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이어 '평화의 소녀상'도 나몰라라?...간·쓸개 다 빼주는 윤 정부
독일 베를린 시장, 현지 소녀상 철거 시사
외교부 "민간 활동에 정부 관여는 바람직 하지 않아"
독일 시민단체 "일본 정부 압력에 굴복"
조국혁신당 "라인사태 판박이, 어느나라 외교부냐"
설인호 기자 승인 2024.05.20 13:52
독일 베를린 미테구(區)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사진=코리아협의회)
네이버 '라인야후' 지배권을 일본에 빼앗길 위기에 처한 가운데, 이번엔 독일 베를린 시장이 관내에 소재한 '평화의 소녀상' 철거를 시사하는 발언을 해 공분을 불러 일으켰다. 하지만 외교부는 "민간 차원 일"이라며 발뺌하기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또 다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베를린시의 보도자료와 재독 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 등에 따르면, 카이 베그너 베를린 시장은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가진 회담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에 반대하는 기념물엔 찬성하지만 더 이상 일방적인 표현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은 코리아협의회 주관으로 지난 2020년 9월 설치됐다. 이후 일본 정부의 지속적인 철거 요구에 시달리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독일 중부 카셀대학교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도 일본 정부의 압박에 대학본부가 굴복, 지난해 3월 경 기습 철거된 바 있다.
'코리아협의회'는 즉각 입장문을 통해 "베를린시가 일본 정부의 압력에 굴복하고 있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반면 우리 외교부는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는 활동에 한·일 정부가 관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제 2의 라인사태'라는 비판이 쏟아짐은 물론이다.
조국혁신당은 이같은 외교부의 태도를 지적하며 "윤석열 정부는 평화의 소녀상도 나몰라라인가?"라며 '도대체 어느 나라 외교부냐?"고 개탄했다.
배수진 대변인은 20일 논평에서 "평화의 소녀상은 일제에 끌려간 위안부 피해, 희생의 상징물"이라며 "그동안 일본이 얼마나 국력을 집중해 평화의 소녀상 철거에 노력을 해왔는지 모를 외교부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베를린 시장의 해당 발언은 "일본시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며 "제2차 세계대전 제국주의에 대한 반성이 철저한 독일에서 이런 발언이 나온 것은 일본 정부의 노력에 우리 정부의 방기가 결합된 결과물"이라고 풀이했다.
배 대변인은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해 "라인야후 때와 마찬가지로 민간의 일로 떠넘기기 시작했으니, 이에 문제를 제기하면 '반일 선동'이라고 폄훼할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손놓고 있지 말고 베를린 소녀상을 지켜야 한다"며 "평화의 소녀상의 의미, 가치, 존치 이유를 설명하고 지지를 이끌어 내라"고 촉구했다.
https://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309849
첫댓글 라마다 르네상스 볼케이노 접대부 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