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러 정상회담의 결과 경제협력 분야로 의제가 한정될 것이라는 예측을 뛰어넘어 상호 군사원조 수준까지 격상되었다.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을 체결하는 것과 더불어서 ‘침략당할 경우, 상호 지원’한다는 내용까지 합의한 것이다. 한국 및 서방의 주류 미디어들이 푸틴의 방북을 앞두고 군사동맹이 복원되는 것 아니냐며 호들갑을 떨었는데, 동맹 수준까지는 아니라도 이게 진짜 현실화된 셈이다.
군사 분야에서 상호 군사원조 수준까지 격상된 것은, 이게 러시아의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러시아가 원하는 게 (우크라이나전이 3차대전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군사적인 것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은 경제적인 것을 원하는 처지이니 서로 윈윈한 셈이다.
조선이 경제협력을 절실하게 원하는 것에 대해서는 굳이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면, 러시아가 군사분야의 협력관계를 한 단계 상향시킨 이유는 무엇일까?
푸틴의 방북에 앞서 러시아의 북한 전문가들은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이 예기치 못한 결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조·러 관계보다는 국제정세에 달려있다’고 말한 바 있다.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한국학센터 수석연구원 콘스탄찐 아스몰로프의 주장에 의하면, ‘조·러 간 최종 서명문서에 군사적 파트너쉽이 들어갈지의 여부는 시대적 요구에 달려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시대적 요구’는 무엇을 말하는 걸까?
방북에 앞서서 푸틴이 조선의 노동신문에 기고한 논문(제목; 최근 수년간 이루어진 러시아와 북한과의 전통적 우정과 협력에 관하여)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