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3: 바닷물은 왜 짠가요?
답:바다가 형성되기 시작한 때부터 바닷물은 이미 어느 정도 염분을 갖게 되었음. 바닷물이 짠 맛을 내는 것은 소금, 즉 염화나트륨(NaCl)때문이며 염분의 85%를 차지함.
바닷물이 짠 맛을 내는 것은 소금, 즉 염화나트륨(Nacl)때문이며 염분의 85%를 차지한다. 그러면 바닷물 속엔 왜 소금이 많은가?
지구가 탄생한 이후 오랫동안 큰 비가 내렸다. 그때 지구 표면에 있던 여러 물질중에서 물에 녹기 쉬운 물질이 녹아 씻겨 바다로 흘러 들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염분이었다. 소금을 구성하는 염소이온은 바닷물에 포함된 주요 성분들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그 대부분이 지구 내부로부터의 화산가스로 배출되어 빗물등 지표수에 녹아 바다로 공급된다.
그리고 나트륨은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중에서 가장 흔하며 풍화작용에 의해서 바다로 공급된다.
염분의 농도는 1,000에 대한 비율, 즉 천분율로 표시하며 천분율의 기호는 ‰(퍼밀)이다. 염분의 농도는 바다에 따라 차이가 있다.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 대다수의 큰 바다는 그 농도가 33∼37‰에 속하며 세계 해양 평균 염분의 농도는 35‰이다. 그러나 대부분이 육지로 둘러싸여 있는 부속해에서는 극단적인 농도가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하천의 유입량이 많고 기후가 차서 증발이 적은 발트해에서는 10‰이하가 되는 경우도 있고, 하천의 유입량은 거의 없으면서도 증발이 심한 홍해에서는 45‰이나 된다.
추가 답변 Top
답변 d dlenthf2003 문제제기
d
답변 소금기가 있어서 emperor777 문제제기
바닷물을 구성하는 성분중에
염화나트륨이 가장 많으니까 그러죠
답변 답변입니다 ehdqorlove 문제제기
태고적부터 바닷물에 염분이 있었다고 믿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해저에 깔려
있는 암석으로부터 염분이 용해되었기 때문이다. 침식작용과 동결작용
으로 인해 대륙의 암석은 조각이 나서 바닷물에 염분을 더하게 된다.
그러나 강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물질들이 바닷물보다 더 많은 양의 탄산염을
함유하고 있으며 바닷물에는 염화물이 더 많이 들어 있다. 바닷물속의 염분량
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수억만년을 두고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해양학자들
은 염분농도를 1,000에 대한 비율 즉 천분율로 표시하며 천분율의 기호는 ‰
(퍼밀)인데 지금은 psu라는 단위를 쓰기도 한다. 세계 전체 해양의 평균 염분
은 34.72‰이며 가장 소금기가 많이 들어 있는 바다는 대서양으로 약 34.90‰
이고 가장 적게 들어 있는 바다는 태평양으로 34.62‰이다. 태평양은 대서양에 비하여 건조한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아 해수의
증발 속도가 늦기 때문에 염분농도가 낮다. 북극과 남극지방의 해수는 염분농도가 가장 낮다. 해역에 따라서는 비정상적으로
염분농도가 높은 곳이 몇 군데 있다. 특히 홍해와 페르시아만 일부는 염분농도가 42‰를 넘는다고 하며 사해의 뜨겁고 매우
답:바다가 형성되기 시작한 때부터 바닷물은 이미 어느 정도염분을 갖게 되었음.
바닷물이 짠 맛을 내는 것은 소금, 즉 염화나트륨149(Nacl)때문이며 염분의 85%를 차지한다. 그러면 바닷물 속엔 왜 소금이 많은가?
지구가 탄생한 이후 오랫동안 큰 비가 내렸다. 그때 지구 표면에 있던 여러 물질중에서 물에 녹기 쉬운 물질이 녹아 씻겨 바다로 흘러 들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염분이었다. 소금을 구성하는 염소148이온170(Cl-)은 바닷물에 포함된 주요 성분들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그 대부분이 지구 내부로부터의 화산가스로 배출되어 빗물등 지표수에 녹아 바다로 공급된다.
그리고 나트륨41(Na+)은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중에서 가장 흔하며 풍화작용에 의해서 바다로 공급된다.
염분의 농도는 1,000에 대한 비율, 즉 천분율로 표시하며 천분율의 기호는 ‰(퍼밀)이다. 염분의 농도는 바다에 따라 차이가 있다.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 대다수의 큰 바다는 그 농도가 33∼37‰에 속하며 세계 해양 평균 염분의 농도는 35‰이다. 그러나 대부분이 육지로 둘러싸여 있는 부속해에서는 극단적인 농도가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하천의 유입량이 많고 기후가 차서 증발이 적은 발트해에서는 10‰이하가 되는 경우도 있고, 하천의 유입량은 거의 없으면서도 증발이 심한 홍해에서는 45‰이나 된다.
