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시는 왜 해야 합니까?
- 10가지 공덕행 토대Puñña-kiriya-vatthu에서 보시는 첫 번째로 소개됩니다.
- 업의 작용에 따라 우리는 과거에 빼앗았기 때문에 오늘 빼앗깁니다. 마찬가지로 과거에 베풀었기 때문에 오늘 풍족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 베풀기 때문에 현생과 내생에 풍족할 것입니다. 이것이 업과 과보를 이해하는 지혜kammassakatā-ñāṇa입니다.
- 보시와 같은 공덕행은 인과의 법칙에 따라 망갈라mangala라는 최고의 축복, 길상의 결과를 줍니다. 공덕행을 통해 여러 상서롭고 좋은 과보들, 행운들이 생깁니다.
- 공덕이 충만할 때, 우리에겐 금생과 내생의 안정적인 의지처가 생깁니다. 이 의지처를 토대로 우리는 금생의 이익, 내생의 이익, 궁극적인 이익을 편안한 상태에서 추구할 수 있습니다. 편안하고 행복한 자에게 집중력과 통찰하는 지혜가 생깁니다.
-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불자들에게는 '상가saṅgha'라는 '세상의 위없는 복밭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특별한 보시 대상이 있습니다. 상가에게 한 보시는 아주 작은 보시로도 매우 큰 결과를 가져옵니다.
2. 보시에 대한 설명
- 베푸는 것에 따라 2가지가 있습니다.
- 의도 보시cetanā dāna: 베풀려는 유익한kusala 의도를 말합니다. 보시물에 투영된 유익한 정신적인 태도입니다.
- 물품 보시vatthu dāna: 베푸는 물건을 말합니다.
- 보시의 전·중·후에 따라 3가지가 있습니다.
- 보시 전에 일으키는 의도pubba-cetanā가 있습니다.
- 보시 중에 일으키는 의도muñca-cetanā가 있습니다.
- 보시 후에 일으키는 의도apara-cetanā가 있습니다.
- 보시의 결과는 의도가 결정합니다.
- 보시가 크고 웅장하다면, 의도 또한 원대합니다. 원대한 의도는 원대한 과보로 돌아옵니다.
- 거칠고 보잘것없는 보시일지라도 기쁜 마음으로 정성껏 올리면 훗날 큰 과보를 얻습니다. 따라서 보시할 땐 덕이 높은 곳에 기쁜 마음으로 보시해야 합니다. 선행을 하실 때 후회하거나 부끄러워하지 마시고 기뻐하시길 바랍니다.
- 보시할 때 이 보시의 과보에 욕심내며 보시하는 것이 아닌, 보시라는 공덕행 그 자체에 기쁘고 행복한 마음이 드시기를 기원합니다. '유익한 행위를 하는 그 자체를 기뻐하는' 순수한 자에게 공덕은 역설적이게도 더 크게 돌아옵니다.
- 최고의 보시는 무엇입니까? 승가에게 올리는 보시saṇghika-dāna입니다.
- 승가에게 1원을 보시하면 전 세계의 모든 승가 구성원들이 1원을 받는 셈입니다. "saṃghassa demi(승가에 보시합니다)"라고 거듭 말하며 상가 전체를 향해 보시하는 마음을 냅니다.
- 우 실라 사야도께 공양할 때, 사야도 개인에게 보시한다는 마음을 내면 아까운 기회가 됩니다. 사야도 개인에게 보시하면 비구 개인에게 보시한 것puggalika-dāna이지만, 승가 전체에 보시하는 마음을 내면 사야도를 포함한 모든 승가 구성원들에게 똑같이 보시saṇghika-dāna한 것이 됩니다. 공덕의 크기가 다릅니다.
- 승가에 보시할 때 보시자의 마음은 승가 전체로 향해 있어야 합니다. 이때 승가에 속하는 어떤 사람에게 보시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승가 전체에 보시한 셈이 됩니다. 왜냐하면 서로 나누어 쓰기 때문입니다. 승가 구성원 모두가 그런 보시를 받은 것입니다. 마음속에 특정한 스님이나 사원을 지목하고 있다면 그 보시는 승가에 하는 보시가 아닙니다.
- 승가 전체에 하는 보시saṇghika-dāna에는 아라한도 포함됩니다. 개인적인 보시에는 아라한이 포함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승가 전체에 하는 보시는 가장 도가 높은 스님도 포함된다고 편하게 추론할 수 있는 반면, 개인적인 보시는 보시받을 스님을 까다롭게 선택해야 합니다. 승가 전체에 보시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하는 보시보다 더 강력하고 더 공덕이 된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3. 누구에게 보시하면 더 큰 결과가 있습니까?
- 보시받는 대상이 덕이 높을수록 보시의 공덕이 큽니다.
