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예약 : 
학문 교육과 문학 창작이 꽃피던 곳
문화공간양사재(養士齋)
전주한옥마을에 자리한 문화공간양사재는 전주 향교의 부속건물이자, 1900년대 초, 시조혁신을 주도했던 시조시인 가람 이병기(嘉藍 李秉岐) 선생이 작품을 집필했던 곳이다. 현재는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해 많은 사람이 방문하는 이곳은 그의 시조처럼 자연의 담담하고 고즈넉한 분위기를 간직한 공간이다.
조선 시대 선비의 교육 공간
기를 양(養), 선비 사(士), 집 재(齋). 선비를 기르는 집이라는 뜻을 지닌 양사재는 조선 시대 전주 향교의 부속 건물로, 공부를 마친 유생들이 모여 생원이나 진사 시험을 준비하던 곳이었다. 이후에도 교육, 창작 공간으로 사용되었는데, 1951년부터는 6년간 가람 이병기 선생의 시조 집필 공간으로, 1987년도에는 전북 최초의 신학문을 시작한 전북보통공립소학교로 쓰였다. 그리고 2002년부터 현재까지 한옥 체험 공간으로 많은 사람에게 역사와 전통을 알리고 있다.
이곳은 400여 년 된 터이고, 건물은 150여 년 전에 지었다고 한다. 1980년, 집의 기본 틀은 최대한 살리며 보수 공사를 거쳤다. ‘ㄱ’자 구조로, 주춧돌에 사모기둥을 올려 처마를 받치고 팔작지붕을 덮은 전형적인 한옥 양식이다. 특이한 점은 조선 시대 유생과 선비들의 기숙 공간이었던 3개 방의 방문이 천장으로 들어 올리는 분합문으로 되어 있다는 것인데, 방문을 모두 열면 하나의 공간이 된다. 그래서 주로 소규모 모임이나 세미나, 다도 체험 공간으로 사용한다.
손님들이 묵어갈 수 있는 공간은 1980년에 지은 'ㅡ'자 구조의 한옥이다. 내부는 깔끔하고 아늑하며, 가구나 실내 장식을 간소하게 꾸며 놓아 선비방 특유의 검소함이 느껴진다. 이곳에는 군불을 때는 구들방과 일반 온돌방이 있는데, 구들방에서는 다도 체험을 진행한다. 집 뒤쪽에 야생 녹차 밭이 있으며, 이곳에서 나는 찻잎을 따 주인장이 직접 볶은 차를 맛볼 수 있다.
가람 이병기 선생에게 영감을 준 곳
난초와 시, 술을 좋아했던 시조시인 가람 이병기 선생이 살았던 문화공간양사재에는 여전히 그의 흔적이 남아있다. 특히 ‘가람다실(嘉藍茶室)’이라는 현판이 걸린 방은 그가 서재로 사용하며 집필을 했던 공간으로 그의 집필 모습이 담긴 사진도 볼 수 있다. 자연을 글로 생생하게 묘사해 남다른 감각을 선보인 가람 이병기 선생에게 이곳은 창작 공간을 넘어 작품에 영감을 준 곳이라 한다.
양사재 마당 한쪽에는 우체통이 마련되어 있는데, 방문한 손님들이 손편지를 써서 넣으면 주인장이 우편으로 보내준다. 덕분에 이곳을 찾는 손님들이 툇마루에 앉아 편지를 쓰는 광경도 종종 볼 수 있다. 양사재는 이처럼 옛 교육 기관의 흔적도 엿보고 한 문인의 생애를 느끼며, 머물 수 있는 복합 체험 문화공간이다.

