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전선색별표시규정현황및개선추진.show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전선색상 에 대하여
3상 4선식 전로에서 중성선(N선)과 전압측 전선(R,S,T상)에 부하를 연결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
중성선(N선)과 전압측 전선(R,S,T상)을 구별할 수 있도록하여 오 접속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한다.
1.모든 배선은 전체시설이 통일되도록 변압기 단자로 부터 콘센트 또는 부하의 전원단까지 같은 색으로 배선 되도록 하여야 한다.
2.옥내배선의 중성선및 접지측 전선의 표식.
다선식 옥내배선인 경우의 중성선에는 백색 또는 회색의 표식을 하여야 한다.
단상2선식회로의 접지측 전선도 이에 따른다.(내선규정 제160-1절)
* 전압측 전선(하트상)에는 원칙상 백색 또는 회색의 것을 사용하지 말 것.
* 접지선GV)은 녹색을 사용하며 녹색은 접지선 용도외에는 사용하지 말 것.
3. 옥내배선의 중성선 및 접지측 전선의 표식은 절연전선에서는 피복절연물 자체의 색별에 따를 것.
다만, 14SQMM²를 초과하는 것은 시공시 말단, 기타 필요한 개소에 백색 테이프를 감는 등 적당한 방법으로 표시한다.
현장에선 간선이고 4C케이블인경우 녹색을 N선으로 사용중이다. 그러므로 접지선(GV)와 혼동混同 하지 말아야 한다.
4.상별 부하전류가 평형으로 유지되도록 용이하게 결선하기 위하여 전압측 전선을 상별 구분할 수 있도록 색별 배선을 하거나 색테이프를 감는 등의 방법으로 표시를 하여야 한다
A상:흑색
B상:적색
C상:청색
N선:백색 또는 회색
5.전기기구 및 상의배치
-관련"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KEMC)1107 7.6 기구및 도체의 배치 색별"
-기구 및 도체의 배치는 감시조작면 또는 개폐기의 조작기 측에서 보아서
좌우일 경우 좌에서 부터 A, B, C상. N선
상하일 경우 위에서 부터 A, B, C상, N선
원근일 경우 가까운 곳에서 부터 A, B, C상, N선
6.우리나라에서 현장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의 선심 색상은
2심일경우: 백, 흑 //// 백, 적///백, 청
3심일경우:백, 흑, 적///백, 흑, 녹
4심일경우 :백, 흑, 적, 녹/// 백, 청, 적, 녹색이다.
단상2선식(220V)일경우에는 자연스럽게 N선을 백색으로 사용하고, 단상3선식(220/110V)일 경우 N선을 백색으로 사용한다.
그렇다면 3상4선식일 경우는?
현장에선 4C 케이블의 색상이 빨강, 흰색. 청색. 녹색(綠色)일경우 녹색선을 N선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전에서 공급하는 인입케이블도 마찬가지임)
@ 효과
1.색별 배선을 하거나 색테이프를 감는 등으로 구분시 220V 나 380V의 구별을 확실히 함.
2.상별 부하전류가 평형으로 유지 되도록 용이하게 결선이 가능함.
3.회전기기의 회전방향을 맞추는 작업이 용이함.
4.전압측 전선을 쉽게 구분하여, 스위치선을 전압측선에 연결을 용이하게 함.(전기를 사용 안 할시 기구에 전압이 걸리지 안도록 전압측선에 스위치를 설치함,형광등의 잔광현상 방지가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