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우리는 죽음을 떠올리기를 꺼려하며, 막연한 미래로 또는 영원히 도래하지 않을 것으로 밀쳐놓으려고 한다. 그래서 갑작스러운 파국을 맞이 했을 때 얼마나 당황하게 되는가.
하지만 죽음을 떠올린다는 것이 삶과 생명의 부정이 아니다.
인생의 즐거움을 종식하고 체념으로 이끌고 가려는 것은 더욱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생명의지를 북돋우고, 새출발을 격려하는 의미가 있다.
삶이 긍정되어야 하는 것 만큼, 죽음이 부정될 수는 없다.
Memento mori(죽음을 기억하라). 죽음이라는 파국이 예정되어 있음을 상기할 때,
우리는 예정된 인생의 레이스를 보다 적극적이고, 치열하게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죽음이 마지막 말이 아님'을 알기에, 위령성월에 죽은 이를 기억하며 우리의 미래를 희망 속에 기대한다.
그러기에 한 해의 마지막을 죽음에 대한 묵상으로 마치며, 나아가 두근두근 대림 시기, 참 생명을 기다리는 것이다.
아랫글들은 각 시대의 인물들이 생의 마지막 순간에 한 유언들이다.
각 인물들의 성격과 신앙, 생애 모두가 강렬하게 드러나 있다.
우리는 어떤 마지막 말을 할 수 있을까...
--------
열매 맺기에는 너무 늦었고, 꽃이 피기에는 너무 이르구나.
Too late for fruit, too soon for flowers.
Walter De La Mare(1873~1956) 시인, 소설가 1956년 6월22일
나는 죽지 않을 거예요, 그렇죠? 神이 우리를 갈라 놓지는 않겠죠. 우리가 얼마나 행복했는데...
Oh, I am not going to die, am I? He will not separate us, we have been so happy.
Charlotte Bronte(1816~1855). 제인에어(Jane Eyre)의 작가 1855년 3월31일
(샤롯 브론테는 1954년 6월 목사인 Arthur Bell Nicholls와 결혼해서 9달이 되지않았고, 당시 임신중이었다. 그녀의 동생이 소설 '폭풍의 언덕'(Wuthering Heights)을 쓴 Emily Bronte. 에밀리는 샬롯보다 먼저 1848년 마찬가지 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
내가 죽은건가 아님 내 생일인가?
Am I dying or is this my birthday?
Nancy Witcher Astor(1879~1964) 영국의 정치인 1964년 5월2일
(미국 출신이면서, 영국 최초의 여성 하원의원. 그녀가 오랜 혼수상태에서 잠깐 깨어나서)
멜론향기가 맡고 싶소.
이상(李箱 金海卿 1910~1937) 詩 '오감도'(烏瞰圖)의 작가. 시인 1937년 4월17일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 李箱! 그는 1936년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1937년 2월 불온사상 혐의로 일본 경찰에 유치되었다가 건강악화로 보석되어 1937년 4월17일 오후 4시 동경제대 부속병원에서 객사한다.)
크리스챤이 얼마나 평화스럽게 죽어가는지 지켜보게.
See in what peace a Christian can die.
Joseph Addison(1672~1719). 영국작가 1719년 6월17일
지금은 새로운 적을 만들 시간이 없소.
This is no time to make new enemies.
Voltaire(1694~1778) 캉디드(Candide)의 저자. 프랑스 계몽사상가. 1778년 5월30일
(임종을 앞두고 사탄을 부인하겠느냐고 묻자)
내 머리를 인민들에게 보여주시오. 내 머리는 볼만한 가치가 있지.
Show my head to the people, it is worth seeing
Georges Jacques Danton(1759~1794) 프랑스 혁영가. 1794년 4월5일
(당통이 죽고 4개월도 되지않은 7월28일 Robespierre도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진다.)
저리 나가! 유언이란 살아서는 말도 못한 인간들이나 남기는 거야.
Go on, get out - last words are for fools who haven't said enough.
Karl Marx(1818~1883) 철학자, 경제학자, 혁명가 1883년 3월14일
니가 날 죽이러 온걸 알아. 겁쟁이야 어서 쏘라구. 니가 해야지.
I know you have come to kill me. Shoot coward, you are only going to kill a man.