- 축생에게 보시하면 보시한 것의 100배의 이익을 얻습니다.
- 계를 지키지 않는, 행실이 나쁜 범부에게 보시하면 1천 배의 이익을 얻습니다.
- 계를 지키고 행실이 바른 범부에게 보시하면 10만 배의 이익을 얻습니다.
- 선정이나 신통을 성취한 외도 수행자에게 보시하면 1천억 배의 이익을 얻습니다.
- 수다원Sotāpanna에게 보시하면 헤아릴 수 없는Asaṅkheyya 이익을 얻습니다.
- 사다함Sakadāgāmī에게 보시하면 100명의 소따빤나에게 보시한 것보다 더 큰 이익을 얻습니다.
- 아나함Anāgāmī에게 보시하면 100명의 사까다가미에게 보시한 것보다 더 큰 이익을 얻습니다.
- 아라한arahant에게 보시한다면 100명의 아나가미에게 보시한 것보다 더 큰 이익을 얻습니다.
- 벽지불Paccekabuddha에게 보시한다면 100명의 아라한에게 보시한 것보다 더 큰 이익을 얻습니다.
- 부처님께 보시한다면 100명의 벽지불에게 보시한 것보다 더 큰 이익을 얻습니다.
- 승단에게 하는 보시는 개인에게 하는 보시보다 더 수승합니다.
- 특정한 수의 비구니들에게 올린 보시가 일곱 번째로 과보가 큽니다.
- 특정한 수의 비구들에게 올린 보시가 여섯 번째로 과보가 큽니다.
- 특정한 수의 비구와 비구니들에게 올린 보시가 다섯 번째로 과보가 큽니다.
- 전체 비구니 승단에 올린 보시가 네 번째로 과보가 큽니다.
- 전체 비구 승단에 올린 보시가 세 번째로 과보가 큽니다.
- 부처님께서 반열반에 드신 후 전체 비구와 비구니 승단에게 올린 보시가 두 번째로 과보가 큽니다.
- 부처님이 현존하실 때 부처님을 포함한 전체 비구와 비구니 승단에게 보시하는 것이 제일 과보가 큽니다.
- 승가에게 한 일회성 보시보다 장기적으로 승가에 이익을 주는 영구적인 보시가 더 수승하고, 보시보다 수행을 하는 것이 더 수승합니다.
- 사방승가cātuddisa-saṅgha를 위해 승원(vihāra)을 건립하는 것이 일회성 보시들보다 훨씬 더 큰 결실이 있습니다.
- 사방(=동서남북 네 가지 방향) → 특정한 지역이나 개인, 특정 공동체에 한정되지 않는 비구 또는 비구니 승가 공동체
- 특정한 스님이나 개인적 친분이 있는 수행자를 지정하지 않고 온 세상의 모든 방향에서 오는 출가자에게 열려있는 보편적이고 무차별적인 승가
- 어느 한 스님의 것이 아니라, 모든 출가자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불교 교단 전체의 공동 자산
- 부처님・가르침・승가의 삼보에 귀의하는 삼귀의 공덕이 사원 건립 보시의 공덕보다 큽니다.
- 오계를 지켜 청정한 생활을 하는 지계 공덕이 삼귀의 공덕보다 큽니다.
- 잠시라도 자애 명상을 닦는 사마타 수행 공덕이 지계 공덕보다 큽니다.
- 찰나라도 무상의 인식을 닦는 위빳사나 수행 공덕이 사마타 수행 공덕보다 큽니다.
- 결국 지혜에 이르는 수행이 최상의 공덕이며, 보시 행위는 선행의 첫걸음이자 기초 단계임을 강조하신 것입니다.
4. 필자가 추천하는 보시의 방식
- 매일, 정기적으로 보시하기를 추천합니다. 하루에 1천 원이라도 좋습니다. 자주자주 보시하고 회향하시길 추천합니다.
- 보시할 때는 부처님께 공양 올리는 상상을 하고, 벽지불과 승가 전체에 보시하는 의도를 내시길 추천합니다. 이로써 부처님을 으뜸으로 하는 승가 전체에 보시하는 광대한 공덕을 쌓을 수 있습니다.
- 세간의 이익을 바라며 보시하지 마시고 열반nibbāna을 얻기를 바라며, "Nibbānassa paccayo hotu!(열반의 조건이 되기를)"라고 거듭 말하며 보시하시기를 추천합니다. 출세간의 이익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 힘을 가진 빠라미 공덕은 세간의 이익 정도는 당연하게 성취할 수 있게 나를 도와줄 것입니다.
