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 석 달 월(月)과 마찬 가지로 달의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즉 저녁이 되면 달이 뜨기 때문이다. 저녁 석(夕)자가 달 월(月)의 옛 글자이기도 하다.
▶ 名 : [회의]이름 명, 저녁 석(夕) + 입 구(口) 저녁(夕)이 되어 어두워지면, 입(口)으로 이름(名)을 불러 서로를 분간한데에서 유래. - 명찰(名札) : 이름표 ▶ 外 : [회의]벗어날 외, 바깥 외, 점 복(卜) + 저녁 석(夕) 고대 중국 사람들은 점(卜)을 아침에 쳐야지 저녁(夕)에 치면 맞지 않는다는 의미로 벗어난다라는 의미를 가짐 - 내외(內外) : 안과 밖 ☞ 卓 : [회의]높을 탁, 점 복(卜) + 일찍 조(早) 고대 중국 사람들은 아침 일찍(早) 치는 점(卜)의 적중율이 높다(卓)는데에서 유래 ▶ 夢 : [회의]꿈 몽, 풀 초(艹) + 눈 목(目→罒) + 덮을 멱(冖) + 저녁 석(夕) 눈(目)을 강조한 사람이 침상(冖)에 누워 있는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에 저녁 석(夕)자를 추가하여 꿈을 꾼다는 의미를 나타내었다. - 비몽사몽(非:아닐 비 夢:꿈 몽 似:비슷할 사 夢:꿈 몽) : "꿈이 아니면서 꿈과 비슷하다"라는 뜻으로, 꿈 속 같기도 하고 꿈을 깬 상태 같기도 한 어렴풋한 상태를 일컬음 ▶ 夜 : 밤 야, 저녁 석(夕) + [또 역(亦)의 변형자→야] 밤에 달이 뜨니까, 달을 의미하는 석(夕)자가 들어간다. 부수가 석(夕)자임을 명심하자. - 야간(夜間) : 밤 동안 ▶ 多 : [회의]많은 다, 고기 육(肉→月)의 변형자 + 고기 육(肉→月)의 변형자 저녁 석(夕)자를 두개 곂쳐놓은 많은 다(多)자는 저녁과는 상관없다. 상형문자를 보면 고기를 쌓아 놓은 모습으로 많다는 의미를 가진다. - 다다익선(多:많은 다 多:많은 다 益:더할 익 善:착할 선) :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사마천이 지은 사기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나오는 말로, 중국 한나라의 장수 한신이 고조와 이야기할 때, 고조는 10만 명 지휘할 수 있지만, 자신은 병사의 수가 많을수록 잘 지휘할 수 있다고 이야기 한 후, 고조의 10만 명이란 자신과 같은 장수를 의미한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