Ernesto "Che" Guevara(1928~1967) 아르헨티나출신의 혁명가 1967년 10월9일
(Fidel Castro와 쿠바혁명을 성공시킨 체게바라는 쿠바 중앙은행장을 사직하고 다시 아프리카의 콩고등을 거쳐 남미의 볼리비아의 산악에서 게릴라투쟁을 재개한다. 그러나 남미의 좌파세력의 지지를 얻어내지 못했고, Regis Debray등이 고문을 받고, 게릴라의 은신처를 털어놓게된다. 프랑스인인 Regis Debray(1940~)는 쿠바 하바나대학의 철학교수였으며, 체게바라와 게릴라로 함께 활동했다. 이때부터 일개 게릴라를 색출하기 위한 CIA, 그린베레와 볼리비아군의 대규모 군사작전이 전개된다. 이런 상황에서 끊임없이 카스트로에게 지원요청을 했으나, 1962년 쿠바봉쇄와 같은 상황을 원치 않았던 소련지도부는 체게바라의 게릴라들을 성가시게 여겼었고, 카스트로도 적극적이지 않았다. 어떤 지원도 없이 전투중에 부상까지 입은 그는 10월8일 오후 생포되는데, 미국으로서는 그를 법정에 세우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것을 깨닫고, 그를 사살하기로 결정한다. 그래서 볼리비아군 하사관 중에서 Mario Teran을 차출하는데, 이때 마리오가 머뭇거리자, 체게바라가 한 말이 마지막이 된 것이다.
마침내 반쯤 취한 마리오는 M2 Carbin으로 그를 사살했고, CIA는 체게바라가 죽었다는 증거로 두 손목을 잘라 카스트로에게 보낸다. 그리고 그의 시신은 암매장되었다가 1997년에야 발굴되어 쿠바에 묻히게 된다. 레지 드브레는 프랑스 정부의 도움으로 1970년 풀려났고, 1980년에는 프랑스 미테랑대통령의 자문역을 맡기도 했고, 매개학(Mediology)이라는 학문영역을 개척한다. 그리고 마리오는 체게바라를 사살했다는 비난을 견디다 못해 투신자살했다.)
이렇게 좋은 친구와 이별의 키스 한번 없이 헤어질 수는 없지 않은가.
The drink and I have been friends for so long, it would be a pity for me to leave without one last kiss.
Torlogh O'carolan(1670~1737) 아일랜드의 음유시인
(어려서 천연두로 실명을 했고, 하프연주자로 아일랜드의 마지막 음유시인으로 불렸다. Whiskey, heart of my soul!로 시작하는 위스키의 찬가 'Ode to Whiskey'를 남길만큼 대단한 주당이었다.)
빗소리 들려요? 빗소리 들려?
Do you hear the rain? Do you hear the rain?
Jessica Dubroff(1988~1996) 1996년 4월11일
(경비행기 Cessna 177B를 몰고 와이오밍州 Cheyenne에서 출발해서 최연소 미대륙종단 비행에 도전하던 이 꼬마아가씨는 엄마와의 이 마지막 전화통화 몇분 후, 함께 탄 아버지 Lloyd Dubroff와 훈련교관 Joe Reid와 함께 추락했다. 갑작스런 폭우와 돌풍이 사고원인이었던 것 같다. 이 사고로 인해서 Anna Paquin이 거위떼를 이끌고 하늘을 날으는 영화 '아름다운 비행'(Fly Away Home. 1996)은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었고, 원제인 'Flying Wild'를 'Fly Away Home'으로 바꾸어 개봉되었다.)
야반삼경(夜半三更)에 대문 빗장을 만져보거라.
경봉 스님(鏡峰 1892~1982)
(제자들이 '이제 가시면 어떻게 스님을 뵈올수 있겠습니까?'라는 물음에)
나는 神과 다툰 적이 없어.
I never quarrelled with my God.
Henry David Thoreau(1817~1862) 목수. 월든(Walden), 시민불복종(Civil Disobedience)의 저자. 1962년 5월6일
(임종을 맞이해서 神과 화해하겠는가(Have you made your peace with your God?)라는 물음에 대답이다.
