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에 자주 간 건 아니어서 실정을 100% 알지는 못하지만, 문제가 심각하다는 건 알고 있습니다.
광주지하철은 현재의 노선보다 저렇게 짓는게 더 좋지 않았을까요?
이미 지어진 것이라 대안이 없지만, 아쉬운 마음에 이렇게 하면 더 좋았을거란 생각은 해봅니다.
비록 2호선이 광주터미널과 광주역을 지날 예정이라지만 먼 미래의 얘기고, 1호선이 지금의 1호선, 계획
중인 2호선을 병합한 위와 같은 형태로 건설되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대안)
공항역 : 공항역도 현재 계획은 사거리를 지나지만, 서울지하철 5호선처럼 둘러가더라도 여객터미널과
의 접근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어 남쪽으로 좀 더 내려가서 지어야 좋을 것 같습니다.
치평,상무역 : 현재의 서창,상무역은 그저 명색일뿐, 두 역다 변두리를 스쳐가는 위치에 있습니다. 차라
리 한쪽의 수요를 확실히 잡고 버스터미널, 광주역과의 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상무지구를 완전히 통
과하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호남대역 : 현재의 호남대입구역이 아닌 호남대정문에 역을 설치합니다. 상무지구 내부를 통과하는 노
선으로 호남대를 경유하려면 자연스럽게 거리가 더 가까워집니다.
광주터미널역 : 터미널의 경유는 지하철 승객확보의 지름길이 아닐까요
무등경기장역 : 기아연고지인 무등경기장 접근성이 좋아질 것같습니다
전대입구역 : 비록 전남대와의 거리는 다소 멀지만, 이정도 거리만 되어도 지금보단 더 평가가 좋았을
것같습니다.
광주역 : 국철, KTX역의 경유는 버스터미널과 더불어 지하철 승객확보의 지름길일 것입니다.
대안광장역 : 금남로로 향하는 노선이 경유하는 지점 중 현재의 금남로5가와도 가깝고 가장 적절한 위
치인 것 같습니다.
조선대입구역 : 현노선보다 약간만 둘러서 지금의 남광주역보다 조선대정문쪽에 역을 하나 더 지었다
면 이쪽수요창출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학동삼거리역 : 역명 좀 이렇게 고쳤으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저도 광주지하철에 대해 아쉬운점이 광주역, 광주터미널 연계가 불가능한 겁니다. 현재 2호선이 광주역을 지나는 것으로 계획 되고 있다고 합니다.
1.듣기로는 버스회사들이 광주역을 지나가지 못하게 로비를 강력하게 했다고 합니다(미확인!) 2.철공 입장에서는 12km도 되지 않고 역도 2개 뿐인 단선의 맹장선인 광주선을 유지할 매력을 전혀 느끼지 못할 것은 명약관화합니다. 아마 광주지하철이 송정리까지 개통되는 순간부터 광주선의 열차운행은 서서히 감축되어 갈 것으로 보입니다(목포행이나 순천행으로 돌리겠죠).
1. 사실입니다. 버스회사들의 데모가 극심하였습니다.
2호선이 광주역, 터미널, 경기장등 수요지역을 모두 지나가죠. 하지만 건설될지가 미지수라는거..
정말 체계적이고 솔깃하군요 저렇게 했어야했는데
지금의 운천(호남대역) 쪽은 호남대의 일부과만 남기고 전부 다 광산캠퍼스로 옮긴지라, 정작 호남대 통학생의 수요는 그렇게 많이 없습니다. 오히려 지금의 운천역 위치가 금호/풍암지구 쪽의 수요를 끌어들이는 기능을 하는지라 말이죠... 호남대 쌍촌캠퍼스 정문 쪽에 역을 설치한다면 오히려 접근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싶은데요. 참고로 지금의 광주지하철 1호선의 노선이 버스개편 전 황금노선 중 하나였던 555번이라는 좌석버스의 노선을 거의 그대로 답습하는 노선이었답니다.
다만 그 555번 버스가 지금 상무지구나 다른 택지개발지구가 개발되기 전에 활황이었던 노선이었는지라, 지금은 그렇게 큰 의미가 없는것이죠. 아무래도 제 생각으로는 지금 1호선이 상당히 힘든 이유는 신흥주거지역과의 연계가 미비하기 때문에 힘들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나스카 // 좋은생각인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