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성(고려대 세종캠퍼스 조교수) 신간 소개
글쓰기와 서사의 방법(서정시학 신서 63)
서정시학 간행
김종성 지음
총 594쪽
정가 25000원
출간일 2016년 8월 20일
저자 소개
김종성(金鍾星)
1952년 강원도 평창 출생, 태백에서 성장.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및 경희대 대학원과 고려대 대학원(박사) 졸업.
1986년 월간 『동서문학』 제1회 신인문학상 중편소설 「검은 땅 비탈 위」 당선.
연작소설집『마을』(실천문학사, 2009), 『탄(炭)』(미래사, 1988) 출간.
중단편집『연리지가 있는 풍경』(문이당, 2005), 『금지된 문』(풀빛, 1993), 『말 없는 놀이꾼들』(풀빛, 1996) 출간.
2006년 제19회 경희문학상 소설 부문 수상.
논저 『한국 환경생태소설 연구』(서정시학, 2012), 한국어 어휘와 표현Ⅰ:파생어ㆍ합성어ㆍ신체어ㆍ친족어ㆍ속담(서정시학, 2014), 한국어 어휘와 표현Ⅱ:관용어ㆍ한자성어ㆍ산업어(서정시학, 2015), 한국어 어휘와 표현Ⅲ:고유어(서정시학, 2015), 한국어 어휘와 표현Ⅳ:한자어(서정시학, 2016),『글쓰기와 서사의 방법』(서정시학, 2016) 등 출간.
전 도서출판 한벗 주간 및 도서출판 집문당 기획실장.
전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겸임부교수.
현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교양교직과 조교수.
책 소개
200자 원고지 2700장 분량의 원고로 구성된『글쓰기와 서사의 방법』은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서술했다.
제1부 ‘언어와 문장’에서는 글쓰기와 글읽기는 언어학적 지식 함양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어휘와 표현에 많은 힘을 쏟았다. 제2부 ‘글쓰기의 방법’에서는 단락, 구성, 서사, 묘사, 인물, 사건, 시간, 플롯, 시점, 논증, 논문 작성법에 중점을 두어 기술했다. 그리고 제3부 ‘서사의 방법’에서는 한국 현대소설 및 북한소설을 분석했다.
차 례
머리말
제1부 언어와 문장
제1장 한국어의 이해
1. 한국어의 특질
1) 음운상의 특질 2) 어휘상의 특질
3) 문법상의 특질
2. 한국어 정서법
1) 총칙
2) 소리에 관한 것 3) 형태에 관한 것
4) 띄어쓰기
3. 문장과 표현
1) 문장의 종류
2) 문장 속의 문장
3) 이어진 문장(接續文)
4) 문장의 골격과 형성
5) 장문 쓰기와 단문의 효과
6) 피동표현
7) 어휘의 구사
제2장 어휘의 이해
1. 어휘와 표현
1) 어휘의 선택
2) 단어와 어휘
2 파생어
1) 접두 파생어
2) 접미파생어
3) 한자어 접미사
2. 합성어
1) 통사적 합성어
2) 비통사적 합성어
제3장 고유어
1. 고유어의 특성 1) 고유어와 작가
2) 고유어의 특성
2.고유어와 표현 1) 체언 고유어와 표현 2) 용언 고유어와 표현
3) 수식언 고유어와 표현
제4장 한자어
1. 한자어와 표현
1) 한자어 구조의 성격
2) 체언 한자어와 표현 3) 용언 한자어와 표현
4) 수식언 한자어와 표현
제5장 관용어
1. 관용어
1) 용언형 관용어
2) 체언형 관용어
3) 부사격 조사가 첨가된 관용어 4) 용언의 부사적 용법에 의해 형성된 관용어
2. 속담
1) 속담 자료
2) 속담과 표현
3. 한자성어
1) 한자성어의 의미방식상의 유형
2) 한자성어와 표현
제2부 글쓰기의 방법
제1장 표현과 구성
1. 주제
1) 주제의 의미
2) 주제의 파악
2. 단락
1) 단락의 개념
2) 줄갈이
3) 단락의 원리
4) 단락의 구성
5) 단락의 연계
6) 소주제문과 뒷받침문장의 위치
7) 단락의 종류
3. 구성
1) 시간적 구성
2) 공간적 구성
3) 단계적 구성
(1) 삼단 구성 (2) 사단 구성
(3) 오단 구성
4) 포괄식 구성
(1) 두괄식 구성
(2) 미괄식 구성
(3) 양괄식 구성
(4) 열거식 구성
(5) 점층식 구성
제2장 묘사와 서사
1. 묘사
1) 문학적 묘사
2) 과학적 묘사
3) 핍진성 (1) 세부묘사
(2) 동기부여
2. 서사
1) 언어적 서사와 비언어적 서사
2) 서사의 요소
(1) 인물
(2) 사건
(3) 시간
3) 서사의 구성
(1) 플롯
(2) 플롯의 단층
4) 서사의 시점
(1) 일인칭 서술
(2) 일인칭 관찰자 서술
(3) 작가 관찰자 서술
(4) 전지적 작가 서술
5) 낮설게 하기
제3장 설명과 논증1. 설명
1) 지정
2) 예시
3) 비교와 대조
4) 분류와 구분
5) 정의
(1) 정의의 개념
(2) 정의와 지정의 차이점
(3) 정의의 구성
6) 분석
(1) 물리적 분석
(2) 개념적 분석
2. 논증
1) 명제
(1) 명제의 요건
(2) 내용에 따른 분류
2) 논거
(1) 사실 논거
(2) 소견 논거
3) 추론
(1) 연역추론(연역법)
(2) 귀납 추론(귀납법)
(3) 유추법
제4장 학술적 글쓰기의 방법
1. 논문 쓰기
1) 논문의 유형
(1) 연구논문
(2) 보고문
(3) 평론
2)논문 쓰기의 절차
(1) 주제의 선정
(2) 1차 자료와 2차 자료
(3) 자료의 채록
2. 논문의 구성과 체제
1) 논문의 구성
(1) 서론
(2) 연구 보고(본론)
(3) 결론 (혹은 요약)
(4) 참고자료
2) 논문의 체제
(1) 인용법
(2) 직접인용과 간접인용
(3) 주석
제3부 서사의 방법
1. 원폭피해자들의 삶과 소외의식의 형상화
2. 1960∼1990년대 한국 현대소설에 있어서의 환경생태 문제
3.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구사된 어휘의 상징연구
4. 이기영 소설의 반봉건성과 혁명성
5. 이근영 농민소설의 변모 양상
참고문헌
첫댓글 김종성 교수님 신간 소식 고맙습니다.
후학을 위하여 끊임없이 연구하고 공유하시는 일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