Thoreau는 Harvard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고향 매사추세츠州 Concord에 돌아와서 목수, 측량기사로 평생을 살아간다. 그가 1845년 7월4일부터 1847년 11월6일까지 인근의 Walden호숫가 오두막에서 머문 후에 집필한 '월든'(Walden)은 현재까지 모든 환경운동과 자연중심주의의 기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는 부당한 징세에 저항해서 투옥되기도 했으며 이 사건으로 1848년 강연하고, 기고한 강연문이 '시민불복종'(Civil Disobedience)이다. 시민불복종은 Tolstoi, Gandhi에게 영향을 주어, 간디는 이 저작에서 그의 인도 독립운동의 이름을 차용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후에도 나치하의 레지스탕스활동, Martin Luther King Jr목사등의 인권운동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 NGO(Non-Government Organization)활동의 기본 모토가 되고 있다.
소로우는 고향 콩코드에서 초월주의(Transcendentalism)철학자 Ralph Waldo Emerson이나 소설 '작은 아씨들'의 작가 Louisa May Alcott나 '주홍글씨'의 Nathaniel Hawthorne등과 밀접한 사상적 교유를 갖는다. 하바드대학이 있는 매사추세츠州 Cambridge로 부터 멀지않은 지역인데, 콩코드에 가면 월든호수나 그들이 살던 집이나 무덤을 모두 볼 수가 있다. '작은 아씨들'의 배경이 이 지역이기도 하다.)
나는 왕비인데도, 내 팔을 움직일 권력이 없구나.
I am a Queen, but I have not the power to move my arms.
Louise Auguste Wilhelmine Amalie(1776~1810). 프러시아의 왕비 1810년 7월19일
오 주여! 저를 구하소서. 이 재판은 잘못되었고, 저는 결백합니다.
이제 이 목숨을 주님 손에 맡기나이다.
Oh Lord, help me! It is false. I am clear. For my life now lies in your hands....
Rebecca Nurse(1621~1692) 농부, 1692년 Salem마녀재판의 희생자. 1692년 7월19일
(1692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사추세츠州 세일럼의 마녀재판으로 19명이 처형되고 5명은 옥사한다. 미국역사상 마녀재판으로 처형된 사람은 공식적으로는 36명인데 그 중의 24명이 이 세일럼의 마녀사냥에서 희생된 것이다. 이 재판에서 마녀임을 부정하고, 결백을 주장한 사람은 자백을 강요당하면서 고문을 받고, 결국에는 모두 처형되었다. 당시 Harvard의 학장이었던 Increase Mather는 이 재판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서는데, 그의 저서에서 주장한 '한 사람의 무고한 사람이 처형되는 것보다 10명의 마녀혐의자가 달아나는 것이 낫다.'는 문언은 현 미국사법체계의 '무죄추정의 원칙'의 근간이 된다. 물론 1702년에 재판이 불법이었음이 선포되고, 1957년 매사추세츠州 정부의 공식사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죽어가는 사람이 쉽게 할수 있는 거라곤 아무것도 없구나.
A dying man can do nothing easy.
Benjamin Franklin(1706~1790) 미국의 정치가, 발명가 1790년 4월17일
(호흡이 곤란해져서 시중드는 딸에게 몸을 부축해달라며.
'삶이 비극인 것은 너무 빨리 늙고, 너무 늦게 철이 든다는 것이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안다구 알아! 호텔방에서 태어나, 빌어먹을 호텔방에서 죽는군.
I knew it. I knew it. Born in a hotel room - and God damn it - died in a hotel room.
Eugene O'Neill(1888~1953) 연극 '밤으로의 긴 여로(Long Day's Journey Into Night)'의 작가. 1936년 노벨문학상 수상자.1953년 11월27일
(단기간의 일시적 거처로만 전전하는 부유하는 인생에 대한 회한의 의미로 이해할 수도 있겠다. 그런데 그의 아버지 James O'Neill이 아일랜드태생의 연극배우였던 탓에, 그는 1888년 8월16일 뉴욕 브로드웨이의 어느 호텔에서 태어났으며, 그가 숨진 곳은 보스톤의 Sheraton Hotel 401호 였으니 실제적 의미도 있겠다. 지금 이 호텔은 보스톤대학의 기숙사(Shelton Hall)로 쓰이고 있고, 4층은 Writers' Corridor로 조성되어 있다.)
이젠 가야겠어. 안개가 피어 오르고있어.
I must go in, the fog is rising.
Emily Elizabeth Dickinson(1830~1886) 미국의 시인 1886년 5월15일
(Walt Whitman와 함께 19세기 미국의 시단을 대표하는 여류시인.)
질식할 것 같군. 꼭 나를 해부해봐주게. 나는 산채로 묻히기를 원치 않네.