객실정보 요금요금(1박 기준) |
---|
면적(m²)/객실수 | 수용인원 기준/최대 | 비수기 | 일반 | 성수기 |
---|
9 m²/ 3 실 | 3 명/ 4 명 | 주중 : 60,000원 주말 : 60,000원 | 주중 : 60,000원 주말 : 60,000원 | 주중 : 60,000원 주말 : 60,000원 |
객실 편의시설 | |
---|
객실 소개 | ※ 객실내 기타 편의시설 - 추가 인원 시 금액 : 1인당 10,000원 추가 |
---|
* 객실정보는 수시로 변경되어 공사가 제공하는 정보와 다를 수 있사오니, 이용 전 해당 한옥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객실정보 요금요금(1박 기준) |
---|
면적(m²)/객실수 | 수용인원 기준/최대 | 비수기 | 일반 | 성수기 |
---|
9 m²/ 3 실 | 3 명/ 4 명 | 주중 : 60,000원 주말 : 60,000원 | 주중 : 60,000원 주말 : 60,000원 | 주중 : 60,000원 주말 : 60,000원 |
객실 편의시설 | |
---|
객실 소개 | ※ 객실내 기타 편의시설 - 추가 인원 시 금액 : 1인당 10,000원 추가 |
---|
* 객실정보는 수시로 변경되어 공사가 제공하는 정보와 다를 수 있사오니, 이용 전 해당 한옥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객실정보 요금요금(1박 기준) |
---|
면적(m²)/객실수 | 수용인원 기준/최대 | 비수기 | 일반 | 성수기 |
---|
16 m²/ 4 실 | 3 명/ 5 명 | 주중 : 100,000원 주말 : 100,000원 | 주중 : 100,000원 주말 : 100,000원 | 주중 : 100,000원 주말 : 100,000원 |
객실 편의시설 | |
---|
객실 소개 | ※ 객실내 기타 편의시설 - 추가 인원 시 금액 : 1인당 10,000원 추가 |
---|
* 객실정보는 수시로 변경되어 공사가 제공하는 정보와 다를 수 있사오니, 이용 전 해당 한옥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일 전 100%, 1일 전 ~ 당일 환불 불가 * 환불규정은 수시로 변경되어 공사가 제공하는 정보와 다를 수 있사오니, 이용 전 해당 한옥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식사 시 애완동물 동반 불가

전통국악, 밴드 공연 : 공연 및 기획가능 / 문의 후 가격이나 인원 등 변동

- 길안내 : 서울 → 경부고속도로 → 천안논산고속도로(천안분기점) → 호남고속도로 → 익산포항고속도로 → 순천완주고속도로(완주분기점) → 안골네거리 → 병무청오거리 → 기린대로 → 오목대길
- 지역간 : 센트럴시티터미널 또는 동서울종합터미널 → 전주고속버스터미널
- 지역내 : 전주고속버스터미널 → 국민은행금암지점 정류장(165, 970, 61번 버스) → 남부시장정류장 하차 → 도보 7분 이내 → 문화공간 양사재
- 픽업여부 : 불가능

주변관광지 이름 | 유형 | 문의 및 안내 | 직선거리 | 조회 |
---|
오목대와 이목대 | 유적지/사적지 | 전주시청 전통문화과(문화재) 063-281-2166~7 | 0.11km | 40376 |
온고을공예방 | 공예/공방 | 063-221-6404 | 0.11km | 6225 |
전주공예품전시관 | 전시관 | 대표번호 063-285-0002 체험/전시/행사 036-232-5665~6 | 0.17km | 50224 |
전주한방문화센터 | 박물관 | 전주한방문화센터 063-232-2500 | 0.26km | 20451 |
장현식고택 | 고택 | 전주전통문화연수원 063-288-9242~3 전통문화과(문화재) 063-281-2166 | 0.23km | 18486 |
전주동헌 | 유적지/사적지 | 전주전통문화연수원 063-288-9242~3 전통문화과(문화재) 063-281-2166 | 0.23km | 18735 |
강암서예관 | 전시관 | 063-285-7442 | 0.26km | 28095 |
남천교 청연루 | 유적지/사적지 | 전통문화과(문화재) 063-281-2166 | 0.29km | 20106 |
전주전통한지원 | 전통체험 | 전주전통한지원 010-8959-7757 | 0.31km | 20530 |
전주향교 | 유적지/사적지 | 063-288-4548 063-288-4544 | 0.30km | 47425 |
최명희문학관 | 전시관 | 최명희문학관 063-284-0570 | 0.35km | 34477 |
동락원 | 전통체험 | 063-285-3490 | 0.42km | 25242 |
출처
대한민국구석구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