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무관 | 김정호 | (044-215-2777)
별 첨 | | '23.5월 소비자물가동향 주요 내용 (상세) |
1 (소비자물가) 둔화 흐름이 지속되며 전년동월비 3.3% 상승(전월비: 0.3%)
(%)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5 | 전년동월비 | 4.8 | 5.4 | 6.0 | 6.3 | 5.7 | 5.6 | 5.7 | 5.0 | 5.0 | 5.2 | 4.8 | 4.2 | 3.7 | 3.3 | 전월비 | 0.7 | 0.7 | 0.6 | 0.5 | △0.1 | 0.3 | 0.3 | △0.1 | 0.2 | 0.8 | 0.3 | 0.2 | 0.2 | 0.3 |
➊ (농축수산물) 축산물 가격 상승(전월비 3.5%)에도 불구하고, 채소류 수급 개선 등으로 39개월만에 전년동월비 마이너스(△0.3%) 전환(전월비 0.5%) * 세부 품목별 전년동월비(%, 3→4월) : (농산물)1.1→1.9 (축산물)△1.1→△5.8 (수산물)6.1→6.1 ➋ (석유류) 국제유가 안정세, 유류세 인하 연장조치(~8월) 등으로 전년동월비 △18.0% 하락(전월비 △1.4%) ➌ (집세) 전월세 시세 등이 반영되며 전년동월비 0.6% 상승했으며 ‘19.6월 이후 처음으로 전월비 마이너스 기록(전월비 △0.1%) ➍ (개인서비스) 그간 누적된 원가 부담 등으로 높은 오름세를 보였으나, 상승폭이 둔화(전월비 0.3%)되면서 전년동월비 5.6% 상승
품목별 상승률(%) | 전체 | 농 축 수산물 | 공업 제품 | | 전기가스 수도 | 집세 | 공공 서비스 | 개인 서비스 | | | 외식 | 외식 제외 | 석유류 | ‘23.4월 | 전년동월비 | 3.7 | 1.0 | 2.0 | △16.4 | 23.7 | 0.8 | 1.0 | 6.1 | 7.6 | 5.0 | (기여도, %p) | | 0.1 | 0.7 | △0.9 | 0.8 | 0.1 | 0.1 | 1.9 | 1.0 | 0.9 | 전월비 | 0.2 | 1.4 | 0.3 | 1.3 | 0.0 | 0.0 | 0.0 | 0.8 | 0.7 | 0.8 | ‘23.5월 | 전년동월비 | 3.3 | △0.3 | 1.8 | △18.0 | 23.2 | 0.6 | 1.0 | 5.6 | 6.9 | 4.7 | (기여도, %p) | | 0.0 | 0.6 | △1.0 | 0.8 | 0.1 | 0.1 | 1.7 | 0.9 | 0.8 | 전월비 | | 0.5 | 0.2 | △1.4 | 2.2 | △0.1 | 0.0 | 0.3 | 0.2 | 0.3 |
2 (근원물가)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전년동월비 3.9% 상승(전월비 0.3%)
(전년동월비, %)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5 |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 | 2.9 | 3.1 | 3.4 | 3.9 | 3.9 | 4.0 | 4.1 | 4.2 | 4.3 | 4.1 | 4.1 | 4.0 | 4.0 | 4.0 | 3.9 |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 | 3.3 | 3.6 | 4.1 | 4.4 | 4.5 | 4.4 | 4.5 | 4.8 | 4.8 | 4.8 | 5.0 | 4.8 | 4.8 | 4.6 | 4.3 |
➊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전년동월비 3.9% 상승(전월비 0.3%)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로서,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변동분을 제외한 기저의 물가상승률로 458개 품목 중 식료품,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309개 품목으로 작성
➋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 전년동월비 4.3% 상승(전월비 0.4%) * 우리나라에서 활용 중인 근원물가로서, 전체 458개 품목 중 변동성이 가장 강한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작성 3 (생활물가) 전년동월비 3.2% 상승(전월비 0.4%)하며 20개월만에 최저치 * 전체 품목 중 구입 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에 민감한 144개 품목으로 작성 ** 생활물가지수(전년동월비, %, 4→5월): (식품) 6.2 → 5.0 (식품이외) 2.2 → 2.0
(전년동월비, %)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5 | 생활물가지수 | 5.0 | 5.7 | 6.7 | 7.4 | 7.9 | 6.8 | 6.5 | 6.5 | 5.5 | 5.7 | 6.1 | 5.5 | 4.4 | 3.7 | 3.2 |
4 (신선식품) 전월비 하락세가 이어지며 전년동월비 3.5% 상승(전월비 △1.6%)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일 등 계절·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 ** 신선식품지수(전년동월비, %, 4→5월): (신선채소)7.2→7.0 (신선과실)△2.7→△1.4 (신선어개)6.1→6.3
(전년동월비, %)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5 | 신선식품지수 | △2.2 | 1.0 | 2.5 | 5.4 | 13.0 | 14.9 | 12.8 | 11.4 | 0.8 | 1.1 | 2.4 | 3.6 | 7.3 | 3.1 | 3.5 |
□ (평가) 석유류 가격 안정세가 지속되고, 가공식품·개인서비스 가격 상승폭 둔화가 더해지며 물가 안정 흐름 지속 ㅇ 생활물가는 3.2%(전월비 △0.5%p)로 체감물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집세도 전월비 △0.1% 기록(’19.6월 이후 최초 마이너스 기록) ㅇ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3%대 물가는 우리나라 포함 7개국*에 불과하여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둔화되는 모습 * 룩셈부르크(2.7%), 스위스(2.7%), 스페인(3.8%), 일본(3.5%), 벨기에(3.3%), 코스타리카(2.4%) □ (대응) 향후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나, 국제에너지 가격,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물가 안정기조 안착을 위해 대응 지속 ㅇ 6월부터 도입되는 8개 농축수산물 관세 인하 조치 차질 없이 추진 * 돼지고기(22.5/25→0%, ~12월), 고등어(10→0%, ~8월), 설탕(5→0%, ~12월), 원당(3→0%, ~12월), 조주정(10→0%, ~12월), 팜박(2→0%, ~12월), 주정박(2→0%, ~12월), 생강(20%(TRQ 증량), ~9월) ㅇ 품목별 가격·수급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며 필요시 신속히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