- 보시한 후 회향할 때는 31천의 모든 존재에게 회향pattidāna하여 자신의 공덕몫patti을 다른 이에게 보시dāna하시길 추천합니다. 어떻게 모든 존재에게 회향합니까? 관련한 내용이 여기에 있습니다. 이로써 돌아가신 부모님들, 아귀 등으로 재생한 옛 친척들, 자신을 보호하는 천신들, 지옥을 벗어날 기회를 주는 염라대왕들을 이롭게 하고 자신도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5. 향천선원 보시 매뉴얼
향천선원에서 보시하는 일반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분류는 보시금의 용처에 따른 분류일 뿐입니다.
모든 보시의 의도를 앞서 설명드린 대로 부처님을 으뜸으로 하는 승가 전체에 대한 보시, 열반을 바라는 출세간 목적의 보시로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아래 보시들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선원 전화번호(02-2254-3100)로 연락 주시면 위사카 선원장님께 연결됩니다.
- 운영금 보시
- 인등 보시(Dīpa-dāna, 등불 보시)
- 정기후원 계좌: 국민은행 870301-04-001618 유광옥(향천선원)
- 매월 1만 원의 정기 후원을 합니다. 가족 축복 기도를 올리며 선원 부처님 불상 앞에 등불을 켭니다.
- 향천선원에서 수행자들이 편안히 수행하도록 돕는 기본 운영비로 사용합니다.
- 운영 보시(Āvāsa-dāna, 거처 보시)
- 정기후원 계좌: 국민은행 491001-01-286662 유광옥(웰루와나상가후원회)
- 선원이 안정적으로 법을 펼칠 수 있게 하고, 수행자들의 거처인 선원을 유지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물질적 보시입니다.
- 선원의 전체적인 운영비(전기, 수도, 난방, 관리비 등)를 포함한, 보다 넓은 의미의 운영 후원금입니다.
- 후원금 보시
- 지도법사 필수품 보시
- 정기후원 계좌: 국민은행 491001-01286659 유광옥(웰루와나상가후원회)
- 지도법사이신 우 실라 사야도께 수시로 후원하는 필수품 보시물입니다. 언제나 후원하시는 보시물은 법사님께서 필요한 것을 요청하실 때 여법하게 후원해 드립니다.
-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을 전해주시는 법사님께 후원하므로 부처님의 법이 훼손 없이 오래오래 머물기를 서원합니다.
- 해외상가 필수품 보시
- 정기후원 계좌: 국민은행 491001-01-286646 유광옥(웰루와나상가후원회)
- 해외상가에 후원합니다. 특정 스님께 후원하기를 원하신다면 입금 시 '보시자이름(스님법명)'으로 입금해 주시면 됩니다.
- 다음과 같이 후원하는 스님께 알려드립니다.
"반떼, (보시자 이름)이 상가 또는 (스님 법명) 반떼께 00만 원의 가치로 허용되는 필수품을 보시하여 상가후원회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반떼께서 필요시에 언제든지 요청하시면 준비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법회 전후로 필수품 보시
- 법회 전후로 지도법사이신 우 실라 사야도께 물품을 직접 보시하실 수 있습니다. 미리 선원장님께 말씀하시고, 선원장님이 보시 올려도 된다고 말씀하실 때 보시물을 법사님께 올리시면 됩니다. 이 보시는 보시 공덕을 지켜보는 다른 재가자들도 "사두"라고 외치며 수희찬탄(anumodanā, 따라 기뻐함) 할 수 있으므로 더욱 권장됩니다.
- 법회 후 인터뷰 시간에도 개인적으로 우 실라 사야도께 물품 보시가 가능합니다.
- 불사금 보시
- 불사 후원(Vihāra-dāna, 선원 건립 보시)
- 정기후원 계좌: 국민은행 491001-01-286716 유광옥(웰루와나수행공동체)
- 스승들을 모시고, 보시 공덕을 쌓고, 법과 율을 배우며, 고요히 수행하고, 재가자가 언제든 단기 출가를 할 수 있는 청정한 수행도량vihāra을 짓기 위한 보시금입니다.
- 사방승가cātuddisa-saṅgha를 위해 승원(vihāra)을 건립하는 것은 일회성 보시들보다 훨씬 더 큰 결실이 있습니다.
- 빤짜간다바라밀공덕회 가입
- 연회비 보시(1,000달러)
- 정기후원 계좌: 국민은행 491001-01-286761 유광옥(빤짜간다바라밀공덕회)
- 연회비 목적: 매년 정기적 연회비를 보시함으로써 선원이 안정적으로 상가 후원과 법보시를 이어나갑니다.
- 연회비 사용처: 사야도 후원금(의료보험 등 체류비, 미얀마 후원 등), 법보시 활동(출판, 영상), 초청법회 기획(10일~1개월)
- 1천 달러를 일시납 혹은 분납하실 수 있습니다. 1천 달러를 달러 대신 해당 연도 환율에 따른 원화로도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