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 상환 수수료냐... 설정비냐... 그것이 문제로다.
대출을 받다보면....
중도 상환 수수료를 물고 설정비를 면제받을 것이냐...
중도 상환 수수료를 면제 받고, 설정비를 물을 것이냐...
선택의 갈림길에 서는 경우가 가끔 생깁니다.
통칭 설정비라고 부르는데...
다른 말로 취급 수수료라고 하기도 합니다.^^
보통은 은행마다 정해진 규칙이 있어서
정해진 대로 따라야 하는 게 일반적인데...
가끔 선택을 할 수 있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은행에서 자체적으로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제시하는 경우와...
은행 한 곳은 중도 수수료를 받고,
다른 은행은 설정비(취급 수수료)를 받을 경우에..
두 은행 중 어디를 선택 할 것이냐... 하는 경우가 있는 거죠.
중도 상환 수수료란..
금융기관(일반적으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고객이
만기 이전에 대출금을 상환할 경우(즉, 중도 상환시에)
고객이 금융기관에 내야 하는 '벌칙성' 수수료를 말합니다.
즉, 보통 3년 만기 이렇게 대출을 받는데...
1년만에 대출을 갚아 버린다...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겁니다.
왜 이런 벌칙성 수수료를 부과하냐구요?
은행 입장에서는 돈을 갚으면 좋은 거 아니냐구요...?
물론 돈을 안갚고 떼어 먹는 경우보다 갚는 경우가 좋긴 하겠지만...
은행 입장에서 대출을 해준 본래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대출 이자를 받기 위함인데...
돈을 빌려가서 3년간 이자를 내기로 해 놓고는
중간에 갚아 버리면 은행 입장에서는 남은 기간 만큼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보는 거죠.
그래서 중간에 일찍 갚으려고 하면, 수수료를 내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ㅋ
예를 들자면, 이런 식인거죠.
1년 이내에 갚으면 수수료 2%
2년 이내에 갚으면 수수료 1%
3년 이내에 갚으면 수수료 0.5%
3년 만기에 갚으면 수수료 0.
조기 상환일수록 수수료가 비쌉니다.
대출을 1억을 받았다고 가정하면....
1년 이내에 갚으면 수수료 200 만원.
2년 이내에 갚으면 수수료 100 만원.
3년 이내에 갚으면 수수료 50만원.
이런식이라는 얘기 입니다....^.^
설정비(취급 수수료)
이건 중도 상환 수수료만큼 이해하기 어렵거나 하진 않습니다.
그냥 대출받기 위한 수수료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ㅎㅎ
거기에는 근저당 설정비도 포함되어 있구요.
(얼마 전에 소비자 분쟁 조정 위원회에서 근저당 설정비를 환급하라는 조정 결정이 나왔죠...)
자... 어떤 기준으로 선택을 하면 적당할 까요..?

중도 상환 수수료 면제 선택.
경매로 아파트를 낙찰받아서,
명도끝나고 바로 팔아 버릴 계획이다.
그럼... 어떤 걸 선택하는 게 유리할까요?
즉, 대출 만기 전에 중간에 팔아 버릴거니까...
중도 상환 수수료 없는 상품을 고르는게 유리하겠죠.
더구나... 경매 단타의 경우는....
1년 이내에 파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중도 상환 수수료는 조기 상환일수록 상환 수수료가 비싸지니까요.
설정비 면제 선택.
실거주 목적으로 아파트를 구입했어요.
최소한 3년 이상은 거주할 계획이에요.
그럼....?
이럴때는 그냥 설정비를 면제받고,
중도 상환 수수료있는 상품을 고르는 게 낫습니다.
어차피 3년 지나면 중도 상환 수수료가 없어질 테니까요... ㅎㅎ
2012년 6월 13일.
설마.
추신 : 아래 손가락 뷰~~ 클릭... 잊지 마세요...ㅎㅎ

첫댓글 감사합니다.잘봤습니다.^^
계산 잘해야겠네요^^ 감사용~~~~~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우선 낙찰부터 받고 고민해야 겠다............^^
이런 선택을 할때를 기대하며~~^^;
이번에 낙찰 받은 물건 국민은행에서 낙찰금액 40%정로를 4.75%로 대출 받았는데, 잘 받은건지 모르겠네요, 설정 없이 중도만 있게 받았는데 말이죠.. 처음이라 정신없이 마구잡이로 하고 있네요 ㅋ
보통 일반적인 경락잔금 대출은 낙찰가의 70~80%를 받는데, 좀 적게 받으셨나보네요. 물론 국민은행같은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면, 금액은 적은 대신에 이율은 1%정도 싸게 받을 수 있죠.
낙찰자가 선택하기 나름입니다. 많이 받고 이자를 조금 더 내느냐, 적게 받고 이자를 줄이느냐...^^
감사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꾸벅
감사합니다..좋은 정보였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진작에 읽어봐야 했는데...
최근에 이것때문에 고민했거든요.
이런 글들이 모여 저에게는 큰 힘이 되겠죠...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잘 읽었습니다~^^
세심한 정보.. 다음에 꼭 이대로 해 보고 싶습니다~^^
역시~~좋은 말씀~~감솨~~^^
잘~ 봤습니다 ~ ^^
좋은정보입니다~ 꼼꼼히 체크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잘봤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설정비와 중도상환 수수료ㅋ잼있내요^^
중도없이 설정비로 하는게 있군요!
중도 수수료 없는 상품이 잘 없는 것 같은데.. 잘 찾아보면 그래도 있나봐요~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감사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해요~~
짧은 내용이지만 꼭 필요한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글 잘봤습니다..
알찬 내용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