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TA 체결 후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베트남 교역만 증가세 -
- EAEU 국가의 전반적인 경기회복으로 FTA 기대효과는 소폭 상승 -
- EAEU 회원국들 모두 제조업 산업육성이 기본 정책으로 추진 중으로, 교역보다 투자협력이 중요 -
□ EAEU-베트남 FTA 체결 후 교역변화
ㅇ 베트남은 EAEU와 FTA를 체결한 첫번째 국가로, 2013년 3월부터 협상이 시작됐고 2015년 5월 29일 체결 후 2016년 10월 5일부터 발효
- 체결 당시 관세 인하 합의 내용으로, EAEU 측은 거래품목의 88%를 관세인하하는 목표로 59%는 발효 즉시 인하하고, 29%는5~10년 내 점진적으로 인하하겠으며, 베트남 측은 총 89%의 거래품목 관세를 인하하고 발효 즉시 59% 품목 관세를 인하하고 나머지 30%는 EAEU 측과 유사한 기간 동안 인하하겠다는 것임.
- FTA 체결 당시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는 약 40억 달러인 교역규모가 2020년까지 100억 달러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EAEU(유라시경제연합체) 개요
- 가입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5개국) - 경제규모: 세계 무역규모의 3.7% 차지, 인구 1억800만 명(세계인구 2.5%), 석유(세계 1위, 14.6%), 가스(세계 2위, 18.4%),전력(세계 4위, 5.1%) - EAEU FTA 체결 희망국(12개국): 이집트, 이스라엘,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이란, 캄보디아, 베네수엘라, 니콰라이, 페루, 칠레,한국 |
ㅇ FTA 체결 전인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러-베 교역량은 약 38억 달러 수준을 유지
- 2015년 기준 대러시아 베트남 수출은 21억 달러, 대베트남 러시아 수출은 18억 달러였음.
- 대러시아 베트남 주요 수출품목은 전자기기(38% 이상)이며, 섬유·의류·신발 등(21%), 식료품(어류·과일·견과류·커피, 곡물 등 13%) 등임.
- 대베트남 러시아 주요 수출품목은 선박 및 보트(구조물 포함, 25%), 전자기기(약 10%), 철금속(약 6%), 석유 및 석유제품(6%)등임.
ㅇ EAEU-베트남 FTA 발효 후 러시아-베트남과 카자흐스탄-베트남 교역은 증가세
- 2017년 1분기 양국 교역량은 전년동기 대비 23.9% 증가한 9억8540만 달러로, 대러시아 베트남 수출은 약 6억7000만 달러, 대베트남 러시아 수출은 약 30억 달러 수준임. 대베트남 러시아 주요 수출품목은 철광 및 철금속, 석유가스, 비료 등이나 FTA 체결 후 곡물 수출이 크게 증가(약 1억1600만 달러)했다는 게 특이사항임.
- 대러시아 베트남 수출은 27.6% 증가했고, 대베트남 러시아 수출은 1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17년 1~5월 교역규모는 총금액만 발표됐으며, 세부사항(품목별) 수치는 부재
러시아-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증감률 2015/2016 | 2017년 1분기 | 증감률 2017/2016 | 2017년 1~5월 | 증감률 2017/2016 |
러시아-베트남 교역규모 |
3,747.1 | 3,895.6 | 3,837.9 | -1.5 | 985.4 | 23.9 | 1645.7 | 20.1 |
대베트남 러시아 수출 |
1,451.8 | 1,842.2 | 1,372.3 | -25.5 | 309.7 | 16.6 | 460.4 | -2.8 |
대러시아 베트남 수출 |
2,295.3 | 2,053.4 | 2,465.6 | 20.1 | 675.7 | 27.6 | 1185.3 | 32.2 |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R.F. Federal Customs Service