The earth is suffocating... Swear to make them cut me open, so that I won't be buried alive.
Frederic Chopin(1810~1849) 폴란드의 작곡가 1849년 10월17일
(그는 종합병원이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온갖 병을 달고 다니는 허약체질이었고, 공식적인 사인인 폐결핵뿐아니라, 부검에 참여한 여동생의 증언에 의하면 낭포성섬유증과 폐기종같은 다른 질환도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산채로 매장될 것에 대한 공포가 대단했다고 전해진다. 무엇보다 소설가 George Sand(1804~1876)와의 이별이 그의 죽음을 재촉한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한발 앞으로 나오게. 그러면 조금은 수월할걸세.
Take a step forward, lads. It will be easier that way.
Robert Erskine Childers(1870~1922) 아일랜드 민족주의자 1922년 11월24일
(그를 처형할 병사에게 건넨 말이다. 그는 정치스릴러 소설 '모래의 수수께끼'(The Riddle of the Sands)의 저자였으며, 아일랜드,영국간 협상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아일랜드 독립에 투신하다가, 1922년 11월22일 자유州 방위군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그의 아들 Erskine Hamilton Childers는 아일랜드 4대 대통령이 된다.)
죽는다? 이보게. 그런 평범한 일이 일어나는 것을 허락할 배리모어가문 사람은 아무도 없다네.
Die? I should say not, dear fellow. No Barrymore would allow such a conventional thing to happen to him.
John Barrymore(1882~1942) 셰익스피어연극 배우. Drew Barrymore의 할아버지. 1942년 5월29일
이 거리로는 저놈들은 코끼리도 맞추지 못....
They couldn't hit an elephant at this dist...
John Sedgwick(1813~1864) 남북전쟁당시 북군의 장군. 1864년 5월9일
(남북전쟁당시 최고위급 사상자. 전선에서 부하들을 독려(?)하다가 왼쪽 눈을 관통하는 총탄에 사망했다.)
기다린다고? 나를 기다린다고? 좋아, 계속 기다리라고 해.
Waiting are they? Waiting are they? Well--let 'em wait.
Ethan Allen(1738~1789) 미국 독립전쟁때 장군 1789년 2월12일
(주치의가 임종을 앞둔 그를 위로하려고, 천사가 장군을 기다린다고 하자)
진정하세요. 형제들이여~
Let's cool it brothers...
Malcolm X(1925~1965) 흑인지도자 1965년 2월21일
(그의 방식은 킹목사와는 달리 비타협적이며 직설적인 것이어서, 그가 속해 있던 이슬람커뮤니티에서도 경계의 대상이 되었고, 그의 영향력을 두려워한 이슬람 민족(The Nation of Islam)이라는 단체의 조직원에 의해 암살된다.)
스카치에서 마티니로 바꾸는게 아니었는데...
I should never have switched from Scotch to Martinis.
Humphrey Bogart(1899~1957) 영화배우 1957년 1월14일
(물론 주류에 대한 선호는 개인의 차이가 있겠지만, 스카치위스키는 전통과 그것을 판별할 수 있는 미각이 전제되는 사회적 품격의 이미지가 있는 반면, 마티니는 유행에 따라 민감한 보다 젊은 층의 이미지가 있다. Humphrey Bogart는 영화에서처럼 골초에다 주당이었는데, 영화촬영기간 중에 '식도암' 판정을 받고, 수술을 받기는 하지만 몸무게가 38Kg까지 떨어지기까지 한다. 이렇게 날로 병세가 악화되어 가는 가운데도, 그는 스카치위스키와 담배를 버릴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토마스 제퍼슨은 살아있을텐데...
Thomas Jefferson--still survives...
John Adams(1735~1826) 미국 2대 대통령 1826년 7월4일
(그런데 이 유언을 남길 때 Thomas Jefferson은 이미 이 세상사람이 아니었다. 그보다 몇시간 앞서 '오늘이 7월 4일이지?'(Is it the Fourth?)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이미 세상을 떠났던 것이다. 후일 그의 아들 John Quincy Adams는 6대 대통령이 되는데, George W. Bush가 43대 대통령이 되기 전까지는 부자(父子)가 미국대통령이 된 유일한 케이스였다.)
내 백조 의상을 준비해줘요.
Get my swan costume ready.
