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공학
컴퓨터 공학은 컴퓨터 시스템의 이론적 기초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계를 다루는 학문이다. 프로그래밍 언어,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인공지능,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며, 컴퓨터의 효율적인 운영과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역할을 한다.
컴퓨터 공학의 주요 연구 분야를 조사해봤다.
전산이론 :
전산이론분야는 모든 전산학 연구분야의 이론적인 모델과 분석의 틀을 제공하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분야로서 알고리즘, 계산기하학, 프로그래밍 언어, 컴파일러 등의 세부 연구 분야를 포함한다. 알고리즘 분야는 컴퓨터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인 알고리즘의 디자인과 알고리즘의 성능과 정확성 및 문제의 복잡도를 분석하는 연구분야 이며, 계산기하학 분야는 이 중에서 특히 기하학적인 문제의 복잡도 및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및 컴파일러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설계 단계부터 개발 및 유지 보수까지 전 단계에 걸쳐서,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며 빠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연구를 수행한다.
소셜 컴퓨팅:
웹을 포함하여 인간과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되는 컴퓨팅을 연구하며 인문사회과학, 자연과학, 생명과학, 의학 등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연구를 수행한다. 카이스트 전산학과 에서는 특히 생명과학 및 의료 정보처리분야, 자연언어처리 분야, 소셜 네트웍 분석, 전산 저널리즘, 정보보호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소셜컴퓨팅 분야는 나날이 중요해지는 모바일 컴퓨팅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통해 사람들의 다양하고 방대한 사회적 활동을 데이터로 수집하여 저장, 분석, 가공하고, 사람들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컴퓨팅 서비스를 연구하고 개발한다. 전산사회과학은 정치학, 사회학, 심리학 등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던 문제들을 빅데이터와 데이터마이닝, 기계학습 등의 전산학 방법론으로 접근하는 최신 융합 연구 분야이다.
시큐어 컴퓨닝:
시큐어 컴퓨팅 분야는 컴퓨팅 기술에 근간을 둔 모든 시스템, 정보 서비스, 상용 소프트웨어 등의 보안성 및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반 기술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시스템 보안, 소프트웨어 보안, 암호 기반 보안, 정보서비스 보안, 모바일 인터넷 보안, 취약점 분석, 악성코드 분석, 컴퓨터 포렌식, 개인 정보보호, 그리고 정보 보안 정책 등이 있다.
핵심 자격증에 대해 조사해 봤다.
1 정보처리기사는 컴퓨터공학과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필수 자격증 중 하나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자격증으로, 정보시스템의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로서 계획수립, 분석, 설계, 구현, 시험, 운영,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는 시험이다
2 리눅스마스터 2급 1급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운 영하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이다.
리눅스로 운영되는 전세계 80% 이상의 스마트폰,70% 이상의 클라우드 서버, 세계 상위의 500대 슈퍼컴퓨터를 비롯해서 5세대 이동통신(5G), 사물인터넷(IoT),드론, 자율주행차 등 미래성장동력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기반기술에 토대가 되는 자격종목이다.
3 네트워크관리사 2급 1급은 CCNA, CCNP, CCIE와 더 불어 인지도가 높은 네트워크 민간자격증이다.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설정, 시스템 최적화 등 네트워크 구축 및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 관련 기술력에 대한 자격이다
졸업 후 진로를 조사해봤다.
IT 분야의 핵심이 되는 컴퓨터 중심 학과로서 졸업 후 진로에 있어서 본인의 노력과 적성에 따라 폭넓은 선택을 할 수 있다. 해당 분야로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관련 소프트웨어, 컨텐츠(Contents),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프로그래밍, 네트워크 관리, 전자상거래 프로그래밍 및 관리, SI 프로그램 및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서버 관련 프로그래밍 분야,컴퓨터시스템 프로그래밍 관련 분야,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웹(Web) 프로그래밍, 인공지능 및 컴퓨터그래픽 프로그래밍, 인터넷프로그래밍 등 다양하다. 본 학과와 관련된 기술이 활용되어지는 사회 영역으로는 국영기업, 금융기업, 유통기업, 건설회사, 병원, 방송국 등 컴퓨터 관련 업무가 필요한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전산실, Software House, 전산관련 공무원 및 군무원, 컴퓨터 및 프로그램 중심의 벤처기업, 정보 통신 산업체, 전자상거래 관련회사, 연구 기관 등이 있다.
컴퓨터 공학을 선택한 이유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가 모든 산업과 생활의 필수 요소가 되었기 때문이다. 컴퓨터 공학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는 학문으로,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을 통해 실제로 유용한 솔루션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또한, 인공지능, 데이터 과학,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와 개발을 할 수 있어 폭넓은 진로 선택이 가능하고, 미래 산업의 중심에서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 컴퓨터 공학을 진로로 선택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