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을 지키지 않으면 예고없이 강등될 수 있습니다.
<제목양식>
강의교재 질문: 해당과정, 단원, 문제번호 명시 (적중 2000제 17장 전기화학 34번)
편입기출문제 질문 : 학교, 연도, 문제번호를 명시(중앙대 2022년도 12번)
<질문글 양식>
1. 질문이 2개 이상일 때 각각의 질문마다 번호를 붙여주세요.
2. 한번에 한 문제에 대해서만 질문 해주세요.
3. 문제의 그림이나 사진을 첨부하시면 답변을 빨리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한번에 정확히 질문해주세요. 답변에 대한 추가댓글 질문 X
5. '이렇게 풀면 왜 답이 안나오나요?' 유형의 질문 X
안녕하세요 선생님!
크로마토그래피 문제인데, 풀다보니 크로마토그래피 자체의 원리에 대해 의문이 들어 여쭙습니다.
고정상에 SiO2로 된 실리카겔을 사용하는데, 고정상이 극성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 SiO2는 Si에 O가 네 개 붙어서 사면체 형태가 무한으로 반복되는 망상구조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비극성 공유결합이 되는게 아닌지 해서요.. 옥스토비에서도 "석영(SiO2) 망상구조는 전하를 갖지 않으므로 구조 내에 양이온이 없다"(1072p)고 하는데,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쓰는 실리카겔의 경우 이런 석영과는 다르다고 봐야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더 찾아보니 '실리카겔의 경우 사면체 한 부분에 O가 아니라 OH가 붙어있는 구조'라는 말도 있는데 이 내용은 인터넷에만 나와있고 기본서에선 찾지 못했습니다. OH 때문에 극성을 갖는 것이라고 보면 되는걸까요..? 석영은 비극성 물질로 보면 맞는지도 궁금합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첫댓글 SiO2는 공유그물형구조지만, 결정표면에서는 Si-OH(실라놀기)형태로 극성을 띱니다. SiO2는 대표적인 극성물질입니다.
아래에 링크한 적중2000제 1장에서 공부한 적 있습니다~
1-55 TLC 크로마토그래피 해석문제
https://youtu.be/9zcfKGC2aqA?t=4844
PLAY
헉 그렇네요..!!! 분명 적중2000제 모든 문제의 풀이영상을 다 봤는데..!! 아마 저 문제를 풀때쯤엔 OH기가 붙어있다는게 무슨의미인지 명확하게는 잘 모르고 지나쳤었나봅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