Anna Pavlova(1881~1931) 발레리나 1931년 1월23일
(20세기초 가장 유명한 러시아출신 발레리나. 안무가 Michel Fokine의 '빈사(瀕死)의 백조'(The Dying Swan)에서 그녀의 백조연기는 관객들의 눈물을 자아내기도 했다고 한다. 그녀는 폐렴으로 네델란드 헤이그에서 급사했다. 1926년 뉴질랜드와 호주를 순회공연하는데, 이를 기념해서 1935년에 '파블로바 디저트'(Pavlova dessert)가 만들어지는데, 이 디저트의 원조를 놓고 뉴질랜드와 호주간에 디저트논쟁이 있기도 했다)
여러분, 정말 멋진 골프경기였어.
That was a great game of golf, fellers.
Bing Crosby(1903~1977) 가수, 영화배우 1977년 10월14일
(스페인 마드리드 외곽의 골프장에서 라운딩하던 빙 크로스비의 마지막 말이라고 하는데, 이건 전기작가의 기록이고, 실제로는 '콜라마시러 가자'(Let's go get a Coke.)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아무튼 그가 부르는 White Christmas를 들어야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이보다 더 기분 좋은 적이 없었다.
I've never felt better.
Douglas Fairbanks,Sr(1883~1939) 미국 무성영화시대 배우. 1939년 12월12일
'나는 곧 죽게 될 것이다' 또는 '나는 곧 죽을 것이다.' 이 두가지 모두 맞는 표현이겠지.
I am about to -- or I am going to -- die: either expression is correct.
Dominique Bouhours(1628~1702). 佛문법학자 1702년 5월27일
아무도 이해하지 못한단말인가?
Does nobody understand?
James Joyce(1882~1941) 율리시즈(Ulysses)의 저자. 아일랜드출신의 대문호 1941년 1월13일
죽음말고는 아무 것도.
Nothing, but death.
Jane Austen(1775~1817) 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의 작가. 영국의 소설가 1817년 7월18일
(그녀의 유일한 여동생 Cassandra Elizabeth이 필요한게 없는지 묻자 한 대답이다)
물론 위험하다는 것을 잘알아요. 여성들은 남성들이 시도해온 것들에 도전해야 해요.
실패한다해도 그 실패는 다른 이들에게 또다른 도전이 되겠죠.
Please know that I am quite aware of the hazards. Women must try to do things as men have tried. When they fail, their failure must be but a challenge to others.
Amelia Earhart(1897~1937) 미국의 여성비행사. 1937년 7월2일
(마지막 비행전에 남편 George Palmer Putnam에게 보낸 편지중에서.).
어떻게 된거지?
My God. What's happened?
Diana Spencer(1961~1997) 잉글랜드 왕자비 1997년 8월31일
(그녀의 사고를 둘러싸고 많은 음모론이 제기된 것 같은데, 그녀와 연인 Dodi Fayed가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것이 그녀의 사망원인으로 밝혀졌다.)
저 매화화분에 물을 주어라.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조선시대 유학자. 1570년 12월8일
간호사! 오래된 골동품같은 나를 살리려고 애쓰는 것 같은데, 이제 나는 끝난 것 같소.
Sister, you're trying to keep me alive as an old curiosity, but I'm done, I'm finished, I'm going to die.
George Bernard Shaw(1856~1950) 아일랜드출신 극작가, 1925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1950년 11월2일
(Shakespeare이후 최고의 극작가. 그리고 독설가! 그가 직접썼다는 묘비명은 이렇다.
'내 우물쭈물하다가 이렇게 될줄 알았지'(I knew if I stayed around long enough, something like this would happen.))
두번 죽지는 못하겠어. 너무 지루해.
I'd hate to die twice. It's so boring.
Richard Feynman(1918~1988) 물리학자. 1965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1988년 2월15일
(그의 학문적 성과는 노벨상으로 인정받은 것 이외에, 강의록 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다방면에 관심을 가진 인물이어서, 바이칼호 서쪽에 위치해 있지만, 누구도 모르는 Tuva라는 자치공화국을 세상에 소개한 인물이기도 하다. 단순히 우표를 보고 지도를 찾다가, 투바의 수도 Kyzyl이 모음 하나없는 단어로 구성된 것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방문을 계획한다. 그의 노력은 실로 놀라운 것이어서 투바어를 배우고, 펜팔을 시도하고, 차의 번호판을 'Tuva or Bust'로 하고 다닐정도였다. 하지만 당시는 냉전상태여서 구소련을 방문하는 것은 쉽지않았고, 물론 그가 노벨상수상자를 지위를 이용한다면 수월할 수 있었겠지만 그는 그러지않았다. 마침내 88년 여름에서야 여행허가가 나왔지만, 그때는 이미 그가 세상을 떠난 뒤였다.
