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해를 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많은 아이들은 '감정이 끓어 올라서.' 자해를 한다고 합니다.
얼마나 힘이 들까요.
그래서 아이들에게 물어봅니다.
'어떤 감정이 끓어오르는 것이니?'
대부분 아이들이 하는 대답은 '그냥 짜증이 나요.'입니다.
짜증.
너무나 많은 것을 담고 있는 단어입니다.
특히 그 나이 때 아이들에게는 셀 수 없이 많은 감정이 이 짜증이라는 단어에 담겨 있습니다.
화가 나는 것도 짜증이 나는 것이고, 슬픈 것도 짜증이 나는 것이고, 심지어 무료한 것도 짜증이 나는 것입니다.
이렇게 많은 감정이 하나의 단어에 담겨 있으면, 우리는 해결하기 어려운 너무나도 큰 감정의 덩어리를 마주하게 됩니다.
사실 감정이라는 것은 아주 세분화되어 있는 것입니다.
살면서 얼마나 많은 일을 겪습니까. 얼마나 많은 감정을 느낍니까.
그런데 그 많은 감정이 한 단어에 들어가서 우리에게 인식되어 버리면, 그 덩어리는 너무 큰 덩어리가 되어버립니다.
그러면 너무 커져버린 그 감정의 덩어리를 처리할 방도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런 자해하는 아이들에게 처음 하는 훈련이 '감정 나누기'입니다.
먼저 짜증이라는 단어에서 '화, 슬픔, 무료, 공허' 등을 분류 해 냅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단어들의 의미로 말이죠.
이 과정을 통해서 다른 사람들과 감정을 공유하기 쉽게 만들어 줍니다.
더 나아가면, '슬픔'도 여러 종류로 나눕니다.
어머니를 떠올릴 때 느껴지는 슬픔과 헤어진 남자 친구를 떠올릴 때 느껴지는 슬픔은 다르겠지요.
이렇게 종류로 나눌 수도 있고, 감정의 강도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감정을 나누고 나누다 보면,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감정들이 생깁니다.
나누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 감정이 생긴 원인과 과정, 결과를 파악하게 되지요.
그러면 그 감정이 스스로 이해가 되고, 이해가 되면 처리됩니다.
처리된 감정은 가끔 떠오를지언정, 이전에 아이들이 표현하던 대로 '끓어오르'지는 않습니다.
반대로 세분화하지 못 한 감정은 너무나 큰 덩어리라서 엄두조차 낼 수 없습니다.
이렇게 큰 감정 덩어리의 원인을 찾고 찾고 찾다 보면, 결국 '태어난 게 죄'가 됩니다.
안 태어났으면 이런 감정 덩어리가 안 생겼을 테니까요.
결국 태어나지 않은 상태가 되기 위해 자해를 하고, 자살을 시도하게 되겠죠.
그런데 요즘 사회 문제가 논의되고 처리되는 과정을 보면, 너무 큰 덩어리로 문제를 보고 해결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사회 문제라는 것이 어차피 인간이 문제인 것인데, 그 문제를 너무 큰 집단으로 보는 것 같아요.
'페미니스트'가 문제고, '검사'가 문제고, '이대남'이 문제고, '586'이 문제라고 하면... 이 얼마나 큰 덩어리입니까.
세분화를 한 단계 정도 해도 너무 큰 덩어리라고 느껴지는데요.
감정의 해결은, '아주 세분화된 감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세밀하게 파악해서, 자연히 처리되도록 보조' 해주면 됩니다.
사회 문제의 해결은 '아주 세분화된 집단이, 세밀하게 어떠한 점이 문제인지 파악해서, 그 부분이 처리되도록 보조' 해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정신과 의사에게 많은 사람들이 '내 이 커다란 감정 덩어리를 한방에 없애주세요.', '내 이 고민과 감정의 커다란 응어리를 시원한 말 한방으로 날려주세요.'라고 부탁합니다.
그렇지만 그런 방법은 없습니다.
꾸준히 하나씩, 아주 조금씩, 숟가락으로 벽을 뚫는 빠삐용의 심정으로 해나가는 수밖에 없습니다.
사회 문제도 뭔가 한방에 해결될 리 없겠죠.
문제를 일으키는 아주 작은 그 집단을 잘 찾아서, 그들이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를 이해하고, 그들이 그렇게 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이 결국 가장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큰 집단으로 묶어서 이야기하는 사람은 그냥 욕을 하고 싶은 것이거나, 갈등을 조장하고 싶은 것이거나, 실은 관심이 없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병원이 수기차트를 쓰던 곳인데, 들어가서 전자차트 도입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빴네요 ㅠ
글을 쓸 수 있는 공간 그대로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첫댓글 나눈다..divide and r..
대영제국의 기상이 나올 것 같은...?!
