 젖어요
2
양수리 두물머리
검푸른 물의 흐름이 엉켜있어요
마른 장작 타는 체취, 당신을 불러들인 건 나의 실수였습니다
목으로 넘어가는 와인 한잔이 나의 독주이기를
같이 했던 시간들은 윤슬처럼 흩어집니다
물의 카페에서 멀어질 때까지
3
어쩌지, 양수가 흘러내려
생명 다한 꺼져가는 촛불에게
해 줄 수 있는 건 없어
녹아 굳어버린 촛농들을
무덤 삼아 수그러드는
작은 호흡
물의 끝은 여기까지
인큐베이터 안이 추워
4
어느 시인과 사랑을 했어요
더 이상 뭘 원하시는 거죠
울음을 터뜨린 한 영아를 삼킨 곳
스무 몇 해나 지나서도 누구나 그 수심을 몰라요*
5
구피의 유영이 당신의 눈동자를 흐리게 하지요
몰려다니다가도 삐진 양 꼬리치며 돌아서는
구피의 번식력이 안방을 휘젓고 있죠
앉아 있을 장소조차 없이 불어난 구피 종자들
쏟아진 물난리에 익사를 조심하세요
물의 장면, 되돌이표를 그려 넣을까요
이정은 시인의 시 ‘다섯 개의 물의 장면’은 소설에서 흔히 쓰이는 옴니버스식 구성을 따르고 있다. 이런 시적 구성이 처음은 아닐지라도, 시의 형식적 가능성에 대한 질문인 듯하다. 물에 관련한 다섯 개의 장면은 시인의 무의식 속에 남아있는 기억인 동시에 세계의 비극성에 대한 확인이다.
첫 번째 물의 장면은 11년 동안 키운 카라꽃 조화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화자는 자라지 못하고, 향기 없는 카라꽃 물병에 물을 준다. 이 행위가 암시하는 비극적 상황이 일거에 우리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죽어있는 꽃이란 존재에 대한 지극 정성은 자신의 결핍을 채우기 위한 몸부림이거나, 죽어가는 것들에 대한 래퀴엠으로 읽힌다.
두 번째 장면은 우리를 양수리의 어떤 카페로 인도한다. 그곳에서 화자는 마른 장작 타는 채취의 당신과 이별한다. 목으로 넘어가는 와인은 독주이며, 당신과의 관계는 검푸른 물의 흐름이 엉켜버린 것처럼 암울하다.
세 번째 꺼져가는 생명에 대한 슬픔 속으로 우리를 끌어드린다. 양수가 흘러내리고, 위태로운 태아는 인큐베이터 속에서 호흡을 멈춘다. 시인의 무의식 속에 내재하던 어떤 희망의 상실을 통해 세계의 비극적 인식이 확장된다.
네 번째 시인은 김종삼의 시를 인용하고 있다. 울고 있는 아이, 그리고 죽음, 폭력적이고 비정한 세상에서 이유도 모른 채 죽어가는 순진무구한 한 아이를 통해서 이 시대의 비극성은 절정에 달한다.
구피들이 유영하고 있는 어항 속은 아마도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계인 듯하다. 어항 속에서 엄청난 번식력을 지닌 구피들은 앉을 장소도 없이 번식하고, 그런 존재들에게 시인은 경고한다. -쏟아진 물난리에 익사를 조심하세요.-
끝이 아니다. 시인은 이러한 물의 장면들에 도돌이표를 그려 넣음으로써 섬뜩하고 폭력적인 비극의 역사는 반복될 것이라는 예언을 잊지 않는다.
서상민 시인
첫댓글 살아가는 아우성 소리들
모두 종착은 끝내 못찾는
미스터리 깊은 비애속에
살아가는 세상을 생각하며
물결에 물어봅니다
나는 어디에있니
너는 어떤 색으로
살고있니
물에 관련한 다섯 개의 장면에 우리네 각각의 삶을 투영해봅니다. 그래서 더 애잔하고 처연합니다. 그런 아침을 맞이하면서 오늘은 다른 장면의 나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