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대운하 건설사업이 전북도가 포함되는 호남운하가 경부운하와 동시 추진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도내에서도 경제적 효과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새정부는 이 당선인이 역점사업으로 제시한 한강과 낙동강의 물길을 잇는 경부운하와 금강과 한강을 잇는 충청운하, 목포에서 광주를 잇는 호남운하 등 이른바 ‘한반도대운하’를 건설해나갈 계획이다.
이 당선인은 새정부 출범직후 토론회, 환경탐사 등 관련행사와 특별법 추진 등 한반도대운하관련 로드맵을 진행해나갈 계획이다.
전북지역은 충주에서 공주-부여-군산으로 이어지는 충청운하의 종점지점에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 충청운하와 호남운하를 연계할 경우 김제나 정읍 등 내륙권까지 포함된다.
금강물길따라 내려온 충청운하가 군산 하구언주변에서 만경강-새만금일대-동진강-정읍 칠보-섬진강(옥정호)까지 이어진 뒤, 호남운하로 연결될 예정이다.
이 당선인도 이미 대선과정에서 만경강(74km)과 동진강(47km)을 준설하고, 금강과 만경강을 연결하는 수로를 건설하겠다며 전북지역도 한반도대운하 구간임을 내비쳤다.
이처럼 한반도대운하가 전북도의 내륙지역을 관통하는 가운데 도내 상공인들이나 건설업체들을 중심으로 운하건설을 환영하는 분위기가 드러나고 있다.
윤태섭 전주상공회의소 사무처장은 “최적의 기업환경은 물류비를 절감시키는 것이며, 대운하건설이 물류비절감에 효과적이란 것을 감안할 때 긍정적으로 본다”며 반겼다.
대통령직 인수위도 한반도대운하는 물류비절감이나 관광객유치를 통한 경제성은 물론 토사준설을 통한 환경성가치까지 올려놓을 수 있다는 것을 홍보하고 있다.
반면 도내 관련학계 전문가나 환경단체들은 새만금사업 등 지역적특성을 고려할 때 오히려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한반도대운하사업을 경계하고 나섰다.
채병선 전북대 도시건축학과 교수는 “대운하사업이 자연환경에 대한 피해는 물론 타 교통수단보다 시간경제성 부문에서 별다른 효과를 가져오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김진태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새만금의 선결과제가 수질보전인데, 대운하가 새만금과 연결된다는 것 만으로 문제있는 사업”이라고 지목했다.
새만금사업의 경우 오는 2011년까지 만경강일대의 목표수질을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기준으로 4.4ppm을 달성할 때 만이 본격적인 개발사업을 진행해나갈 수 있다.
김 사무처장은 또 “호남운하가 본격화될 경우 도내 단체들은 물론 전남지역 등 다른지역 단체들과 연대 투쟁해나간다”고 밝혔다.
한편 전북도는 한반도대운하가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 우리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문제점 등을 미리 파악하고 보완책을 마련하기 위한 조사과정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