올해 5월4일 United States Postal Service(USPS)에서 American Scientists시리즈로 젊은 시절의 파인만을 포함한 4명의 미국의 과학자를 도안한 우표 4종이 발행되는데, 때마침 5월11일이 그의 생일이라서 그가 어린 시절을 보낸 뉴욕의 Far Rockaway의 우체국은 성황을 이루기도 했다고 한다. 투바자치공화국으로 파인만의 우표가 붙은 수많은 편지가 답지하고 있다는...)
나는 이제 어둠 속에 한 발을 내디며. 마지막 여행을 떠나려 한다.
I am about to take my last voyage, a great leap in the dark.
Thomas Hobbes(1588~1679) 리바이어던(Leviathan)의 저자. 영국의 철학자.1679년 12월4일
잘있게...그런데 왜 출혈이 멈추지 않는 거지?
Good-bye... why am I hemorrhaging?
Boris Pasternak(1890~1960) 소설 '닥터 지바고'(Доктор Живаго)의 저자. 1959년 5월30일
(1958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지명되었으나, 러시아내의 수상반대 움직임으로 출국이 좌절되어 수상을 거부했다. 소설 '닥터 지바고'에서 지바고의 두 여인, 부인 Tonya와 연인 Lara Antipova는 실제 그의 부인인 Zinaida Nikolaevna Neigauz와 연인 Olga Ivinskaya를 모델로 한 것이 분명해보인다. 1949년 소련당국은 그의 작품성향을 문제삼다 그의 투옥대신 이빈스카야를 체포해서 시베리아로 유폐시키기도 했으며, 그는 가정을 유지하면서도 숨질 때까지 이빈스카야와의 연인관계를 이어갔다고 한다.)
샴페인을 좀더 마시고 싶었는데.
I wish I'd drunk more champagne.
John Maynard Keynes(1883~1946) 영국의 경제학자. 경제학에서 케인즈학파의 창시자.
(매년 10월10일에 발표하는 노벨 경제학상(Nobel prizes in economics)은 경제학의 거두인 Keynes 서거 23주년을 기념해 1969년에 제정된 것이다.)
검은 빛이 보인다!
I see black light.
Victor Hugo(1802~1885)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의 저자. 프랑스의 대문호 1885년 5월22일
(그는 '오늘의 문제는 투쟁, 내일은 승리, 모든 날의 문제는 죽음'이란 명언을 남기기도...)
축복을... 젠장 빌어먹을.
God bless... God damn.
James Thurber(1894~1961) 풍자만화가 1961년 11월2일
이번에는 그들이 성공한 것 같군.
I feel here that this time they have succeeded.
Leon Trotsky(1879~1940) 러시아 혁명가 , Russian revolutionary, d. 1940년 8월21일
(Lenin사후 스탈린과 대립하다, 1929년에 추방되어 멕시코에 정착하던 중 암살되었다.)
안녕, 친구들! 영광을 향해 나아갑니다.
Adieu, mes amis. Je vais la gloire.
Isadora Duncan(1878~1927) 무용가 1927년 11월14일
(프랑스 니스에서 드라이브를 하려고 친구 Ivan Falchetto의 오픈카에 오르는데, 그때 그녀가 목에 둘렀던 붉은 빛의 긴 스카프가 타이어에 감기면서 목뼈가 부러져 세상을 마감한다. 이 오픈카에 오르면서 친구들에게 한 작별의 말이 마지막이 된다. 그녀가 버나드 쇼에게 청혼했다가 거절당한 것은 너무나 유명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유럽공연중이던 1921년 가을, 그녀는17년 연하의 러시아의 詩人 Sergei Yesenin과 만난다. 둘은 러시아어도, 영어도 할 줄 몰랐지만 1922년 5월2일 결혼을 한다. 예세닌은 미국까지 따라가지만, 이내 그의 주벽때문에 헤어진다. 1925년 12월 27일 예세닌은 그녀와의 이별과 러시아혁명에 대한 절망으로 자해를 해서 피로 詩 '친구여! 잘있거라'(До свиданья, друг мой, до свиданья)를 쓰고, 파이프에 목을 메어 자살한다.)
