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덕산-구름산 도문산-도덕산-밤일터널-한치고개-구름산 2020년 3월15일 자유인산악회-한문희총대장 |
> 광명시 구름산줄기 탐방, >

>
 <서울근교산>-광명시 도덕산-구름산 탐방일지,
> <구름산(雲山)>- 도문산-도덕산-구름산-돌산전망대 탐사기, ☞일시: 2020년 3월 15일(일요), 기록: 자유인산악회 한문희총대장, ☞코스: 철산역-광명시청-쌈지공원-도문산-도덕산-황토방쉼터-밤일터널-한치고개-진달래약수-천연약수-구름산-팔각정-가리대광장-돌산전망대-칼바위전망대-금당사거리-광명보건소-광명우체국-종료, 실제거리10.3km, 3:40분소요, -13:30분경, 서울 대림동 출발, -14:20분, 전철7호선 광명 철산역 3번출구 앞, -14:24분, 광명시청, -14:32분, 쌈지공원+철산배수지. -14:47분, 도문산(道門山)170m, -14:55분, 도문사거리, -15:05~11분, 도덕산(道德山)183m, -15:17분, 수양고개, -15:23분, 원광명고개, -15:27~30분, 황토방쉼터, -15:34분, 노온배수지 -15:38~42분, 충주평씨(忠州平氏)世阡碑묘역, -15:46~50분, 밤일터널, -16:05~10분, 한치고개, 노온정수장, -16:24분, 구름산 갈림길, -16:33분, 진달래약수터, -16:45~57분, 구름산(雲山)237m, -17:11분, 구름산 산불감시 팔각정, -17:20분, 가리대광장, -17:38분, 돌산전망대, -17:46분, 칼바위 정자쉼터, -17:51분, 금당광장, -18:03분, 광명보건소, -18:10분, 광명우체국4거리, 終了, |
>

>
청산은 나를 보고(청산혜요아: 靑山兮要我) 나옹선사( 懶翁禪師 ) 靑山兮要我以無語 ( 청산혜요아이무어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 창공혜요아이무구 )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 료무애이무증혜 )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 ( 여수여풍이종아 )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靑山兮要我以無語 ( 청산혜요아이무어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 창공혜요아이무구 )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怒而無惜兮 ( 료무노이무석혜 ) 성냄도 벗어놓고 탐욕도 벗어놓고如水如風而終我 ( 여수여풍이종아 )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
<광명시>- 도문산-도덕산-구름산-돌산 탐방기-02,>>

