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을 지키지 않으면 예고없이 강등될 수 있습니다.
<제목양식>
강의교재 질문: 해당과정, 단원, 문제번호 명시 (적중 2000제 17장 전기화학 34번)
편입기출문제 질문 : 학교, 연도, 문제번호를 명시(중앙대 2022년도 12번)
<질문글 양식>
1. 질문이 2개 이상일 때 각각의 질문마다 번호를 붙여주세요.
2. 한번에 한 문제에 대해서만 질문 해주세요.
3. 문제의 그림이나 사진을 첨부하시면 답변을 빨리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한번에 정확히 질문해주세요. 답변에 대한 추가댓글 질문 X
5. '이렇게 풀면 왜 답이 안나오나요?' 유형의 질문 X
이 문제는 작년 실제 시험장에서 헥세인과 물사이 분배계수를 주고 톨루렌과 물사이로 물어봐서 제가 모르는 다른 의미가 있나..고민하다가 당황했던 문제입니다. 헥세인이나 톨루엔이 비극성 물질로 분배계수도 동일할것이라고 추론하고 풀어야되는 건가요?
그리고 분배계수도 대가대의대 기출문제를 풀때 (고정상농도/이동상농도)로 써야 풀수있는 문제가 있어서 공식처럼 외웠었는데요.
분배계수도 분리인자처럼 문제에 따라 관례적으로 1보다 크게 나타낼 수 있는건가요?
헥세인과 톨루엔 때문에 고민한것도 있지만 추출이라면 헥세인이나 톨루엔이 이동상이고 물이 고정상이라고 생각했는데 분배계수가 1/3이 아니고 3이네? 뭐지 뭐지? 하다가 틀렸습니다. 추출의 상황과 분배크로마토그래피는 다른 실험이라 생각하고 분배계수를 정의해야할까요?
마지막으로 제가 개인적으로 작년 계대, 우석대 약대에서 각각 후보 10번, 12번으로 떨어졌었는데요. 일반화학이 아니라 이런 분석화학 과목처럼 개념이 불확실한데서 한끝차이로 시험에 떨어진 원인이 있는건가 싶기도 하고 강의외에도 분석화학 책을 따로 사봐야하나.. 하는 생각도 들고 이러한 막막함이 큽니다.
이 부분도 조언해주시면 감사히 듣겠습니다!
첫댓글 일단, 질문양식을 지켜야합니다. 질문이 여러개면 반드시 각각에 번호를 붙여야합니다. 양식을 지키지 않으면 강퇴되거나 강등될 수 있습니다.
1. 22-1에서 문제에 오타가 있었습니다. 헥세인으로 2번 추출하는 상황입니다.
2. 분배계수와 분리인자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분배계수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정의(기출올인원551p: 두 액체사이에서 용질농도의 비율)와 크로마토그래피에서의 정의(기출올인원554, 556p)가 약간 다릅니다. 분리인자는 554에 나와있습니다. 텍스트만으로는 이해하기 힘들고, 관련된 문제들을 충분히 풀어봐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분배계수는 무엇을 분모, 분자로 정의하느냐에 따라 1보다 클수도, 작을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분배계수는 (유기용매층에서의 농도/물층에서의 농도)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약대전공 분석화학 내용도 공부하는게 좋습니다. 특히 경성대, 계명대 등에서는 출제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기출올인원 22장 내용을 차근차근 공부하는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