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중형극(口中荊棘)
입 안의 가시라는 뜻으로, 근거 없는 말로 남을 헐뜯어 명예를 손상시키는 언론의 음험함을 이르는 말이다.
口 : 입 구(口/0)
中 : 가운데 중(丨/3)
荊 : 가시 형(艹/6)
棘 : 가시 극(木/8)
출전 : 섭정규(葉廷珪)의 해록쇄사(海錄碎事)
이 성어는 송(宋)나라 섭정규(葉廷珪)란 사람이 엮은 해록쇄사(海錄碎事)에 '가시는 입안에서 돋고 자황은 혀끝에서 어긋난다'는 구절에 연유한다.
荊棘生於口中, 雌黃謬於舌杪.
자황은 글자를 잘못 썼을 때 지우고 다시 쓰는 약품이다. 여기서 함부로 말하거나 남의 말이나 글을 첨삭하여 시비를 가린다는 구중자황(口中雌黃), 신구자황(信口雌黃)이란 말도 나왔다. 가시 돋친 말은 남을 해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인격을 깎아내리니 조심하라는 교훈이다.
나무의 가시를 말하는 형극(荊棘)은 가시밭길 같이 온갖 고생을 비유적으로 이르기도 한다. 또한 가시나무의 얽히고설킨 모습에서 분규를 나타낸다.
입안(口中)의 가시(荊棘)라고 하면 가시나무의 찌르려는 속성에서 원한 또는 해치려는 음험한 말을 가리키지만 대뜸 떠올리기는 독서와 연관 짓는다.
안중근(安重根) 의사의 유묵으로 널리 알려진 구중생형극(口中生荊棘) 때문이다.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一日不讀書)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는 뜻으로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옥중에서 독서를 멈추지 않았던 의사의 표현이니 숙연하다.
안 의사 유묵 이전부터 많이 사용하게 된 것은 추구(推句)에서일 듯하다. 조선시대 학동들이 가장 먼저 익히는 추구는 오언(五言)으로 된 좋은 대구 모음이다.
입안의 가시란 말은 ‘십 년 동안 등잔 밑에서 공부하여 사흘간 말 타고 영화 누린다(十年燈下苦 三日馬頭榮)’는 구절 뒤에 따른다.
또 조선 말기 선비들의 필독서였던 간독회수簡牘會粹)에 ‘요사이 책을 읽은 지 오래되어 입안에 가시가 자라고 가슴 속이 띠 풀로 꽉 막혔다(近日, 不讀書久矣, 口中荊棘, 胸裏茅塞)’란 표현이 나온다고 한다.
송나라의 황정견이 ‘사대부가 삼일 동안 책을 읽지 않으면, 가슴에서 의리가 생기지 않고, 얼굴 모습이 가증스럽게 되고, 말하는 언어가 맛이 없어진다.’라고 했다.
士大夫, 三日不讀書, 理義不交於胸中, 面貌可憎, 語言無味.
진서(晉書) 은중감전(殷仲堪傳)에 보면 은중감은 항상 말하기를, “삼일만 도덕론을 읽지 않으면 혓바닥 사이가 굳어짐을 느낀다.”라고 하였다.
三日, 不讀道德論, 便覺舌本間强.
독서와는 달리 남을 해치는 음흉한 말을 뜻하는 유래는 더 오래 됐다. 독서를 많이 한 사람은 대체로 입도 무겁다.
도서관 주간이 봄에 있고 책읽기 좋은 가을, 9월은 독서의 달이다.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독서문화행사가 펼쳐지는 가운데 부산서도 길 위의 인문학, 북 콘서트, 도서교환전 등을 가졌고 28일 부산문학 이야기 강연이 남아 있다고 한다.
10월엔 보수동 책방골목서 '책의 소리를 듣자' 행사도 기다린다. 가시 돋는 것이 두려워서가 아니라 말의 신중함을 위해서라도 독서가 좋다.