이곳 한치고개에서 1,5km 지점에 구름산(雲山 237m)이 있습니다.
거리환산표는 아래 도표에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표지석 해발이 왜 틀릴까요? 참고로 237m로 수정해야지 안습니까? 광명시 홈피에도 237입니다.
구름산정상(雲山 237m) 2013년 10월까지 표지석이 있었습니다 현재 표지석은 2013년 11월 교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구름산(雲山237m) ; 한남정맥 수암봉에서 가지친 산줄기, ▶[정의+위치]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에 걸쳐 있는 산이다. 속리산 천왕봉에서 가지쳐 수원 광교산- 시흥시 수암봉- 인천 계양산- 김포 문수산에서 마치는 한남정맥, 한남정맥 수암봉에서 北으로 박달재-서독산-가학산-구름산-한치재-도덕산-광명시청고개를 경유 목감천에 유입되다. ▶[개설] 구름산은 광명시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광명시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또한 생태계가 유지되는 중심축으로, 생태적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산이다. 구름산은 광명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관계로 접근이 용이하여 광명 시민들이 즐겨 찾고 있다. ▶[명칭유래] 본래는 광명의 아방리에 있는 산이라 해서 아왕봉(阿王峯)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 구름 속까지 솟아 있다고 해서 구름산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이는 지역의 자연환경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구름산은 수분 유지에 유리한 토성을 가진 표토층으로 덮여 있어 활엽수의 정착에 유리하다. 아울러, 식물의 증산 작용과 안양천·목감천을 중심으로 발생되는 기류의 흐름이 동서 혹은 남북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안개를 만들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구름이 아닌 안개가 용이하게 발생, 구름을 모아두는 형상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았을 것이다. 그런 이유로 운산(雲山)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전해진다. |
▶[자연환경] 해발 고도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외부 교란에 노출된 흔적이 많다. 무엇보다 산정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산 전반에 걸쳐 교란의 상징인 아카시나무가 대단히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나 점차 세력이 약화되고 있기는 하다. 산정 부근에는 활엽수인 떡갈나무, 그 아래로는 신갈나무·갈참나무·졸참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고, 등산로와 경사면을 따라 관목류인 국수나무·쥐똥나무를 비롯하여 보리수나무·오리나무 등이 서식하고 있다. 비교적 근래에 도심에 위치한 산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는 삼지구엽초가 발견된 바 있다. 일부 능선 아래에서는 서어나무 서식처가 형성되어 있기도 하지만 수세는 약한 편이다. 숲의 하층 식생으로는 이른 봄에 등장하는 애기똥풀·괴불주머니·둥굴레·애기나리·홀아비꽃대·천남성 등이 관찰된다. 우수하지는 않아도 비교적 다양한 식생을 갖춘 덕에 곤충류와 파충류, 양서류 등의 출몰도 꾸준하며 계곡으로 이어지는 작은 수계에는 저서생물상(底棲生物相)이 풍부한 편이다. ▶[현황] 높이는 237m이다. 구름산은 광명의 중심을 이룬 생태적 가치를 가진 산으로서 보존 가치가 대단히 높은 실정이다. 아울러 수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생물자원은 다양한 활용과 보전 가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역의 상징이자 생태 축으로 반드시 유지할 필요가 있는 산이다. 점차 넓어지는 등산로와 쇠퇴 일로인 리기다소나무·아카시나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고, 활엽수만으로 가득 찬 암반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정 하단 주변 등은 장기적으로 산림 자원의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곳곳에 심은 영산홍이나 철쭉류는 구름산의 생태적 가치를 고려하지 못한 조경에 해당하므로 재고할 필요가 있다. 가능하면 다른 생물들을 배려하여 식이원으로 활용 가능한 식초(食草)를 도입하되 광명시 삼림에 자생하는 나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코스 참고도] 철산역3번출구-광명시청-쌈지공원-도문산-도덕산, 2.2km, 도덕산-수양고개-황토방봉-밤일터널-한치고개, 3.3km, 한치고개-진달래약수터-천연약수터-구름산, 1.5km, ▶참고: 철산역-도덕산-구름산 7km, 구름산-가리대광장-돌산전망대-광명보건소-광명우체국, 3.3km ▶참고: 철산역-도문산-도덕산-한치고개-구름산-돌산전망대-보건소-광명우체국, 10.3km, 구름산-부대후문-노두안부-가학산(220m), 2.2km, 가학산-임도-서독산(180m)-기형도문학관, 2.3km, ▶참고: 철산역-도문산-도덕산-한치고개-구름산-가학산-서독산-기형도문학관, 11.5k, 기형도문학관-충현고, 초교-소하리순대국집, 1.5km, |





구름산에서 광명보건소로 가기전 가리대광장 직전봉우리입니다. 이산이 구름산보다 더 운치가 있어 보입니다. 일명 산림보호 전망봉우리 팔각정입니다.


가리대광장으로 산아래 지하에는 터널이 지나고 있습니다.
넓은 광장 쉼터와 화장실이 있어 이곳에서 숨을 돌리고 진행합니다.

돌산전망대입니다. 소화동일대와 안양, 관악산이 조망대입니다.







이곳이 보건소 입구 구름산 들머리입니다.

>>> 언제나 희망과 기상으로 백두대간을 가는 자유인사람들!..
항상 백두대간과 정맥+지맥+우리산줄기를 탐사하고 있습니다.
다음카페- 자유인산악회02834-1777, 또는 한문희총대장을 검색해 보세요,
♡♡♡ 잔잔한 음악이 흐릅니다.>
<클래식>- 보케리니 / 미뉴엣 外 14選,
♪자유인산악회/한문희총대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