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즈베키스탄 생활안내 |
I. 우즈베키스탄 개관 |
ㅇ 공식국명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Republic of Uzbekistan)
ㅇ 위 치 : 중앙아시아(위도 37-46, 경도 56-74)
- 국경인접국 :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키르키스탄,
타지키스탄
ㅇ 기 후 : 대륙성 기후
- 여름 최고기온 45ㅇC, 평균 기온 40ㅇC, 고온 건조
- 겨울 최저기온 -10ㅇC 평균 기온 2.8ㅇC 건조
ㅇ 면 적 : 44.7천만km2(한반도의 2배)
ㅇ 인 구 : 2,600만명(’2003.8)
ㅇ 수 도 : 타슈켄트(Tashkent)
- 인구 : 213만명
ㅇ 주요도시 : 사마르칸드(36만명), 나망간(43만명), 안디잔(44만명),
부하라(22만명),
페르가나(18만명)
ㅇ 주요민족 : 우즈벡인(80%), 러시아인(5.5%), 타타르인(1.5%),
카자흐인(3%),
타직인(5%), 카라칼팍인(2%), 고려인(0.8%)
ㅇ 주요언어 : 우즈벡어가 공용어이나, 도시에서는 러시아어도 통용
ㅇ 종 교 : 이슬람교 (국교 : 없음)
ㅇ 정 체 : 공화국
ㅇ 독 립 일 : 실제 독립일은 1991. 12이나 우즈베키스탄에서는 1991. 9.1
(독립선포일)을 독립일로 정하고 있습니다.
ㅇ 국 경 일 : 회교 신년(3.21), 독립기념일(9.1), 제헌절(12.8)
ㅇ 주요정당
- 국민민주당, 집권여당
- 사회민주당
- 조국진보당
- 민족재생당
- Birlik(Unity)당
Ⅱ.도착전 준비사항 |
1. 사증
ㅇ 대한민국 주재 주우즈베키스탄 대사관(위치: 서울 서초구 서초 2동 외교
센터빌딩 701호<지하철 3호선 양재역>, Tel:02)577-3660, 574-6554, Fax:578-0576)에서 우즈벡 입국 비자를 받을 수 있으며, 관광 비자의 경우 최대 1개월, 비즈니스 비자의 경우 1주부터 6개월까지 체류할 수 있는
단수 비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ㅇ 비자발급 준비물 : 여권, 사진2장, 초청장, 비자 발급비
- 비자 발급비 : $75(1개월)/$55(1주일)/$65(15일)
ㅇ 주한 우즈베키스탄대사관 연락처
-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서초2동 1376-1, 외교센타 701
- 전화번호 : (02) 574-6554
※ 특정 요일의 경우 우즈베키스탄 대사관에서 비자 발급 업무를 취급하지
않으므로 사전에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2. 식품류
ㅇ 우즈베키스탄에는 20여만의 고려인 동포들이 거주하고 있어 배추, 무, 마늘,
고추, 부추 등 대부분의 한국습니다식 재료용 채소를 구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국식과는 다소 상이하지만, 된장, 고추장등도 고려인 시장에서
구입이 가능합니다.
ㅇ 내륙 국가이므로 생선은 주로 냉동된 고등어, 동태, 새우등이며,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ㅇ 2-3곳의 한국식품점에서 한국으로부터 수입되는 고추장, 된장, 라면, 과자,
기타 잡화류 등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단 가격은 한국내 가격보다
2-3배 비싼 편입니다)
ㅇ 출국전 준비물로 식품류를 준비하는 것도 좋지만, 좋은 품질의 공산품(특히,
의류, 약품, 학용품(크레파스, 물감 등)을 구매하는 것이 쉽지 않은 만큼
공산품류를 가져오는 것도 좋습니다
(단, 질 낮은 중국산 및 터키산 공산품은 수입됩니다)
3. 건강진단
ㅇ 주재국은 의료 인력에 대한 처우가 매우 열악하며, 병원시설도 한국에
비해 상당히 낙후되어 있어 한국과 같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기는 어려운 실정입니다.