스트레이트 위스키를 18잔 마셨어. 이건 아마 기록이겠지.
서른 아홉이 되도록, 내가 한거라곤 이게 전부로군.
I've had eighteen straight whiskies, I think that's the record...
'After 39 years, this is all I've done.'
Dylan Thomas(1914~1953) 영국의 시인 1953년 11월9일
(그는 뉴욕여행중에 술을 진탕 퍼마셨고, 투숙하던 Chelsea Hotel에 돌아와서는 '스트레이트 위스키를 18잔이나 마셨다'며 소리치다가 잠자리에 든다. 다음날 일어나서는 호흡이 곤란하다면서도 바에 가서 맥주 2명을 다시 마시고, 호텔에 돌아와서도 계속 호흡곤란을 호소해서 의사가 왕진을 오는데, '서른 아홉이 될 때까지 내가 한거라곤 이게 전부로군.'이라는 말을 남기고 혼수상태에 빠진다. 부검결과 그의 사인은 알콜중독으로 인한 뇌손상과 폐렴이었다.)
왜 우느냐? 내가 영원히 살줄 알았느냐?
Why do you weep. Did you think I was immortal?
Louis XIV(1638~1715) 프랑스의 왕, 태양왕 1715년 9월1일
('짐이 곧 국가다'(L'etat, c'est moi.)라며 강력한 절대왕권을 역설하던 제왕도 이렇게 쓰러진다. 루이14세는 악취가 엄청나게 심했다고 하고, 당시에 그가 세운 Versailles궁전은 화장실이 없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기도 하다. 하긴 그래서 프랑스를 중심으로 향수문화가 발달하기도 하지만... 그런데 이렇게 냄새나고 안 씻는 왕이 어떻게 분산된 질서를 통합해서 중앙집권이라는 근대적 권력질서를 형성하고, 근대적 합리성과 에티켓문화를 구축할 수 있었는지 의심스럽기도 하다. 그리고 루이14세와 관련된 세밀한 진료기록이 아직 남아있는 모양인데, 그에게 행해진 당시 최고의 의료행위는 지금보면 거의 고문수준인것 같다. 악취를 제거하기위해 이빨을 모두 뽑히기도 하는.)
저 벽지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내가 죽어가고 있는 거겠군.
Either that wallpaper goes, or I do.
Oscar Wilde(1854~1900) 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The Picture of Dorian Gray)의 작가, 1900년 11월30일
(19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작가였으나, 1895년 동성애 혐의로 2년간 노역형. 1897년에는 국외로 추방되어 파리에서 쓸쓸히 생을 마감했다.)
막을 내려라! 빠른 음악을 틀고 조명을 준비해. 마지막 대단원을 준비하자구. 멋지군! 쇼는 멋졌어. 정말 멋있었어!
Curtain! Fast music! Light! Ready for the last finale! Great! The show looks good, the show looks good!
Florenz Ziegfeld(1869~1932) 브로드웨이 공연기획자. 1932년 7월22일
벗들이여 박수를 치게. 코미디는 끝이 났네
Friends applaud, the comedy is finished.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작곡가 1827년 3월26일
(그는 20대 중반부터 심각한 위장장애로 고생했고, 1826년부터 건강이 급격히 악화된다. 보통 베토벤이 매독에 걸려 치료제로 수은을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어, 간질환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결과는 기존의 견해와는 다른 것이었다.
베토벤 사후. 부검을 앞두고 있는 1827년 4월.
후에 피아니스트이며 작곡가가 되는 당시 17살의 Ferdinand Hiller가 부검을 앞두고 있는 베토벤의 시신안치소를 그의 스승 Johann Nepomuk Hummel와 함께 방문하게 되는데, 무슨 생각이었는지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잘라서 가져도 되는지 스승에게 묻는다. 후멜이 승락하자 베토벤의 머리칼 몇 오라기를 자르게 되는데, 이 머리칼은 그후 그의 아들 Paul Hiller의 생일선물로 주어졌고, 1911년 진공상태로 봉인해서 그후로 Hiller집안에서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1943년 10월 나치의 대대적인 유태인 소개작전에 전개되고, Hiller집안도 덴마크를 거쳐 스웨덴으로 도피하게 된다. 이때 덴마크인들이 7천명이상의 유태인을 스웨덴으로 도피시켜 주는데, 이에 감사의 표시로 덴마크인 의사 Kay Alexander Fremming에게 선물로 주게된다. 그후 Fremming의 집안에 보관되던 머리칼은 1994년 영국 Sotheby경매장에 매물로 나왔고, 미국의 열렬한 베토벤동호회인 American Beethoven Society에게 3600파운드에 경락된다.
