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각사와 동덕여대 탐방
2019년 5월 9일 오전, 외손주 유치원 등원을 시켜주고,전날 가보기로 했던 진각사와 동덕여대 탐방 길에 올랐다.
정릉역에서 보문에서 6호선으로 환승,월곡역에 하차하니 곧바로 진각사가 눈앞에 바라보였다.
진각사는 어제 찾아 보았던 법화정사보다도 훨씬 규모가 컷고,매우 멋스런 건물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법당앞에는 봉황과 용,거북선과 공작등의 이동식 조형물이 가득 널려 있었고,석가탄일과 큰 법회를 앞둔 연등도 걸려있었다.
법당안에 들어가니 마침 예불중이라서 예불 의식도 잠시 관찰하기도 하였고,상층 꼭대기와 본관 건물 전체를 한바퀴 살펴보기도...
그리고 바로 위에 자리한 동덕여대를 찾았는데,정문에서 외부인은 출입불허라고 제지를 한다.
학교관련 팜프렛이라도 달라 하였더니, 본관건물까지만 다녀오라는 승낙을 받게되어 학교 교정에 들어가 볼수는 있었다.
동덕여대를 곁눈질로 돌아보고 나와, 뒷산 월곡동 근린공원에 올라가 보았다.
오동 근린공원에는 잔디구장을 비롯해서 테니스장등 각종 체육시설이 눈에 많이 들어왔고,정상부근에 오르니 경관 좋은 숲과 걷기 좋은 산책로가 마음을 끌기도....
어디 특이한 곳이 없나 찾아 보던차,풍광이 좋다는 월곡정과 애기능터가 있다는 기록이 나타났다.
그래서 그곳을 찾아간다고 북서울 꿈의 숲쪽으로 방향을 잘못 잡았고,길을 물어볼 사람도 없던차 귀인 한분을 만났다.
어제도 귀인이 나타나 나그네를 도와줬는데,오늘도 신기하게 또 귀인을 만나다니....
그 분은 월곡동 돌산에 관한 자상한 이야기를 들려주시며,산행을 마치고도 전철 타는곳까지 친절한 배웅을 해주시기도 하였다.


진각사는 브라질 한인 불교 신자들이, 기도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 장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립되었다고 한다.
한국과 브라질이 수교(1959년)하면서, 1980년대 초반까지 한인들이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등으로 이민들을 하게 되었는데...
이들 가운데 불교 신자들이 현지에 법당을 마련하면서, 한국 사찰이 점차 여러 나라에 건립되기에 이르렀다.
진각사는 1983년 7월 24일에 영운과 정산 두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브라질 상파울루(São Paulo)에서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관음사’라고 하였는데, 이듬해 음력 4월 8일에 신자들이 부처님 오신 날 봉축행사와 함께 불교 강연회, 서예전 등을 성대히 치룬 뒤에 비로소 한인 사회에 알려졌단다.
1986년에 ‘진각사’로 이름을 바꾸었고, 1997년에는법당을 옮겨 세웠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분란이 일어나 두 곳으로 갈라졌다고 한다.
2004년에 새로운 신도회를 구성하여, 한인이 많이 사는 상파울루 봉헤치로(Bom Retiro)로 이전하는 계획을 세우고 불사추진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2006년 11월에 봉헤치로에 새로운 법당을 건립하는 불사를 일으켜, 2008년 12월에 3층의 법당을 준공하고는 점안식을 봉행하였다.
2011년에 법능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였으며, 현재는 보장 스님이 주지로 재임하고 있다고 한다.
ㅡ 백과사전에서 발췌





예불드리는 장면
대웅전에도 부처상이 없어 매우 이상했다.
진각종은 석가모니불을 모시는 게 아니고,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신앙인데,불상은 따로 없었고 이해할수 없는 글씨가 대신......




특이한 소나무 그림 한점이 걸려있기도....






동덕여대 정문

본관 안에서....



동덕여대에서 바라본 진각사
어느새 이팝나무가 환하게 꽃을 피웠고....


산행하기 아주 좋은 코스였다.

꼭 무슨 짐승같은 형상의 바위가 서있었고....

잔면에서 바라보니 올빼미나 부엉이 형상같기도 했디.

지금 이 산이 오패산이란다.
이곳이 북서울 꿈의 숲과 오동근린 공원 갈림길인데, 오패산은 북서울 꿈의 숲에서 부터 이곳 오동 근린공원까지라고....




월곡정
원래 이곳이 달동네 였는데,그 이름이 월곡동이란 이름이 되었단다.

조선조 효종의 장자였던 완왕이 일찌기 12세에 졸하여 이곳에 묻혔던 터라고....

이곳은 주로 암반으로 깔려 있었는데,여기 바위에 대한 바위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전망이 아주 좋아 시내 곳곳이 한눈에 드러 오기도....

월곡동에서 개운산을 가볼 요량으로, 고려대역에서 내려 고대앞을 지나며....


오층석탑과 삼층석탑
개운산을 가려는데,갑지기 배도 고파지고 산에 오르고 싶은 마음이 내키질 않아,그만 포기하고 천안행 전철을 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