ㅇ 외국인용 일부 병원과 Intl' clinic에서 예방접종 및 진료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수술 및 출산도 가능하나, 의료수준이 높지 않아 외국으로
ㅇ 05.3월 장티푸스 환자가 발생한 사실이 있으므로 식수를 끓여 먹고,
개인 위생에 주의해야 합니다.
ㅇ 가능하다면, 오기전 한국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오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기후 및 의복
ㅇ 현지 기후는 대륙성 기후로 1년 내내 건조하며, 여름에는 최고 45도까지
올라 가며, 겨울은 최저 영하 10도까지 내려가나 겨울 평균은 영하1도내외
정도로 전반적으로 여름이 길고 , 겨울은 한국에 비해 온난한 편입니다.
ㅇ 현지는 전문 양복점이나 질 좋은 옷 상점이 거의 없으며, 몇몇 외국산
의류는 구할 수 있으나 질에 비해 가격이 지나치게 비싼 경우가 있어 봄,
여름의류 위주로 사계절 의류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이사화물
ㅇ 전기 및 전자제품
- TV 및 비디오 방식 : PAL 방식
- 전기 시스템 : 220V 50Hz
- 현지는 전압이 매우 불안정하므로 전압에 민감한 전자 제품은
전압안(AVR) 필요
- 상기 전압과 전류가 일치하면 한국 전자제품 사용가능
ㅇ 가구, 비품 및 장식품
- 임대 주택에 가구가 비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ㅇ 자동차
- 대우자동차 현지 공장이 있어(넥시아, 다마스, 티코, 마티즈 생산 중)
한국차 인지도 높고, 중고 시장에서도 고가에 거래됩니다.
- 중고차의 경우 여러 종류의 외제차가 많이 있으나 애프터 서비스에
문제가 있습니다.
ㅇ 기타 필요 물품
- 현지 일반 소비재의 가격이 비싸고 질이 조잡한 바, 별도로 이사화물을
준비하는 경우 국내에서 기본적인 소비재는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양념류 : 간장, 고추장, 조미료, 참기름 등
- 유아용품, 학용품 등
- 상비약은 반드시 지참 할 필요가 있습니다.
ㅇ 이사화물 탁송 및 보험
- 현지는 Door to Door 서비스가 불가하며, 항공화물인 경우 공항에서,
컨테이너는 기차역에서 직접 화물을 인도 받아야합니다.
- 자택까지의 운송료는 1.5톤 트럭 임대료 약 US$ 50, 일용잡부 수고료
1인 약 US$ 5 및 세관 통과 행정료 약 US$ 250정도 소요됩니다.
- 통관서류는 현지에서 모두 준비가 가능하며 물건을 찾는 데 까지는
약 2-3일정도 소요됩니다. 한국 운송회사에서 운송시 보험이
가능하며, 최근 현지에 몇몇 외국 운송회사가 설립되어 보험 처리가
가능하지만 가격이 다소 비싼 편입니다.
6. 각종 증명서 관계
ㅇ 현지에서는 국제 운전면허증 사용이 불가하며 국제운전면허증 또는
한국면허증을 제시하면, 적성검사 후 현지 면허증을 발부 (1-2주 소요)
ㅇ 보험가입시 무사고 운전 면허증은 제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ㅇ 자녀 입학 관련 서류: 한국 학교졸업 혹은 재학 증명서, 건강진단서(영문)
ㅇ 이사화물 탁송관련 서류는 일반적인 화물 서류 이외에 특별히 요구되는
것은 없습니다.
1. 주택
ㅇ 주택사정
- 비교적 주택 임차 사정은 좋은 편입니다. 외국인의 경우 대체로 단독
주택을 선호하며, 최근에는 고급 아파트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ㅇ 계약방법
- 주택 소개인을 통해 주택을 임차할 수 있으며, 집 주인측이 소개료로
임차료 1개월분을 지불합니다.(임차인은 별도로 지불치 않습니다)
- 계약은 1-2년 단위로 이루어지며, 통상 입니다대주는 6개월 또는
1년치 임차료를 선불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ㅇ 계약시 유의 사항
- 임대의 모든 조건이 갖추어진 후(가구 보충, 수선, 보수 등의 사항
이행후) 대금을 지불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ㅇ 입주시 유의 사항
- 계약전 하수도, 상수도, 난방시설 및 전력사항 등을 확인해야합니다.
