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피’는 두 얼굴의 ‘헐크’(?) ⇒ 1,000여종 ‘화학물질’ 함유(?)
대한민국에서의 커피는 매우 사랑받고 있는 기호식품 중의 하나다.
그러다보니 한두 집 건너 커피숍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커피에 대한 질환과의 상관관계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등 오랫동안 끊임없이
논란을 벌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본다.
1. 고혈압 발생이나 관리와는 무관
- 커피는 고혈압의 발생 및 관리와는 무관한 식품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커피가 고혈압의 위험성을 낮춘다는 기존 연구와 다르다.
명승권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대학원장(가정의학과 전문의)은 2002년에서 2021년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13건의 코호트(Cohort) 연구를 메타 분석했다.
'코호트 연구'는 직업이나 지역 등 공통된 특성을 가진 많은 사람(수천 명에서 수백만 명까지)을 대상으로
특정 질병의 위험요인(원인)을 관찰하는 연구다.
이들 연구의 대상자 31만여 명 중 고혈압 환자는 64,000여 명이었다.
13건의 코호트 연구를 종합한 결과, 커피 섭취가 고혈압의 발생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관련성이 없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유럽 및 아시아에서 수행된 연구와 기타 성별, 카페인 유무, 흡연, 추적기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수행된 메타분석에서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2. 커피는 두 얼굴을 가진 헐크(?)
- 명 원장은 "커피는 이를테면 두 얼굴을 가진 헐크"라며
"커피 안에는 1000여 종의 화학물질이 들어있어 질병에 따라 위험성이 높아지기도 하고, 낮아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커피 섭취는 당뇨, 일부 암(간암, 유방암, 대장암 등), 파킨슨병 등의 위험성을 낮추지만 저체중아 출산, 유산,
이상지질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위험성을 높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혈압과 관련된 커피 속 물질은 카페인과 클로로제닉산"이라며
"카페인은 혈관을 수축해 혈압 상승효과를 내지만 클로로제닉산은 항산화 작용을 통해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명 원장은
"클로로제닉산의 효과로 볼 때, 커피 섭취가 고혈압의 위험성을 높이지 않는 이유로 생각된다."며
"미국에서 수행된 연구에서는 커피 섭취가 고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나왔지만 신뢰성이 낮다."고 덧붙였다.
명 원장은 커피 섭취가 고혈압의 위험성을 높이지 않지만 다른 메타분석에서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고 나왔기에 과도한 커피 섭취는 삼가 할 것을 권장했다.
- 옮긴 글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