베트남의 대러시아 주요 수출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품목 | 2015년 | 2016년 | 2017년 1분기 |
수출액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 총계 | 2,053.4 | 2,465.6 | 20.1 | 675.7 | 27.6 |
1 | 전자기기 | 922.6 | 1,151.1 | 24.8 | 51.19 | 59.52 |
2 | 신발 | 213.2 | 268.1 | 25.8 | 11.79 | 20.39 |
3 | 기타 기기 | 197.0 | 197.2 | 0.1 | 7.67 | 29.96 |
4 | 양념, 차, 커피 등 | 147.3 | 183.1 | 24.4 | 6.63 | 4.35 |
5 | 울(의류) | 149.7 | 145.4 | -2.9 | 5.03 | 12.99 |
6 | 니트류 | 54.1 | 76.9 | 42.2 | 3.84 | 57.4 |
7 | 수산물 | 76.8 | 89.2 | 16.0 | 3.2 | 15.16 |
8 | 저장식품(캔 등) | 25.5 | 22.1 | -13.3 | 1.17 | 104.25 |
9 | 피혁 및 가방류 | 30.3 | 31.7 | 4.7 | 0.97 | -15.35 |
10 | 장난감, 스포츠용품 | 14.4 | 18.6 | 29.3 | 0.85 | 112.33 |
자료원: 러시아 관세청
러시아의 대베트남 주요 수출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번 | 품목명 | 2015년 | 2016년 | 2017년 1분기 |
수출액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 총계 | 1,842.2 | 1,372.3 | -25.5 | 309.7 | 16.6 |
1 | 곡물 | 0.1 | 19.5 | 30,890.2 | 50.9 | 0 |
2 | 철금속 | 9.1 | 137.0 | 1,408.7 | 46.4 | -36.54 |
3 | 원유 | 193.2 | 223.5 | 15.7 | 18.4 | -23.65 |
4 | 비료 | 100.1 | 83.4 | -16.7 | 15.6 | -29.24 |
5 | 전자기기 | 155.4 | 67.3 | -56.7 | 13.3 | 86.2 |
6 | 기타 기기 | 21.2 | 60.4 | 185.5 | 10.7 | 17.92 |
7 | 육류 | 3.6 | 15.7 | 333.9 | 4.6 | 504.63 |
8 | 종이 및 보드 | 10.8 | 12.0 | 11.0 | 4.1 | 62.96 |
9 | 희금속 | 19.1 | 12.5 | -34.3 | 3.2 | -2.8 |
10 | 유황, 나트륨 등 | 19.5 | 14.3 | -26.8 | 116.4 | 11 |
자료원: 러시아 관세청
- 카자흐스탄-베트남 교역은 2016년 기준 전년대비 78%가 증가한 3억661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FTA 체결 후 시점인 2017년 상반기 기준해 전년대비 92.7% 증가한 2억7100달러를 기록해 EAEU 국가 중 가장 큰 FTA 효과를 누린 것으로 나타남. 특히 2016년부터 대베트남 카자흐스탄 석유가스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
- 벨라루스의 경우 2016년 교역액은 오히려 감소했으나 2017년 1~5월 동안 73%가 증가함.
- 아르메니아-베트남 교역액은 연간 1200만 달러 이상으로 2016년 기준해 교역액이 오히려 감소했음. 2017년 1~5월 기준 교역액도 약 -10%를 기록, 교역 대부분이 대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수출 규모임.
- 키르기스스탄-베트남 교역액은 연간 300만~5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하고 2017년 1~5월 기준 12% 감소했음. 대베트남 키르기스스탄 수출은 크게 증가했으나 규모는 30만 달러에 불과함.
