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의 사용
대한민국 국회의원 지역구 선거구를 구분할 때 십간을 씁니다.
21대 총선 기준으로 사용되는 최대 범위는 무까지.(경기 수원시 무),
참고로 지방의원에서는 광역의원 지역구 선거구 단위는 아라비아 숫자,
기초의원 지역구 선거구 단위는 한글 가나다 순으로로 구분합니다.
다만 같은 한자문화권인 일본과 대만에서는 국회의원 선거구 단위에 십간을 쓰지 않고 그냥 아라비아 숫자를 쓰며, 북한도 아라비아 숫자단위로 선거구를 구분합니다.
사실 한국 국회의원 지역구 선거에서도 1971년 총선때까지는 선거구를 구별할때 십간과 아라비아 숫자를 병행해서 썼고, 4공화국과 5공화국 시기에는 중선거구제를 시행했기 때문에 십간단위로 선거구를 구별하는 일은 별로 없었습니다.
현재 기초의원은 가나다, 광역의원은 123으로 하기 때문에 천간으로 구분합니다.
법학 및 법조계에서는 편의상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자주 씁니다.
법학 시험 문제에서는 물리 문제의 김철수 같은 이름을 쓰지 않고 갑, 을, 병, 정 순으로 사람 이름을 붙이고, 계약서에서는 계약 당사자를 편의상 갑, 을, 병, 순으로 이름 붙입니다. 여기서 갑을관계, 갑질 등이 말이 파생되었습니다.
현재는 1~7급으로 쓰지만, 과거 징병검사 신체등급은 갑종, 1을종, 2을종, 3을종, 병종, 정종, 무종으로 썼으며, 갑종은 1급, 1을종은 2급, 2을종은 3급, 3을종은 4급, 병종은 5급, 정종은 6급, 무종은 7급에 해당합니다.
과거 운전면허 학과시험의 선택지 번호도 '갑을병정'을 써 왔지만(갑. 을. 병. 정.), 2010년 8월 학과시험 개정으로 현재는 갑을병정 대신 아라비아 숫자를 씁니다.
영화에서 지나가던 엑스트라 이름 지을 때도 자주 쓰입니다.
홍길동 수준으로 자주 나오는 이름인 갑돌이, 을순이, 병칠이 등이 여기에 해당하고, 갑남을녀는 아예 대놓고 이 명칭을 사용하며, 평범한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네이버 웹툰 대가리의 랭크 배지 시스템의 순서 및 명칭이 갑, 을, 병, 정 순으로 있습니다.
천간법은 항렬에도 쓰입니다. 전주 이씨 효령대군파와 한양 조씨 등의 일부 가문이 쓰는 듯합니다. 예를 들면 東-九-南-寧-成-煕-慶-新-廷-葵 순서로 나가는 것입니다. 각각의 글자에 각 순서에 해당되는 천간의 글자 모양이 숨어 있습니다.
풍양 조씨 평장사공파는 천간-지지와 오행을 결합해서 항렬자를 만들었습니다.
중국어 유기화합물 명명법에서 탄소 원자의 개수를 나타낼 때도 십간을 사용합니다.
예: 甲醇 : 탄소 원자가 1개인 알코올 → 메탄올
다만 11개 이상일 경우 탄소 수를 그대로 씁니다.
예: 十一烷 : 탄소 원자가 11개인 알케인 → 운데케인
일본 만화 귀멸의 칼날 속 귀살대라는 조직의 계급은 최하위인 계부터 일반대원이 가질 수 있는 최상위 단계인 갑까지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성적표에는 갑을병정 4등급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연세 90이 넘은 어르신들이 '학교 시절 XX 과목 성적이 갑이었다' 같은 이야기를 하시는데, 이 성적이 갑을병정입니다. 오늘날 대학 학점으로 치면 각각 ABCF이 되겠습니다.[출처:위키백과]
첫댓글 일상에서 쓰이는 천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