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 출금전표든 대체전표는 분개만 맞으면 맞습니다..^^아무 전표로 입력해도 상관은 없어요^^
맞습니다 . 현금지출시 대체전표 대변이나 출금전표입력이나 현금출납장에서 돈 나간건 똑같이 기재됩니다...다만 복리후생비 300,000이라고 하시는데...5만원 이상일경우 법인카드나 세금계산서를 받아서 손금처리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300,000을 식당에 지급하셨다면 적절한 자료를 첨부해서 하십이 현명하실듯 싶습니다.
출금이든 대체 이든 큰 문제는 없는데...저는 학원에서~~ 출금으로 하는것이 맞다고 배웠습니다...그런데 실무에서는 무엇으로 해도 상관이 없다고^^
처음의 경우는 복리후생비와 현금이 1:1로 나와있기때문에 원칙적으로 출금이 맞습니다. 하지만 분개상에 문제가 되지 않기때문에 지금은 대체전표로 입력해도 맞게 해주지요..실무에서 상관없구여.. 하지만 두번째(EX)의 경우는 출금전표로 해서는 안되구여..대체전표로 입력해서 하나의 전표로 인식시켜줘야 합니다.
첫댓글 출금전표든 대체전표는 분개만 맞으면 맞습니다..^^아무 전표로 입력해도 상관은 없어요^^
맞습니다 . 현금지출시 대체전표 대변이나 출금전표입력이나 현금출납장에서 돈 나간건 똑같이 기재됩니다...다만 복리후생비 300,000이라고 하시는데...5만원 이상일경우 법인카드나 세금계산서를 받아서 손금처리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300,000을 식당에 지급하셨다면 적절한 자료를 첨부해서 하십이 현명하실듯 싶습니다.
출금이든 대체 이든 큰 문제는 없는데...저는 학원에서~~ 출금으로 하는것이 맞다고 배웠습니다...그런데 실무에서는 무엇으로 해도 상관이 없다고^^
처음의 경우는 복리후생비와 현금이 1:1로 나와있기때문에 원칙적으로 출금이 맞습니다. 하지만 분개상에 문제가 되지 않기때문에 지금은 대체전표로 입력해도 맞게 해주지요..실무에서 상관없구여.. 하지만 두번째(EX)의 경우는 출금전표로 해서는 안되구여..대체전표로 입력해서 하나의 전표로 인식시켜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