그래서 이 머리칼을 통해 베토벤의 사인을 추정하는 연구가 진행되는데, 매독치료제로 쓰였던 수은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요즘의 보통성인에게 검출되는 것의 최고 100배이상의 납성분이 검출되었다. 이런 납중독은 당시 다뉴브강의 심각한 오염에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납중독이나 요즘도 불치병으로 간주되는 SLE(Systemic Lupus Erythematosus)같은 면역체계교란 질환에 의한 사망이 추정되고 있다. 그리고 마약성 진통제의 성분은 발견되지 않았다. 베토벤은 이런 고통들 가운데도 죽는 순간까지 작곡에 몰두했다. 그래서 베토벤의 음악은 보통의 인간이 만들어 낼수 있는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오늘은 죽기 좋은 날이군. 당신 모두를 용서하겠소. 神 또한 그러리라 믿소.
Today is a good day to die. I forgive all of you. I hope God does too.
Mario Benjamin Murphy 1997년 9월17일 텍사스州 약물주사로 형집행
내 가슴을 쏴라
Shoot me in the chest!
Benito Mussolini(1883~1922) 이탈리아의 독재자. 파시즘(Fascism)의 창시자. 1945년 4월28일
(그는 스위스로 도망가려다 1945년 4월 25일 이탈리아 반(反)파쇼 의용군에게 체포되었고, 28일 애인이었던 Claretta Petacci와 함께 사살되었다.)
바보같은 녀석들아! 똑바로 쏴. 망치지 말고
Shoot straight you bastards and don't make a mess of it!
Harry "Breaker" Harbord Morant(1864~1902) 호주의 시인, 군인 1902년 2월27일
(영국이 남아프카에서 벌인 보어전쟁(1899~1902)에는 호주를 비롯한 영연방의 군대들이 참전하게되는데, Morant중위의 부대가 포로인 독일인 목사를 살해하는 일이 일어난다. 이때 호주군인의 재판관할권 문제가 제기되어, Morant등의 호주군인들이 정치적 희생양이 되어 처형된다.)
기억하시오. 사형은 살인이요.
Remember, the death penalty is murder.
Robert Drew. 1994년 8월2일 텍사스州 약물주사로 형집행
내가 가진 모든 것은 아주 짧은 한순간을 위한 것이었다.
All my possessions for a moment of time.
Elizabeth I(1533~1603) 영국여왕 1603년 3월24일
(그녀는 대영제국의 여성 CEO였다. 스코틀랜드의 여왕 Mary Stuart와 경쟁했으며, 유럽열강의 틈바구니에서 잉글랜드를 British Empire의 반열로 올려놓은 것은 그녀의 공로라 할 수 있다.)
노무현 대통령에게
나는 살고 싶습니다.
나는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습니다.
제발 이라크에 한국 군인들을 보내지 말아 주십시오.
제발! 이건 당신의 실수입니다.
To President Roh, MooHyun.
I want to live.
I want to go to Korea.
Please, don't send to Iraq Korean soldiers
Please, this is your mistake
This is your mistake
많은 한국인들은 이라크에 보내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모든 한국 군인들은 이라크에서 나가야합니다.
제발. 제발. 이건 당신의 실수입니다.
왜 당신은 왜 당신은 한국군을 이라크에 보냈나요?
Many Korean people don't like their to send to Iraq
All Korean soldiers must out of Iraq
Please, please this is your mistake
Why do you send why do you send Korean soldiers to Iraq
고국에 계신 한국 동포에게. 제발 저를 도와주십시오.
제발. 대통령! 제발, 부시! 제발, 노무현 대통령!
제발 이라크에서 나가 주십시오.
To my all people all Korean people please support me.
please, * President please Bush to President Roh, MooHyun.
김선일(1970~2004) 가나 제너럴 트레이딩 컴퍼니 직원. 2004년 6월22일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저 하늘 참 맑다.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 조선시대 유학자. 1572년 2월8일
**** 사진은 Ludwig van Beethoven의 데드마스크 입니다 ****
첫댓글 감동...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