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여행블로거기자단
 
 
 
카페 게시글
문화 예술 전시 스크랩 흰도포에 검은 갓을 쓰고 춤을 추는 동래학춤
바람흔적 추천 0 조회 744 10.09.06 14:39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태풍이 지나갔지만 더위는 여전한날이었다. 부산  수영사적공원내의

                              수영민속예술관 놀이마당에서 수영전통민속예술제가 열리고 있었다. 

                              수영야류, 좌수영어방놀이, 수영농청 놀이발표공연 속에 동래학춤이

                               객원공연으로 들어있었다. 

 

                              부산 살면서 그 유명한 동래학춤을 한번도 보지 못했는데 오늘 그

                              공연을 보며  학의 고고함 을  새삼 느끼게하는 공연을관람 했었다.

       

                             동래학춤은 부산 동래지역에서 전해내려오는 춤으로 ,그 동작이 학의

                             움직임을 닮은 춤이다. 동래는 옛날부터 지형이 학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하며, 또한 학이 많이 서식했던 곳이어서 학과 관련된 지명도 많다.

 

                              예를 들면 칠산동 일대를 학소대, 연산 4동을 학암(鶴岩), 내가 살았던

                              거제동(현 교육대 앞)을 학란(鶴卵)마을이라 불러왔다.  학암이 있는 곳은

                             저습지가 있어서 학이 무리 지어 서식했다고 하니, 동래사람들은 예로부터 

                              학의 동태를 익혀왔으므로, 동래특유의 덧배기춤을 우아한 학춤으로

                              가다듬을 여건이 충분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동래학춤은 특정한 단체와 개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형성되었다기보다는 동래지역의

                            줄다리기와 야류 등과 깊은 관계가 있는 춤이라고 한다.

 

                            동래에서는 예전부터 매년 정월 대보름을 전후로「큰줄땡기기」를 개최했다고 하는데,

                            줄다리기에서 이긴 편에게는 그 해 풍년이 든다고 하여 마을 전체가 온통 축제분위기가

                            되며 이 때 다른춤과 함께  학춤도 한몫 끼었다고 한다.

 

                           줄다리기가 끝난 후 동래야류의 본 마당에 들어가기 전에 길놀이를 하고, 놀이마당에서 어느

                          이름난 춤꾼 한 사람이 당시 흔히 입고 다니던 도포를 입고 갓을 쓰고 덧배기 춤을 멋있게추니까

                          이것을 본 누군가가 마치 ‘학이 춤을 추는 것 같다’고 한 것에서 동래학춤이라는 말이 나왔다고

                           전한다. 

                     

                                         

 

                              . 동래학춤은 의상을 따로 갖추지 않고 일상의 옷인 도포에 갓을 쓰고 바지저고리, 버선과 미투리를

                               신고 즉흥적으로 춘다. 반주악기는 꽹과리와 장구, 징, 북 등의 농악편성으로 되어 있고 장단은

                                굿거리 장단이다.

 

                               춤사위에는 양손을 너울거리는 날아가는 사위, 한 발 들고 서 있는 발 드는 사위, 학이 날개를 폈다가

                              오므리는 모습의 펴는 사위오므리는 사위, 좌우 상하를 바라보는 보는 사위, 왼발은 무릎을

                         굽혀 앞으로 내밀고 오른발은 뒤로 편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거나 상하로 가볍게 움직이는

                         배김새 사위 등이 있다

 

                              구성을 보면 일반 민속춤과 같이 일정한 순서로 짜여져 있지 않고, 자유분방한 즉흥성과 개인적 멋이

                                   강조되고 있다.                      


 

 

                        학탈을 온몸에 뒤집어쓰는 궁중학무와 한성준류 학춤과는 달리

                        동래학춤은 검정갓·흰도포·바지·저고리·미투리로 복색을 갖추고,

                         덧배기 특유의 굿거리 풍물가락과 구음창(口音唱)에 춤을 싣는다.

 

                          검정갓은 학의 머리 같고 흰도포는 학의 몸체와 날개 같다.

 

                        

 

                        동래학춤은 예전에는 일정한 춤옷이 없었다고 하나 지금은 흰 바지 저고리에 흰 도포를 입는다.

                        흰 도포의 넓은 소매자락이 마치 커다란 학의 날개를 연상시키며, 명주천으로 도포를 만들어

                        입어 학춤을 더욱 돋보이게 하였다. 여기에 갓을 쓰고 미투리를 신으며 가슴에는 흰 술띠를 맨다.

 

                    

                         동래학춤은 1인 독무에서 쌍무, 군무 등 인원에도 제약이 없고 시간제약도 없었다.

                        1972년에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던 고 김희영 선생(1923~1972)는 흥겨울 때는 얼마든지 멋진

                         춤사위가 나오며 평소에 생각지도 못했던 춤이 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개인적인 멋이 강조되는 자유분방한 춤 같지만 학의 생태를 표현한 몇 가지 춤사위는 꼭 추었다.

                         흥에 따라 자유롭게 춤사위를 변형할 수 있고 새로운 춤사위를 창작할 수도 있는 등 춤사위가

                          도식화되어 있지는 않았다. 다른 민속춤에서 보이는 풍자와 해학보다는 자연스러운 멋과

                          맛을 살린 춤이라 할 수 있다.

 

 

 

            

                                동래학춤은 동래지역의 자연환경과 들놀음, 줄다리기, 한량무 등의 민속예능과 풍류 문화권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민속춤으로 100여년의 전통을 갖는다.

 

                         학춤이라는 명칭 때문에 이 춤이 단순히 학의 모습을 흉내낸 모의무(模擬舞)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동래학춤은 학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춤이 아니고 동래지방 기방무의 일종인 한량춤에서

                         발전하여 춤 자체에 표현되는 이미지에 학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는 점이 그 특징이다.

 

                           즉, 갓은 학의 머리와 같고 흰 도포는 학의 날개, 그리고 격조 있고 우아한 춤사위는 고고한 학을

                         연상시키는 춤으로써, 예술의 기본 요소인 상징성을 갖추고 있다. 


                          민속춤이면서도 관리나 한량들의 춤이었던 만큼 기품과 격조가 있고, 원칙적인 체계를 바탕으로

                          예술적 영감에 의해 순간적으로 춤사위를 만들어가며 추는 자유분방한 형식을 취하고 있어서

                          예술의 또다른 구성요소인 창조성과 즉흥성, 상징성을 담고 있는 우리의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이 학춤은 1972년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정보

                                       1. 위치 :  부산 동래구  온천동 산13-3

                                       2.전화 :  부산광역시 동래구 문화공보과 051-550-4085

                                                     협회 전화:051-556-2786

                                       3, 찾아가는길

                                          ☞  버스노선: 100-1, (식물원입구에서 하차).

                                                          51, 80, 110, 110-1 (온천장 sk뷰 아파트 하차)
                                         ☞ 지하철: 1호선 온천장역에서 하차, 금강공원으로.

 


 

 
다음검색
댓글
  • 10.09.06 14:47

    첫댓글 동래학춤 잘 감상했브니다.^^

  • 10.09.06 16:24

    멋진동작을 잘 잡으셧습니다

  • 11.06.01 15:58

    중학교 때 단체관람했던 전통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