- 여름철의 고온 등을 감안 통풍상태, 보일러 용량 확인 필요합니다.
- 가구상태 및 각종 주방기구 등 가능한 입주 전 리스트를 작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ㅇ 계약 종료 시 원상회복 관계
- 임대주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나 임대인의 부주의로 인한 가구파손
및 기물파손에 대해서만 배상합니다.
ㅇ 가구 등 비품 포함 여부
-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비품을 포함하여 임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ㅇ 주택관련 보험제도
- 특별한 보험제도는 없으나, 계약서상 임대주와 화재, 천재지변 등과
관련된 조항을 삽입, 책임소재를 밝히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식품
ㅇ 현지시장 이용 참고사항
- 우즈벡식 바자르(시장)
- 야채, 과일, 고기, 기타잡화, 약간의 수입잡화
- 고려인 집단지역의 꾸울륙 바자르
- 우즈벡식 바자르와 같으나 배추, 콩나물 등 한국채소, 쌀, 양념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 외국합작의 슈퍼마켓
- 터어키, 인도, 파키스탄, 중국 등지에서 수입한 잡화 판매
- 벼룩시장
- 토.일요일에만 개장하며 외국수입 의류, 신발, 골동품, 각종 부품,
3. 교육
ㅇ 학제 개요
- 11년제(한국의 초중고등학교 과정에 해당)
-저학년(1-4학년), 중학년(5-9학년), 고학년(10-11학년)
- 가을학기 입학이 원칙
- 취학전 아동이나 미취학 아동(만3세-6세)를 위한 교육은 주로 유치원에서
담당
ㅇ 학교 현황
- 국공립학교(교육부 관할)
- 무상 교육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상류층 및 외국인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는 사립 학교도 있습니다.
- International School
- Tashkent International School이 대표적인 국제학교입니다
- 개교 : 1994.9월
- 등록금(입학금 $250별도)
(06.4월현재)
△1-6학년: 년간 $12,6300
△7-12학년: 년간 $14.650
- 유치원 과정: 년간$10,175
- 개설 과정 : 유치원~12학년
ㅇ 대학 교육
- 학제 개요
- 11년제 정규 학교를 졸업해야 진학이 가능
- 9학년을 마치고 전문학교에 입학해 소정의 과정을 이수할 경우 4년제 혹은
5년제 대학 입학 자격 부여 ( 학부과정 4년, 석사과정 2년, 박사과정 3년)
- 2006.1월 현재 약 60여개의 대학에 해당하는 고등교육기관이 있습니다.
(국립 또는 주립 대학)
- 교육부에서 관할하는 미술, 음악, 발레 학교의 경우 11년제 학교 졸업생에게
입학자격 우선 부여
ㅇ 입학 요건
- 학교마다 차이가 있으나 외국인의 경우 언어예비과정(러시아어 또는 우즈
벡어 어학연수기관) 졸업증명서이외에 최종학교졸업증명서,성적증명서 등이
필요하며 인터뷰 및 서류 심사의 과정을 거쳐 입학
ㅇ 한국 학제와의 차이점
4. 자동차
ㅇ 수입 자동차에 대해서는 신품이 아닌경우 40-50%, 중고인경우 100%의
관세를 부과합니다.
- 구입소요기간 및 구입비(면세, 운송비 포합니다)
- 한국 및 외제차 주문시(약 2-3개월 소요)
- 현지 구입시, 대우 자동차의 경우 넥시아(한국 판매 : 시에로)와
티코, 마티즈는 현지생산되므로 현지구입이 가능하며,
각종 외제 중고차의 경우, US$ 10,000 - US$ 25,000 사이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러시아제차량은 성능 및 에어콘 부재로 외국인의 경우 구입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ㅇ 차량 번호판 및 운행허가증
- 차량구입후 약 3일 정도의 등록기간이 걸리며, 번호판 및 운행 허가증
발급에 약 1주가 소요됩니다.
ㅇ 자동차 보험
- 몇몇 보험회사가 최근에 생겼으나, 보험료가 다소 비싼편이며, 보험
배상한도는 차량가격이내에서만 가능합니다. 1년 보험료는 보통 차
량가의 10%선입니다.
