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정토올레 원문보기 글쓴이: 낙산지기
과 목 (강좌명) |
마음으로 옮겨 쓰는 전통 사경(초,중급) |
담당강사 |
오 창 림 (인) | |||||||
강 의 시 간 |
15주기준 ( 총 30 시간) 매주(화요일) 10:00-12:00, 19:00-21:00 |
주당시수 |
2 | |||||||
교육대상 |
일반인 |
모집정원 |
주,야 각20명 | |||||||
강의장소 |
제주대하교 펴생교육원 예술실 또는 법화경사경연구원 사경실(제주시 연동 301-5 덕일빌딩 502호) (미정) | |||||||||
강의개요 |
사경寫經은 불경佛經을 베껴 쓰는 단순행위이다. 무구정광대다라니로 대표되는 세계최고最古의 인쇄술은 그 밑천이 사경에 있었고 찬란했던 고려의 사경은 서예사상 최고最高의 예술로 찬사를 받으며 일본은 물론 중국의 황제가 친히 고려의 사경승寫經僧을 초빙할 정도로 독보적이었다. 단순함과 세련미의 극치요 느림의 미학의 정수인 사경은 마음을 정화하고 비워내는 수행의 방편이자 첩경이다. 급변하는 세태와 혼돈의 삶 속에서 자기의 정체성을 찾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며, 사경을 통해서 그것을 탐색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본 초심과정은 사경의 개념과 의의 및 각 시대별 사경문화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피고 사경에 쓰이는 재료와 도구의 용법을 숙지하면서 임모臨摹실습을 통하여 반야심경 사경작품을 완성해 보기로 한다. | |||||||||
구 분 |
교 재 명 |
지 은 이 |
출판년도 |
출판사 |
가 격 | |||||
각종 유인물 |
|
|
|
| ||||||
준비물 |
붓, 종이, 벼루, 먹, 유리봉, 방안자, | |||||||||
주별 강의일정 |
월 |
일 |
강 의 주 요 내 용 |
기타 | ||||||
1주 |
3 |
02 |
사경의 정의와 사경인의 자세/ 도구의 용법과 줄긋기 |
|||||||
2주 |
3 |
09 |
사경의 의의와 사경의 필요성 / 사경실기 |
|||||||
3주 |
3 |
16 |
사경의 범주(내용면, 서사재료면, 기타) / 사경 실기 |
|||||||
4주 |
3 |
23 |
사경의 역사(중국) / 사경 실기 |
|||||||
5주 |
3 |
30 |
사경의 역사(한국) / 사경 실기 |
|||||||
6주 |
4 |
06 |
사경의 역사(한국) / 사경실기 |
|||||||
7주 |
4 |
13 |
사경의 역사(일본) / 사경 실기 |
|||||||
8주 |
4 |
20 |
사경의 분류 - 재료상/ 사경 실기 |
|||||||
9주 |
4 |
27 |
사경의 분류 - 장정상 / 사경 실기 |
|||||||
10주 |
5 |
04 |
사경의 분류 - 발원자에 따른 / 사경 실기 |
|||||||
11주 |
5 |
11 |
사경의 종류 - 서사주체에 따른 / 사경 실기 |
|||||||
12주 |
5 |
18 |
사경의 형식(표지와 변상도) / 사경실기 |
|||||||
13주 |
5 |
25 |
사경의 형식(경문)사경실기 |
|||||||
14주 |
6 |
01 |
사경의 형식(사성기) / 사경 실기 개인 작품 완성 |
|||||||
15주 |
6 |
08 |
개별 작품 품평 및 종합토론 |
|||||||
학습제언 |
|
강사 약 력
吳昌林(法名:樂낙山, 雅號:少荃, 堂號:澹如書齋)
故 素菴 玄中和 先生 門下 書藝 修業 (1982 - 1997)
小農 吳文福 先生 門下 漢文 修業(1982 - 현)
三農 金龜海 先生門下 篆刻 修業(1997-2000)
金峰朴幸甫先生門下 四君子 修業(2000-2001)
제주향교 충효교실 강사 역임
대정향교 한문교실 강사 및 서예교실 강사 역임
무진한문학원 운영 및 강의(1990 - 2000)
소묵회전 출품(1983 - 2009)
故소암 현중화 선생 추모전 출품(제주도 문예회관)
소암기념관 개관 1주년 기념 초대전 출품(소암기념관,2009)
제주도미술대전 서예 특선(제주도 문예회관,1994)
대한민국현대서예대전 특선(서울,1994)
法華經寫經硏究院 院長(現)
西歸浦素墨會 會員(現)
濟州東洋文化硏究所硏究員(現)
* 입학에 관한 사항은 제주대학교 평생 교육원 홈페이지(http://psg.cheju.ac.kr/)를 참고 하시고, 기타 자세한 사항은 법화경사경연구원(연동) 전화070- 8875-2163, 010- 7270-2163 으로 문의 바랍니다.
법화경사경연구원 원장 오창림 합장
첫댓글 참으로 듣고 싶은 강좌네요...... 화요일은 봉사가 있는날이라 아깝습니다. ^^ 다음기회에 시간이 맞는다면 꼭 듣고 싶습니다. ^^
마음의
님 고맙습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