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상4선식. 전선 색상구분하기
삼상사선식.
3상4선식
3
Phase 4 Wire.
Three-Phase
Four-Wire .

4개의 도선 (4 Wire)으로
3상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
도선 가운데 1개는 중성점에,
다른 3개는 각각 3개의 상에 접속한다.
IEC
60446.
규격등으로 각 상별 전선의 색상을 정하기도
하는데.

신.구 색상은 2008년
전후하여 색상이 틀려짐 IEC및 싱가폴 미국등의 주요 규격

한국전력공사나 철도공사등 국내에서는
적색-LINE1(A),
백색-LINE2(B),
파랑-LINE3(C),
흑색-중성선(N)
접지-녹색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상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선 색깔에도 규격이라는게 있어서 메이커측에서는 색깔별로 구분해서 연결을 합니다. 헷갈리기 쉬운게 있어서 오늘 앰프 배딴김에 사진찍어 보여 드립니다. 사진은 오랜전통의 메킨토시 ma-6300 인티앰프 입니다. 역시나 이름있는 회사답게 정확히 극성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흑색을 우리는 흔히 - 라고 생각하기 쉬운데요, 백색과 흑색 두선이 전원선으로 쓰일 경우는 흑색이 LIVE(+) 백색이 NEUTRAL(-)입니다.
그리고 밤색과 청색을 쓴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밤색 LIVE(+) 청색 NEUTRAL(-) 입니다. 접지(Earth)는 공통으로 녹색이거나 녹색바탕에 노랑줄 입니다.
사진에서도 잘보시면 흑색선이 휴즈를 통과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IEC 컨넥터도 뒤집어져 있지만 극성이 맞음을 보여 줍니다. 이게 바로 우리가 파워코드를 극성을 구분해서 꼽아야 하는 이유 입니다.^^
극성 죽으라고 못맞추겠다는 분들은 배따고 선색깔 한번 보시는것도 좋은방법 입니다.
그런데 골때리는게 이 선색깔도 구분없이 만든 업체도 있으니 그런기계는 테스터로 찍어 보는수 밖에 없겠죠??
참고로 이색상은 국제규격 이므로 파워코드가 달려있는 앰프 예를들면 마크333,336 크렐fpb시리즈등 이런 앰프류에 117v 플러그가 달려 있을때 220v 플러그로 교체시 + - 연결 기준으로 삼으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