답변 하하하 happy911203 문제제기
퍼글온입니다.앞에 분이 말씀하셨듯이.
바다가 형성되기 시작한 때부터 바닷물은 이미 어느 정도 염분을 갖게 되었다고 하는
데요.. 바닷물이 짠 맛을 내는 것은 소금, 즉 염화나트륨(NaCl)때문이며 염분의 85%
를 차지한다고해요.
바닷물이 짠 맛을 내는 것은 소금, 즉 염화나트륨(Nacl)때문이며 염분의 85%를 차지합
니다,. 그러면 바닷물 속엔 왜 소금이 많은가?라고 물어보시는데,
지구가 탄생한 이후 오랫동안 큰 비가 내렸어염. 그때 지구 표면에 있던 여러 물질중
에서 물에 녹기 쉬운 물질이 녹아 씻겨 바다로 흘러 들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
은 것이 염분이었습니다,.. 소금을 구성하는 염소이온은 바닷물에 포함된 주요 성분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그 대부분이 지구 내부로부터의 화산가스로 배출되어
빗물등 지표수에 녹아 바다로 공급됩니다,.
그리고 나트륨은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중에서 가장 흔하며 풍화작용에 의해서 바다로
공급됩니다.
염분의 농도는 1,000에 대한 비율, 즉 천분율로 표시하며 천분율의 기호는 ‰(퍼밀)입
니다.. 염분의 농도는 바다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 대다
수의 큰 바다는 그 농도가 33∼37‰에 속하며 세계 해양 평균 염분의 농도는 35‰입니
다. 그러나 대부분이 육지로 둘러싸여 있는 부속해에서는 극단적인 농도가 되는 경우
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천의 유입량이 많고 기후가 차서 증발이 적은 발트해에서
는 10‰이하가 되는 경우도 있고, 하천의 유입량은 거의 없으면서도 증발이 심한 홍해
에서는 45‰나 된다구 하네염,.
도움이 되셨나요?
답변 이유 kimjin8909 문제제기
바닷물이 짠 이유
원시 지구에는 바다가 없었습니다. 이 때 지구의 온도는 매우 높았고, 화산 폭발은 흔한 일이었습니다.
그런데 점차 지구가 식어가자,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들이 액체가 되어 대부분 땅으로 떨어졌다. 이리하여 바다가 생긴 거죠.
이 수증기들이 물이 되어 내려오면서 여러 가지 물질을 녹였습니다. 지각에 존재하는
나트륨(Na), 마그네슘(Mg), 칼슘(Ca)등의 물질과, 화산이 폭발하면서 나온 염소(Cl), 황(S) 등이 물에 녹았습니다.
이 물질들은 서로 반응하여,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등의 '염'을 만들었습니다. 염이라는 것은 보통 짠 편입니다(다 그렇지는 않음).
바다에 녹은 염 중 가장 많은 것은 염화나트륨인데, 이것은 짭니다. 이래서 바닷물이 짜게 된 것입니다.
첫댓글염소이온은 바닷물에 포함된 주요 성분들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그 대부분이 지구 내부로부터의 화산가스로 배출되어 빗물등 지표수에 녹아 바다로 공급; 문제제기. 염소이온은 빗물이나 지표수보다는 해양 화산에 의해서 대부분이 바다에 공급되었습니다..지표수의 염소이온은 매우 적습니다..
첫댓글 염소이온은 바닷물에 포함된 주요 성분들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그 대부분이 지구 내부로부터의 화산가스로 배출되어 빗물등 지표수에 녹아 바다로 공급; 문제제기. 염소이온은 빗물이나 지표수보다는 해양 화산에 의해서 대부분이 바다에 공급되었습니다..지표수의 염소이온은 매우 적습니다..
바닷물이 짠 이유...소금 부채가 바다에 빠져서...ㅡㅡ;
멧돌 아닌가여???배추도사 무도사....ㅋㅋ
그러니까 그 처음에 어떻게 바닷물에 염분이 생겼나구요..
글쎄요..
으하하 나도 마징가님하고 똑같은 생각했는데 ^^;
바다가얼지않는이유도그염화나트륨때문이랑항상움직이니깐..이라고읽은것같은데맞나요??. 그리구그렇게많이들어있나요??.전조금(10%이내)라고생각했는데..히융..11
퍼밀이라고 하지안았소?
바다의 깊이를 알기 위해.. 바다로 빠져든 소금인형 때문!!
소금부채에 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