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어린나무
    2. 킥돌이 공
    3. 계림
    4. 선구자
    5. 함환재
    1. 聖君 光海君
    2. 깜장고무신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대종교천부경학회
    2. 슬픈고양이
    3. buff
    4. 1학년
    5. 솜소밍
    1. 상앙
    2. 고니24
    3. 빨강머리앤
    4. SAC현욱
    5. 골체부지런
 
 
카페 게시글
자유롭게 글쓰기 성씨와 족보 문제에 대해.
신농 추천 0 조회 287 11.05.10 16:13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11.05.13 21:47

    대제학님의 댓글을 볼때마다 느끼는 것인데, 제 글에 대한 지엽적인 지적들도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만, 토론시에 상황에 따라 그것이 적절한 말인지 분별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저는 지금 백제인 후손을 자처하는 성씨가 전혀 없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토론의 맥락은 지금 신라계 성씨가 많은 반면, 왜 고구려 백제계 성씨는 별로 없느냐는 것에 대한 설명인데, 그런 식의 지적은 제가 모르던 정보였다면 나름대로 의미가 있겠습니다만 제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라면 굳이 필요한 이야기는 아닐 것입니다.

  • 작성자 11.05.13 21:53

    설인귀의 사례는 자세히 모르겠지만, 성씨가 지배층의 전유물이라는 것이 틀린 말이라는 사례로 들기에는 너무나 작은 사례입니다. 저도 당장 예컨대 조선시대 천민 출신이었던 구봉 송익필 집안을 이야기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그 조상이 몰락한 명문가 사람이었거나 지파 내지 방계였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혹은 평민 출신이더라도 사성받음으로써 귀족이 되는 경우도 있었고... 경주 설씨에 대해서는 미주가효님께서 지적하셨으므로 생략하겠습니다.

  • 작성자 11.05.14 18:19

    아니 뭐 지금 본인 마음대로 타인의 이야기를 취사선택해서 이해하고 계신 겁니까? 그런 것이라면 더 이상 님의 댓글에 상대할 필요가 없겠군요.

  • 11.05.12 13:00

    댓글은 가급적 3개 이내로 할 것을 운영진은 권고하고 있습니다. 5개나 하실 것이라면 별도 답글로 다시는 것이 어떨까요? //
    1) 성과 씨의 구별 문제 : 중국에서 성과 씨를 구별했는지가 이 글에 대한 반론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 글은 '우리나라의 성씨 상황' 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지요. 예를 드시려면 우리나라에서 고대에 성과 씨를 구분하였던 사례가 있는지, 그리고 고대에 귀족층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성씨를 가졌던 사례들이 있는지를 언급하셔야 할 것입니다.

  • 11.05.12 13:09

    2) 위구르계의 경주 설씨와 신라 6부가 왜 관계가 있어야 하는지?
    경주 설씨는 한자에 따라 두어 유형이 있는데, 위구르계를 말씀하시는 것을 보니 慶州 偰氏/卨氏 계통을 지칭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 성씨는 고려 말에 귀화한 위구르계 인물로부터 기원한 것으로서 귀화 후에 경주를 본관으로 삼은 것 뿐입니다. 고려 말에 귀화한 집안이니 신라6부와 관계가 있을 리가 없지요. ??? 언제 귀화했는지도 대략 명확한 이 성씨가 왜 과거 우리가 대륙에 있었다는 근거가 되는지 그 논리를 이해할 수 없네요.

  • 11.05.15 00:20

    일부 덧글들만 안 나왔으면 좀 덜 혼란스러웠을 텐데[<-- 이정도만 하겠습니다]. 비전문가로서 수년간 재미있게 보고 있는데요. (이른바 눈팅만). 이건 그전에도 나왔던 얘기 아닌가요? 신라,가야토론방 1457번,우리의 정체성과 주체성104번,98번에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그 중 <1910년 조사에서 양반 가구수가 1.9%>밖에 안된다는 것이 인상깊었습니다만. 앞으로도 좋은 내용 부탁드리면서, 나중에 이 덧글은 삭제하겠습니다.

  • 작성자 11.05.15 02:04

    예..뭐 맞는 말씀입니다만, 사실 지난 토론 때 (저의 경우로 한정하자면) 그 때 글을 미진하게 썼다고 생각되는 점이 있어서 나름대로 더 정리해서 올려본 글입니다. 특히 족보에 대해서는 지난 토론 때에는 제가 아직 몰랐던 점들이 있어서, 본문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 사실 카페에서 어지간한 주제들은 한 차례 이상 거론된 적들이 있어서, 새로운 이야기가 나오기 쉽지 않기도 합니다. 신라 정통론 문제도 여러 차례 다뤄진 문제고요. 물론 여전히 참신한 주제들도 많이 있겠습니다만, 거기까지 생각이 미치지 못하거나 혹은 다루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겠죠.

  • 11.05.15 14:39

    대제학님. 미주가효님 말씀대로 댓글 수칙 준수해주시기 바랍니다.

  • 11.05.16 12:10

    카페에서 댓글 규제를 하는 이유는 대략 두 가지 정도 때문입니다.
    첫째는 지나치게 긴 댓글은 그 댓글에 대한 반론, 재반론까지 고려할 경우 너무 읽기가 불편해진다는 점 때문입니다. 타 카페에서 댓글이 수십개씩 달려서 종종 한 화면에 전체 댓글이 나오지 못하는 경우들도 있던데 이 경우에 상당수의 댓글은 말 그대로 '묻혀' 버립니다. 열심히 댓글을 썼음에도 남들이 거의 보지 않는 글이 된다는 것입니다. 제가 종종 몇몇 분들의 글에 쓰는 긴 답글을 댓글로 쓰게 되면 댓글 수십개까지도 쉽게 쓸 수 있는데 그러면 제 앞에 쓴 댓글을 다 묻히게 됩니다. 아무리 최신글보기 기능이 있다 한들 물량에 묻혀 버리면 답이 안 나옵니다

  • 11.05.16 12:09

    둘째는 검색의 용이성 때문입니다. 별도 답글로 달 경우, 나중에라도 검색하여 보기가 편리하여 DB화되는 면이 있지만, 댓글은 검색이 잘 안 되어 찾기가 어렵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