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을 지키지 않으면 예고없이 강등될 수 있습니다.
<제목양식>
강의교재 질문: 해당과정, 단원, 문제번호 명시 (적중 2000제 17장 전기화학 34번)
편입기출문제 질문 : 학교, 연도, 문제번호를 명시(중앙대 2022년도 12번)
<질문글 양식>
1. 질문이 2개 이상일 때 각각의 질문마다 번호를 붙여주세요.
2. 한번에 한 문제에 대해서만 질문 해주세요.
3. 문제의 그림이나 사진을 첨부하시면 답변을 빨리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한번에 정확히 질문해주세요. 답변에 대한 추가댓글 질문 X
5. '이렇게 풀면 왜 답이 안나오나요?' 유형의 질문 X
여기에서 일정 P 에서 비활성기체 주입 시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르샤틀리 원리에 의해 기체몰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하셨는데 왜 기체몰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일단 전체 압력이 일정하다고 했으니 압력이 감소하여 기체 몰수를 늘리는건 아닐 것 같은데 혹시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혹시 비활성기체가 들어와서 전체압력은 그대로이지만 CO2 와 CO의 부분압은 낮아지기 때문에 두 기체가 차지하는 몰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몰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어나는걸까요?
첫댓글 일정압력이 유지되는 반응용기에 비활성 기체를 집어넣으면 전체 혼합기체의 부피가 증가합니다. 이 때, 반응성분은 더 넓은 부피에 희석되면서 부분압이 감소하고, 마치(비활성기체를 넣지 않고) 피스톤을 잡아당긴것과 같은 효과를 느끼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기체입자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형의 위치가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