▶️ 口(입 구)는 ❶상형문자로 입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그러나 다른 글자의 부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口(구)꼴의 자형(字形)은 입의 뜻인 경우 뿐만은 아니다. 品(품)과 같이 물품을 나타내거나 各(각)과 같이 장소를 나타내기도 하고, 石(석)과 같이 돌을 나타내기도 한다. ❷상형문자로 口자는 '입'이나 '입구', '구멍'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口자는 사람의 입 모양을 본떠 그린 것이기 때문에 '입'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갑골문에 나온 口자를 보면 ㅂ자 모양을 하고 있어 위아래의 구분이 있었다. 그러나 해서에서부터는 네모난 모습으로 바뀌면서 더는 상하를 구분하지 않게 되었다. 口자는 입을 그린 것이니만큼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대부분이 '입'이나 '소리'와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때로는 '출입구'나 '구멍'과 같이 단순히 모양자로 응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口(구)는 어떤 명사(名詞) 뒤에 붙어 (1)사람들이 드나드는 곳의 뜻 (2)작은 구멍, 구멍이 나 있는 곳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입 ②어귀, 사람이 드나들게 만든 곳 ③인구(人口) ④주둥이, 부리, 아가리 ⑤입구(入口), 항구(港口), 관문(關門) 따위 ⑥구멍, 구멍이 난 곳 ⑦자루, 칼 등을 세는 단위 ⑧말하다, 입 밖에 내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에는 연설이 끝이나 시위 행진 때 외치는 간결한 문구를 구호(口號), 구설을 듣게 되는 운수를 구설수(口舌數), 변명할 재료를 구실(口實), 음식을 대하거나 맛을 보았을 때 느끼게 되는 먹고 싶은 충동을 구미(口味), 말로써 베풀어 아룀을 구술(口述), 마주 대해 입으로 하는 말을 구두(口頭), 흥정을 붙여 주고받는 돈을 구문(口文), 보통 회화로 쓰는 말을 구어(口語), 글을 읽을 때 다른 말을 아니하고 책에 집중하는 일을 구도(口到), 말로 전함을 구전(口傳), 입과 입술을 구순(口脣), 단체 행동의 동작을 일제히 하도록 부르는 호령을 구령(口令), 사람의 수효를 구수(口數), 집안 식구나 집안의 사람 수효를 가구(家口), 한 나라 또는 일정지역에 사는 사람의 총수를 인구(人口), 입을 다물어서 봉함을 함구(緘口), 배가 안전하게 드나들고 하는 항구(港口), 들어가는 어귀를 입구(入口),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아니함을 금구(噤口), 나가는 곳을 출구(出口), 강물이 큰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어귀를 하구(河口), 한 집안에서 같이 살면서 끼니를 함께 먹는 사람을 식구(食口), 입으로는 달콤함을 말하나 뱃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친절하나 마음속은 음흉한 것을 이르는 말을 구밀복검(口蜜腹劍),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말과 하는 짓이 아직 유치함을 일컫는 말을 구상유취(口尙乳臭),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 된다는 뜻으로 말조심을 하라고 경계하는 말을 구화지문(口禍之門), 입이 급히 흐르는 물과 같다는 뜻으로 거침없이 말을 잘하는 것을 이르는 말을 구약현하(口若懸河), 말과 마음으로 전하여 가르침을 일컫는 말을 구전심수(口傳心授), 입과 귀의 간격이 가깝다는 뜻으로 남에게서 들은 내용을 이해하기도 전에 남에게 옮김 곧 자기의 몸에 붙지 않은 학문을 이르는 말을 구이사촌(口耳四寸), 입이 관문과 같다는 뜻으로 입을 함부로 놀려서는 안 됨을 이르는 말을 구자관야(口者關也), 살아 나갈 걱정 곧 먹고 살 근심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구복지루(口腹之累), 말로는 옳다 하면서 마음으로는 그르게 여김을 일컫는 말을 구시심비(口是心非), 남에게 들은 것을 그대로 남에게 전할 정도밖에 되지 않는 천박한 학문을 이르는 말을 구이지학(口耳之學), 그 입에 오르면 온전한 사람이 없음이라는 뜻으로 누구에게나 결점만을 들추어 좋게 말하지 아니한다는 말을 구무완인(口無完人), 입으로 말하고 손으로 그린다는 뜻으로 열과 정성을 다하여 교육한다는 말을 구강지화(口講指畫) 등에 쓰인다.
