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우리의 살과 뼈를 갉아먹으며 노리개로 만드는 세계적 관광지 제2의 하와이 보다는 우리의 삶의 터전으로서, 생활의 보금자리로서의 제주도를 원하기에 특별법 저지, 2차 종합개발계획 폐기를 외치며, 또한 이를 추진하는 민자당 타도를 외치며 이 길을 간다”
'1991년 11월7일. 제주사회가 제주도개발특별법 반대투쟁으로 술렁이던 때 25살의 젊은 청년이 서귀포시 서귀포나라사랑청년회 사무실 3층 옥상계단에서 온 몸에 불을 사르고 투신한다. 바로 청년 양용찬이었다.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했던가. 23년 전 제주사회를 갈등의 소용돌이로 몰아넣었던 ‘제주도개발별법’은 2번의옷을 갈아입고 ‘제주특별법’으로, 당시 특별법 제정으로 시작된 개발광풍은 아름다운 강정바다에 군사기지를 건설하겠다며 구럼비 바위를 폭파하는 광기로 나타났고, 이제는 ‘차이나 머니’ 공습으로 제주의 ‘진짜’ 모습은 점점 잃어가고 있다.' (제주 소리, 2014 년 11월 7일)
2014년 11월 7일은 양용찬 열사
추모 23 주기 였습니다. 그는 제주 가난한 농민의 아들이었습니다. 제주가 국내외 자본주의의 공습과 개발 열풍에 잠식되기 보다 자연과 어우러지는 생활방식을 보전하길 원헀던 열사의
울부짖음이 23 년이 지나 더욱 절실하게 느껴지는 것은 현재 강행되는 기지 건설을 막고 자유무역협정으로
인한 농업 파탄을 막아야 할 현재 제주의 과제가 그 만큼 엄중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양열사
추모 23 주기를 맞아 강정에서도 그를 기리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오전 10시 20분 평화 센터에 모인 이들은 오철근 선생님을 따라 11 시 미사가 열리는 공사 현장까지 삼보 일배 및 피켓팅을 했습니다. 이들은 11 시 미사가 진행되는 동안 1 인 시위 피켓팅을 했습니다. 인간 띠 잇기 시간에 양윤모 선생님께서 뜨거운 발언을 하셨고 공소 회장님께서 제주 원주민으로서의 ‘남도의 노래를’그리고 에밀리가 그리고 대만으로부터의 연대로서 대만의
백화 운동 당시 불려졌던 ‘해가 떠오르는 섬’ 이란 노래를
불렀습니다.
양용찬 열사와 같은 분이 오키나와에도, 대만에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변방으로 규정지워져 끊임없이 외세와 중앙 정부의 압박에 고통받아온 섬들은 그들을 연결시키는 투쟁의 역사와 더불어 평화와 정의라는 공통의 비전을 갖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누구 보다 제주를 사랑했던 양용찬 열사의 삶은 가장 국제적인 삶이 아니었을 까 합니다. 각 섬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몸을 던진 이들을 발굴하고 조명하는 것, 목적의식적으로 ‘기억하고’ ‘연대하는 것’이 우리의 향후 과제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연대의 필요성은 추상적 의지가 아닌 역사의 추와 시계바늘을 인식하는 순간에 나오는 것이 아닐까요?


















한편
이 날은 마침, 주민의 거센 항의에도 불구, 강행되는 군관사
건설을 막기 위한 강정의 행동이 벌써 13일 째 되던 날이었니다. 수많은
주민분들, 성직자 분들, 지킴이들이 약 2 주 동안 밤잠을 못자고 사거리앞을 지켰습니다. 그리고 군관사 건설
반대 투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군관사 공사 부지가 강정초등학교에서 포구로 내려가는 길 솔대왓
펜션 근처에 세워졌는데 그 앞에 농성 천막을 짓기로 한 날이었습니다. 오후에 천막을 짓는 주민과 지킴이들
앞에 나타난 것은 경찰이었습니다. 그러나 주민분들의 항의에 경찰은 물러가야 했습니다. 이것이 양열사 추모 23 주기, 강정의
모습이었습니다.











저녁
제주시에서 열린 양용찬 열사 추모 행사에 몇 사람들이 참석했습니다. 양윤모선생님이 이날 피켓팅에 동원된
피켓들을 전부 갖고 가 행사장 앞에 놓았고 송강호 박사님과 고길천 선생님도 같이 참석했습니다.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야외 행사장 자리를 메웠습니다. 고 양용찬 열사의 형님께서 발언을 하시는 시간도 있었습니다.







기억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연대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기억이 없어도
과거와 현재를 연결할 수 있을 까? 연대 없이도 현재와 미래를 연결할 수 있을까?양용찬
열사가 진정으로 추모된다는 것은 무엇일까?
11월 7일 그의 추모일 날, 5명의
농민들이 한중-FTA를 반대하며 FTA 비즈니스 포럼이 열리고
있던 곳에서 항의 행동을 하다 체포되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관련 기사 가기)그러한 비즈니스 포럼이 불균등 자본축적의 표출인 우루구라이 라운드를 반대한던 양용찬 열사의 분신추모일 열렸다는
것은 참으로 역사와 농민에 대한 모욕이 아닐 수 없습니다.
다음
말 11월 8일 한 현대 노동자가 비정규직을 비관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11월 13일은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하며
전태일 열사가 분신한지 44 주년 되는 날입니다. 44 년이 지난
지금도 노동자의 삶은 조금도 달라지지 않았고 아니 더 극한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양용찬
열사가 돌아가신 지 23 년이 지난 지금, 제주는 전쟁기지
건설을 앞두고 더 벼랑끝의 가랑잎으로 있습니다. 우리가 과거의 인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현재에 더욱
생각되는 것은 과거의 과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아니 더욱 무겁게 된데 그 이유가 있지 않나 합니다. 역사는
이렇듯 아직도 현재 진행형입니다. 양용찬이란 이름안에 우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다 응축되어 있는지 모릅니다.



(사진: 행사 참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