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시10분
3일 코스피지수는 변동성 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임진년 새해 첫 거래일인 지난 2일 코스피지수는 강보합세로 장을 마쳤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시가 하락한 가운데 코스피지수는 장 초반 오름세로 장을 출발했다. 이후 장중 '팔자'로 돌아선 외국인과 프로그램 매물 부담에 하락 반전했으나 오후 들어 매수세를 강화한 기관 덕에 강보합권에서 장을 마감했다.
미 뉴욕증시는 2일(현지시간) 신년 연휴를 맞아 휴장했다. 다만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일부 유럽증시가 독일과 중국의 양호한 경제지표에 힘입어 상승했다는 소식은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당분간 코스피지수는 박스권에 갇힌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국가신용등급 검토 가능성, 2~4월 이탈리아 국채 만기를 앞둔 유럽 우려로 코스피지수 상단이 제한될 것이다. 동시에 국내 저가매수와 정보기술(IT)주 중심의 실적 개선 기대로 하단이 지지, 1800선 초반부터 1800선 후반의 좁은 박스권에서 지수가 등락할 것이라 내다본다.
아울러 최근 IT주 강세는 이후 한국증시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나타낼 수 있는 요인이란 전망이다.
최근 IT업종만 강세를 보이면서 과도한 집중과 나머지 업종의 극심한 소외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IT만의 강세로 평가절하할 필요는 없고, 이후에도 한국증시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일 수 있는 중심축이란 점에 포커스를 맞춰야 할 것이다.
과거 IT업종 비중의 역사적 고점과 비교하면 아직 추가적인 비중확대 여력이 남아있고, 과거 외국인 주도의 IT 강세와는 달리 현재는 국내 기관이 주도하고 있다는 차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변동성 장세 속에서 이익변동성이 낮으면서 실적추정치가 상향된 종목에 관심을 필요가 있다.
유로화 약세 지속 가능성과 4분기 기업실적에 대한 기대감 약화로 증시 상승 모멘텀이 부족한 상황이며 최근 변동성 장세 속에서 순이익 추정치가 상향된 종목, 이익 변동성이 낮은 종목, 견조한 자기자본이익률(ROE)이 기대되는 저 주가순자산비율(PBR) 종목을 추천한다.
11시05분
코스피지수가 유럽 훈풍에 약 2% 급등, 장중 1860선을 웃돌고 있다.
3일 오전 11시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37.57포인트(2.06%) 오른 1863.94를 기록하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1% 이상 뛰며 장을 시작했다.
이후 기관이 매수 규모를 늘리면서 지수도 상승폭을 확대해 가고 있다.
기관은 1317억원, 외국인은 946억원을 순매수 중이다. 프로그램도 양호한 흐름을 나타내며 증시 상승을 돕고 있다. 차익 거래를 통해서는 1814억원, 비차익 거래를 통해서는 1659억원이 들어와 전체 프로그램은 3473억원 매수 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개인만 홀로 4201억원어치의 주식을 팔고 있다.
의료정밀, 의약품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상승하고 있다.
운수창고, 서비스업, 증권, 운수장비, 화학, 운수장비, 철강금속, 건설업, 제조업 등이 2~3%대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가 총액 상위 종목들도 대부분 뛰고 있다. 시총 상위 50위권 내에서는 기업은행, 강원랜드를 제외한 모든 종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 포스코, 현대모비스, LG화학, 현대중공업, 신한지주, 한국전력, SK이노베이션, S-Oil이 2~4% 오르는 중이다. 대장주인 삼성전자는 장중 110만원까지 올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기업은행은 1.61% 하락하며 6거래일 연속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기엄은행은 이날 장 전 중소기업의 대출금리 인하 등으로 올해 연간 순이익이 전년 대비 약 4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공시했다.
코스닥지수도 1%대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5.41포인트(1.07%) 오른 512.20을 기록 중이다.
기관과 개인이 각각 38억원, 70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은 48억원 매도 우위로 이틀째 '팔자'를 외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하루만에 반락했다.
현재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5.55원(0.48%) 내린 1150.25원에 거래되고 있다.
15시30분
유럽발 훈풍에 코스피지수가 2% 이상 껑충 뛰며 1870선을 회복했다.
3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49.04포인트(2.69%) 오른 1875.41을 기록했다.
코스피지수는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1% 이상 뛰며 장을 시작했다.
이후 투자 주체들의 매수세가 점차 강해지면서 지수도 상승폭을 늘렸다.
기관은 2858억원, 외국인은 3154억원 순매수를 기록했다. 전체 프로그램도 9535억원 매수 우위로 잠정집계돼 증시 상승의 든든한 우군이 돼줬다. 차익 거래를 통해서는 4824억원, 비차익 거래를 통해서는 4711억원이 들어왔다.
의료정밀, 은행, 종이목재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상승했다. 운수장비, 운수창고, 철강금속, 서비스업, 증권은 3%대, 화학, 제조업, 금융업, 건설업, 전기가스업, 전기전자, 보험, 음식료업은 2%대 오름세를 나타냈다.
시가 총액 상위 종목들도 대부분 강세를 탔다. 시총 상위 50위권 내에서는 기업은행, 엔씨소프트를 제외하고 일제히 주가가 뛰었다. 현대차, 포스코, 현대모비스, LG화학, KB금융, SK이노베이션, S-Oil 등이 3~6% 상승했다.
대장주인 삼성전자는 2.31% 오른 110만5000원으로 장을 마감해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기업은행은 1.61% 하락해 6거래일 연속 약세를 보였다. 기업은행은 이날 장 전 중소기업의 대출금리 인하 등으로 올해 연간 순이익이 전년 대비 약 4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공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상한가 7개를 비롯 574개 종목이 올랐다. 263개 종목은 하락했으며 65개 종목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유럽, 중국 경제지표가 양호하게 나오면서 국내 증시가 바닥권으로 떨어지지 않을 것이란 안도감에 반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들 경제지표의 연속성은 아직 미지수라 지수가 탄탄한 상승세를 잇지 못하고 다시 흔들릴 수 있다.
오늘 9500억원 규모의 매수세가 유입된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 거래의 경우 베이시스(선·현물가격차)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자금이 들어왔다 빠질 수 있다. 경험적으로 배당락일 이후 일주일 안에 프로그램 매물이 소화된 사례가 없어 아직 프로그램 매물 압력을 조심해야 할 때이다.
실적 개선, 수급, 모멘텀이 뒷받침 되는 전기전자(IT)업종이나 프로그램 압력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중소형주를 단기 매매하는것이 좋을듯하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하게 잘 읽었습니다~^^
시황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대장님.... 나으리님 방학이라 많이 바쁘시죠...?
네~누님~넘 바빠용,,,ㅠ.ㅠ
감사합니다
시황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