▶️ 中(가운데 중)은 ❶지사문자이나 상형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사물의 한가운데를 상하로 통하는 세로 금으로 중심, 중앙을 뜻함과 형제를 위로부터 차례로 伯(백), 仲(중), 叔(숙), 季(계)라고 일컬을 때의 仲(중)으로서 쓰인 것이다. 또는 깃대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❷상형문자로 中자는 ‘가운데’나 ‘속’, ‘안’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이전에는 中자가 무언가를 꿰뚫는 모습을 그렸던 것으로 해석했었다. 그러나 갑골문이 발견된 이후에는 이것이 군 진영에 깃발을 꽂아놓은 모습을 그려졌던 것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中자는 진지 중앙에 펄럭이는 깃발을 그린 것으로 ‘가운데’나 ‘중앙’을 뜻하고 있다. 中자가 ‘중앙’이라는 뜻으로 쓰이다 보니 때로는 ‘속’이나 ‘안’, ‘마음’과 같은 사물의 중심을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 中(중)은 (1)일부 한자로 된 명사(名詞) 다음에 붙이어 그 명사의 뜻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과정임을 나타냄 (2)등급 같은 것을 上中下(大中小)로 구분할 경우 그 가운데 등급 중등(中等) (3)중국 (4)장기판에서 끝으로부터 둘째의 가로줄을 이르는 말 (5)마음 (6)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가운데 ②안, 속 ③사이 ④진행(進行) ⑤마음, 심중(心中) ⑥몸, 신체(身體) ⑦내장(內臟) ⑧중도(中途) ⑨절반(折半) ⑩장정(壯丁) ⑪관아의 장부, 안건(案件) ⑫가운데 등급 ⑬중매(仲媒), 중개(仲介) ⑭중국(中國) ⑮버금(으뜸의 바로 아래), 둘째, 다음 ⑯가운데에 있다 ⑰부합하다, 일치하다 ⑱맞다, 맞히다, 적중시키다 ⑲급제하다, 합격하다 ⑳해당하다, 응하다 ㉑뚫다 ㉒바르다, 곧다 ㉓가득 차다 ㉔이루다, 이루어지다 ㉕고르다, 고르게 하다 ㉖간격을 두다 ㉗해치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바깥 외(外)이다. 용례로는 중도에서 끊어짐을 중단(中斷), 한가운데를 중심(中心), 사방의 중심이 되는 곳을 중앙(中央), 사물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부분이나 자리 중추(中樞), 일이 되어 가는 동안 중도(中途), 치우침이나 과부족이 없이 떳떳하며 알맞은 상태나 정도를 중용(中庸), 사물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부분이나 자리를 중추(中樞), 두 사물의 사이를 중간(中間), 일을 중도에서 그만 둠을 중지(中止), 중간에서 이어줌을 중계(中繼),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공정함을 중립(中立), 길을 가고 있는 동안 도중(途中), 하늘이나 하늘 가운데를 공중(空中), 마음 속을 심중(心中), 도시의 안을 시중(市中), 정신을 집중시킴을 열중(熱中), 눈의 안이나 마음속을 안중(眼中), 코의 밑과 윗입술 사이의 우묵한 곳을 인중(人中), 돌에 박힌 화살촉이라는 뜻으로 정신을 집중하면 때로는 믿을 수 없을 만한 큰 힘이 나올 수 있다는 중석몰촉(中石沒鏃), 터무니없는 말로 헐뜯거나 남을 해치려고 속임수를 써서 일을 꾸밈을 중상모략(中傷謀略), 일을 하다가 끝을 맺지 않고 중간에서 그만 둠을 중도이폐(中途而廢), 마음속의 욕망을 겉으로 나타내지 않고 외부의 사악을 마음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함을 중경외폐(中扃外閉), 중립을 취하여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음을 중립불의(中立不倚), 보통 사람은 감당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중인불승(中人弗勝), 마음속에 일정한 줏대가 없음을 중무소주(中無所主), 덕성이 발라서 과불급이 없는 화평한 기상을 중화지기(中和之氣), 시작한 일을 완전히 끝내지 아니하고 중간에 흐지부지 한다는 중도반단(中途半斷) 등에 쓰인다.