카자흐스탄-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증감률 2015/2016 | 2017년 상반기 | 증감률 2017/2016 |
카자흐스탄-베트남 교역규모 |
272.9 | 205.8 | 366.1 | 77.9 | 271.3 | 92.7 |
대베트남 카자흐스탄 수출 |
1.7 | 10.4 | 167.3 | 1 507.5 | 146.3 | 174.5 |
대 카자흐스탄 베트남 수출 |
271.2 | 195.4 | 198.8 | 1.7 | 125.0 | 43.0 |
자료원: WTA
벨라루스-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증감률 2015/2016 | 2017년 1~5월 | 증감률 2017/2016 |
벨라루스-베트남 교역규모 |
N/A | 150.0 | 121.0 | -19.2 | 47.6 | 73.0 |
대베트남 벨라루스 수출 |
N/A | 111.4 | 76.8 | -31.1 | 27.9 | 107.5 |
대벨라루스 베트남 수출 |
N/A | 38.3 | 44.2 | 15.3 | 19.7 | 40.0 |
자료원: WTA
아르메니아-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증감률 2015/2016 | 2017년 1~5월 | 증감률 2017/2016 |
아르메니아-베트남 교역규모 |
N/A | 14.6 | 12.5 | -14.0 | 4.7 | -9.9 |
대베트남 아르메니아 수출 |
N/A | 0.1 | 0.02 | -82.9 | 0.01 | - |
대아르메니아 베트남 수출 |
N/A | 14.4 | 12.5 | -13.4 | 4.7 | -10.1 |
자료원: WTA
키르기스스탄-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증감률 2015/2016 | 2017년 1~5월 | 증감률 2017/2016 |
키르기스스탄-베트남 교역규모 |
N/A | 5.2 | 3.3 | -37.2 | 1.2 | -12.7 |
대베트남 키르기스스탄 수출 |
N/A | 1.6 | 0.2 | -85.8 | 0.3 | 119.0 |
대키르기스스탄 베트남 수출 |
N/A | 3.6 | 3.1 | -16.1 | 0.9 | -27.3 |
자료원: WTA
□ EAEU-한국 FTA 체결 추진현황
ㅇ 2015년 11월부터 착수된 KIEP(한국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RFTA(러시아 대외무역아카데미) FTA 타당성 조사 결과가 2016년 9월에 한-러 포럼(모스크바)에서 발표된 바 있음.
- 양국 조사기관이 발표한 타당성조사 공동 결과를 요약해보면, EAEU 국가의 자국 제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양측 교역 품목 다각화가 기대되고 지방 개발을 위한 각 정부의 투자협업 중요성이 강조됐다는 점
- EAEU 경제 주축인 러시아의 경기침체 장기화로 최첨단 및 고가제품을 제외하고 중저가 상품 수요가 크게 증가 중이기 때문에 FTA 체결 시 한국 소비재 수출은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게 한국 측의 긍정적 전망
- 한편 대EAEU의 한국 주요 수출품목은 자동차, 기계, 전자제품 등 공산품 위주라서 FTA 체결 경제적 효과는 양호한 편임. 그러나 러시아 측 입장에서는 원유, 가스 등 편향적 수출구조이다 보니 FTA 체결 효과는 한국 측보다 적을 것이라는 게 포럼 참석자들의 일반적 견해였음.
- 양측의 EAEU 협력 유망분야는 발표됐으나 포럼 이후 구체적으로 진척된 바는 없음.
□ EAEU-한국 교역동향
ㅇ 한-러 교역규모는 2014년부터 감소해 2016년 기준 133억 달러이며 2017년부터 크게 증가세
- 대러시아 한국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및 부품, 중장비, 선박 등이며. 대한국 러시아 주요 수출품목은 유연탄, 원유, 가스 등임.
- 2015년 국제유가 하락, 우크라이나 사태 및 대러시아 제재 등 여러 악조건에 따라 한-러 교역은 크게 하락했음. 그러나 2016년 대러시아 한국 수출은 서서히 회복하면서 2017년 1~5월 기준 48% 교역 증가
- 대러시아 한국 기계류 수출은 2015년 교역이 크게 위축했음에도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자동차 및 부품, 선박 등은 2017년 들어서 전년 동기대비 크게 증가세 시현
- 대한국 러시아 수출은 자원 품목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수산물이 7%로 차순위를 지키고 있음. 2016년까지 지속 감소세였으나 2017년 1~5월 기준 47.8% 증가했고, 원유의 경우는 100% 증가세를 시현
러시아-한국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증감률 2015/2016 | 2017년 1분기 | 증감률 2017/2016 | 2017년 1~5월 | 증감률 2017/2016 |
러시아-한국 교역 |
27,308 | 18,041.7 | 15,118.9 | -16.2 | 4,367.5 | 28.7 | 7,802.2 | 48.1 |
대한국 러시아 수출 |
18,277.6 | 13,481.7 | 10,006.4 | -25.78 | 3,065.8 | 21.4 | 5,292.1 | 40.9 |
대러시아 한국 수출 |
9,030.4 | 4,560.0 | 5,112.5 | 12.1 | 1,301.7 | 50.2 | 2,510.1 | 66.0 |
자료원: WTA
대러시아 한국 주요 수출품목
EAEU-베트남 FTA 체결 후 교역변화-전체-kotra 해외시장뉴스.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