작은 문제는 냅둬도 해결되니 작은 문제이다. 그러니 신경 쓸 필요 없다.
큰 문제는 개인의 힘으로 어차피 해결할 수 없으므로 큰 문제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니 역시 신경 쓸 필요 없다.
어떻게 보면 굉장히 무책임한 말인데, 저렇게 살면 스트레스를 받을 일이 없겠죠.
철학, 심리학에서 '불안'에 대해 굉장히 많은 정의와 논의가 오가는데(멀리는 부처부터 가깝게는 하이데거까지..), 불안하지 않으면 스트레스가 생기지 않을 것이고, 스트레스가 생기지 않으면 감정에도 휘둘리지 않을 겁니다.
인생의 진리라는게 어떨 때는 굉장히 멀고 어려워 보이다가도 어떨 때는 또 굉장히 가깝고 쉬워 보인단 말이죠..
물론 그걸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느냐는 또 별개의-사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지점인데-문제입니다만.
스트레스를 전혀 안 받을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ㅋㅋ 누구나 약점이 있고, 그게 자극을 받는 것은 언제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니 ㅎㅎ
앗 돌아오셨군요! 정말 현생이 바쁘면 한 글자도 쓰기 참 어려워진다는 ㅠㅠ
그러니까요... 전문의 되면 편해진다던 선배들 다 어디 갔는지...
감정을 자잘하게 나눈다라... 엄청 어렵네요. 생각할 이야기가 많은 주제인것같습니다.
쉽다가도 어려운 것이 감정인 것 같습니다 ㅎ
오랜만에 돌아오셨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
오랜만에 올라오는 글이군요. 감정 나누기라고 하시니 떠오르는 게 있네요. 저소득층인가 저학력층인가에게 철학을 가르치면서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알아보던 실험 방송이 있었는데, 철학과 같은 걸 배우지 못했을 때엔 자기가 왜 화났는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그걸 어떻게 처리해야하는지도 몰랐던 사람들이 철학과 같은 고도의 논리적 사고를 훈련하게 되자(엄청 대단한 훈련을 받은 건 아닙니다. 책 한 권 정도였던가..) 자기가 무엇 때문에 화가 났고 어째서 화가 났는지, 그걸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스스로 깨닫게 되면서 이전보다 훨씬 나은 삶이 되었다고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실제로 너무 많은 것들이 쏟아지게 되면 그걸 하나의 큰 덩어리, 혹은 하나의 큰 사건 정도로 받아들이고 처리하게 되는데, 그럴 경우 무조건 문제가 생기죠. 이걸 세분화시켜서 어떻게 나누고 구분하며 각기 어떻게 처리해야할지 우선순위와 방법을 정해야 하는데, 간단해보여도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그만한 정신적 여유가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요. 알다시피, 그런 문제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면 너무 바빠지니 말입니다. 사실 이런 경향이 사회전반적으로 퍼지면 파시즘으로 흐르기 쉽다고 하네요.
문제가 너무 커지면, 큰 한방으로 해결하고 싶다는 환상에 사로잡히거나, Reset 해버리고 싶어지죠. 그러면 광기에 휩싸이고... 전쟁이나 뭐 그런 것이 일어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문제는 작게 나누어서 처리하는 것이 최고인 것 같습니다.
흑흑 안 돌아오실 줄 알고 걱정했습니다 ㅜㅜ 좋은 글이네요. 물론 읽고 고민중입니다. 내가 짜증이라고 하는 감정은 어디부터 일어나는거고, 내 어조는 왜 내가 짜증이 났다고 생각하지 않음에도 이미 티가 나는건지..다시 고민해봐야..
ㅎㅎ 그걸 가리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니까요. 본인이 깨닫고 있다는 것만도 대단한 일입니다 ㅎ
법륜스님께서 항상 강조하는 즉문이죠. '알아차리는 것' 부터가 모든 수행의 시작이라고.
Metacognition 관점에서 불교는 대단한 학문이죠 ㅎㅎ 사실 불교가 모티브인 정신과 치료들이 최근 상당히 발전 중입니다. 다만 그걸 할 정도의 환자분은 중증이 아니라 경증인 분들이라서, 약 한알이면 좋아진다는 것이 또 다른 문제이지만요 ㅎㅎㅎ
오랜만에 글 쓰셨네요.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정신과 외에 이렇게 감정을 쪼개는걸 매우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곳이 문학이죠. 시에서 슬픔이라는 감정을 노래하기 위해선 절대 '슬픔'이나 '눈물'같은 큰 단어를 쓰지 않습니다. 그것을 쪼개고 쪼개고 쪼개서 즈려밟힌 진달래꽃이나 남의 나라에 있는 육첩방 같은 아주작은단어로 만들때 비로소 공감할 수 있는 시가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