▶️ 荊(가시나무 형)은 형성문자로 荆(형)과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 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刑(형)이 합(合)하여 가시나무를 뜻한다. 그래서 荊(형)은 성(姓)의 하나로 ①가시나무 ②곤장(棍杖) ③아내 ④땅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가시 극(棘)이다. 용례로는 나무의 가시를 형극(荊棘), 가시밭 길을 형로(荊路), 가시 나무로 짜 만든 문짝을 형비(荊扉),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을 형처(荊妻), 남과 처음으로 면회함을 식형(識荊), 땔나무를 진다는 뜻으로 사죄의 뜻을 나타내는 말을 부형(負荊), 구리 낙타가 가시덤불 속에 묻혀 있다는 뜻으로 궁전이나 후원이 황폐함을 형용하는 형극동타(荊棘銅駝),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어질고 착한 사람을 이르는 형산지옥(荊山之玉), 처자를 겸손하게 부르는 말을 형처돈아(荊妻豚兒), 가시 나무를 등에 지고 때려 주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죄하는 것을 부형청죄(負荊請罪), 가시를 헤치며 벤다는 뜻으로 고생스럽게 살아 감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을 피형전극(披荊翦棘), 웃옷 한쪽을 벗고 가시 나무를 짐 곧 잘못을 크게 뉘우침을 육단부형(肉袒負荊), 옛 친구를 만나 정을 나누는 것을 이르는 말을 반형도고(班荊道故) 등에 쓰인다.
▶️ 棘(멧대추나무 극)은 회의문자로 가시가 둘이 나란히 있는 것으로 가시가 많음의 뜻이다. 그래서 棘(극)은 물고기 따위의 지느러미를 이루고 있는 단단하고 마디가 없으며 끝이 날카로운 기조(鰭條). 가시 모양으로 ①가시 ②가시나무 ③창(槍: 무기의 하나) ④멧대추나무 ⑤공경(公卿)의 자리 ⑥야위다 ⑦위급(危急)하다 ⑧벌여놓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국자로 국이나 액체 따위를 뜨는 데 쓰는 기구를 극비(棘匕), 꼭꼭 찌름 또는 그러한 모양을 극극(棘棘), 가시나무를 극목(棘木), 부모의 상을 당한 어린아이를 극아(棘兒),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게 가시나무로 울타리를 만들어 그 안에 가두어 둠을 극치(棘置), 가시로 살을 에는 듯 한 찬바람을 극침(棘針), 나무의 가시로 고난의 길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형극(荊棘), 귀양살이하는 사람이 있는 집의 담이나 울타리에 가시 나무를 밖으로 둘러치는 일을 가극(加棘), 가난한 사람이 옷이 없어서 밖에 나가지 못함을 가리키는 말을 천극(栫棘), 죄인을 바다 가운데의 섬으로 귀양을 보내고 달아나지 못하게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어 그 안에 가두어 둠을 도극(島棘), 죄인을 귀양 보내서 달아나지 못하게 가시나무로 울타리를 침을 찬극(竄棘), 귀양간 사람이 있는 집의 담이나 울타리에 가시나무를 둘러 치는 일을 천극(荐棘), 매우 무성하게 자란 가시를 몽극(蒙棘), 가시를 헤치며 벤다는 뜻으로 고생스럽게 살아 감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을 피형전극(披荊翦棘), 구리 낙타가 가시덤불 속에 묻혀 있다는 뜻으로 궁전이나 후원이 황폐함을 형용하는 말을 형극동타(荊棘銅駝)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