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250(혈액화학검사)에서 나-220(혈장단백검사)로 이동
--------------------------
(1) 검사목적 : 간질환, 신장질환, 영양장애 및 흡수장애, 심한 감염증 등에서 환자의 상태를 총괄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검사이다.
(2) 검사방법 :
① Biuret법으로 측정한다.
② BCG나 BCP와 같은 염색시약으로 측정한다.
A. 체액단백정량 : 복수 등에서의 상기 검사는 염증성 질환과 비염증성 질환의 판단에 다른 염증성 단백의 혈중치를 고려하여 의미 있는 증감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며, 관절액 등에서의 체액당정량 검사는 역시 혈당, 당화혈색소 등의 당뇨 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미 있는 증감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임상 양상, 여타 관련 검사 결과를 고려한 임상화학 담당 전문의 검사결과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하겠다.
--------------------------
1. 혈청단백 분획검사는 나-250(총단백, 정량) 및 나-251(알부민)검사를 우선 시행하고 이상소견이 있을 경우에 실시함을 원칙으로 함. (일률적으로 실시한 나-300(단백분획측정)은 나-251(알부민)로 조정) [임상병리과분위, 1986/12/04]
2. 내과적 상병에 일률적으로 동일 검사를 Blood와 Urine으로 화학검사시 나-250(총단백, 정량), 나-252(당검사), 나-273(BUN), 나-274(크레아티닌), 나-277(요산), 나-279(Na), 나-280(K), 나-281(Cl) 등을 Urine으로 실시한 화학검사는 인정하지 아니함. [제9차전체심위, 1987/03/25]
3. Spinal Tapping후 CSF Analysis시 Set화 된 검사실시는 인정하지 아니함.
(나-51(뇌척수액, 복수, 늑막액, 관절액 등의 체액일반검사), 나-250(총단백, 정량), 나-251(알부민), 나-252(당검사), 나-281(Cl), 나-593(체액세포학적검사)시 나-251(알부민), 나-593(체액세포학적검사)은 불인정) [신경외과분위, 1988/03/03]
4. Rifampin Desensitization시 시행한 Urine Chemistry(나-250(총단백, 정량), 나-274(크레아티닌), 나-277(요산), 나-279(Na), 나-280(K))와 Follow Up Check 위해 실시한 Blood Chemistry(나-257(SGOT), 나-258(SGPT), 나-274(크레아티닌), 나-277(요산) : 각 3회 실시)는 인정함. [내과분위, 1988/11/08]
5. 대상포진에 조비락스 투여의 부작용으로 Renal Function의 장애가 초래되므로 선택적으로 실시한 Urine Chemistry(나-30(삼투압농도), 나-250(총단백, 정량), 나-274(크레아티닌), 나-277(요산), 나-279(Na), 나-280(K))는 인정함이 타당함. [피부과분위, 1989/07/20], [제12차전체심위, 1990/03/30]
6. 간염 Screening으로서 LFT 실시시는 나-451(간염s항원검사), 나-452(간염s항체검사) 포함하여 7종 이하로 인정(즉, 나-250(총단백, 정량), 나-251(알부민), 나-257(SGOT), 나-258(SGPT), 나-260(포스파타제 산, 알카리 각각), 나-451(간염s항원검사), 나-452(간염s항체검사)) [상근심위, 1991/01/14]
7. 간염 Screening은 HBSAg, Ab와 LFT 5종으로 인정, (단 LFT를 8종이상 동일 검체로 동시에 실시하여 체감적용시는 실시 종목수대로 인정)
[상근심위, 1991/06/12]
8. [동의어]----Total protein(Serum). Serum Total Protein
Protein Total(Serum). Serum Protein total
TP(Serum). Serum TP. 총단백(Serum). Serum 총단백
[정상치]----성인-----60-80g/L (6-----8g/100ml)
신생아---45-75g/L (4.5-7.5g/100ml)
[높 다]----알콜중독.
탈수증. 다발성 골수종. 임파종. 자가면역질환
만성 간질환. 만성감염증. 지혈압박(정맥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