ㅇ 유류 보급 방법
- 주유소가 있기는 하나 질이 좋지 않아 주로 운전자 개인적으로 유류를
구입합니다.
ㅇ 운전시 유의 사항
- 보행자들은 신호를 거의 무시하고 길을 건너기 때문에 보행자를
유의해야합니다.
- 시내 중심을 제외하고 대부분 비보호 좌회전입니다.
- 속도제한은 도로에 따라 60-80Km 입니다.
- 안전벨트착용은 의무사항은 아닙니다.
- 시내 최중심 및 특별한 지역이외에는 주차금지 지역이 거의 없습니다.
ㅇ 현지 운전면허 시험
- 필기, 실기(도로주행)
ㅇ 기타 참고사항 : 귀국시 차량을 현지인에게 판매할 경우 60%의 세금 부과
5. 이사화물 통관 및 수령
ㅇ 현지 관행
- 우즈베키스탄 세관과 공항에 관련서류 확인후 현지 도착 2-3일후
수령합니다.
- 물품 수령시까지 약간의 행정 서비스료 포합니다 약 US$ 200
6. 공항
ㅇ 공항 위치 및 공관과의 거리
- 공항은 타슈켄트 시내외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7. 쇼핑
ㅇ 면세점: 공항 면세점이 있으나 물품 종류가 다양하지 않습니다.
ㅇ 백화점 및 기타 상점
- 백화점 : 타슈켄트 시내에 2개의 국영백화점이 있으나 물건의 수준이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 전자제품 : 외국수입 전자 제품점 밀집지역이 있어,TV, Video, 냉장
고등 일반 전자제품 구입은 가능합니다.
- 가구제품 : 현지 가구는 품질이 떨어지는 편이며, 수입가구 상점이
일부 있으나 가격이 상당히 비싼 편입니다.
ㅇ 일반 상점의 운영시간은 09:00-19:00(일요일 휴무)입니다.
8. 식당
ㅇ 현지 식당
- 샤슬릭 전문 식당 등 외국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식당은 위생 및
서비스 수준이 양호
- 시내의 몇몇 현지 고급식당 등에서는고급 실내악, 전통무용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1인당 식대는 US$30-US$50정도)
- 일반 현지 식당을 처음 이용시에는 식수 또는 위생 관계로 불편을
겪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외국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호텔이나
고급 현지 식당을 이용할 것을 권장
ㅇ 한국식당
- 타쉬켄트 시내에는 약 10여 개의 한국식당이 있으며, 가격은 1인당 약
US$ 6 - US$ 30정도
ㅇ 일반적으로 팁이 계산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지만, 보통 $1 정도의 팁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9. 호텔
ㅇ 현지 호텔 현황
- 현지호텔은 싱글1박당 US$ 30 - US$ 50인 비교적 깨끗하고 가격이
저렴한 개인운영 B&B 호텔(엘리트호텔, 라브스한호텔 등) 부터
5성급 최고급 호텔까지 다양합니다. 인터콘티넨탈, 메리디안, 쉐라톤
호텔같은 5성급호텔은 싱글1박이 US$ 150 - US$ 200정도입니다.
10. 관광
ㅇ 주요관광지 약술
- 현지의 주요관광지는 옛 실크로드인 구도로 사마르칸트, 부하라,
히바입니다.
ㅇ 관광시 유의사항
- 호텔, 식당시설이 열악하므로 가능하면 1일 코스로 관광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1박을 하게 되는 경우 주요 관광지에 현재 성행 중인
B&B(Bed & Breakfast) 시설 이용이 실용적
11. 종교활동
ㅇ 타슈켄트 내에 한인교회, 한국사찰이 있으며 천주교회는 한인 미사시간이
12. 언론 매체
ㅇ TV, 일간지, 주간지, 기타 학술지 등
- TV : 우즈벡 국영TV. Radio가 있으며, TV는 4개 채널(러시아 방송,
우즈벡 방송, 타슈켄트 방송, 국제 방송) 및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며,
민영방송은 없습니다.
- 주요 일간지
- 국민의 소리 : 매주 4회 출간
- 우즈벡의 소리 : 매주 2회 출간
- 타슈켄트 지 : 매주 4회 출간
- 타슈켄트 석간 : 매주 4회 출간
13. 치안상태
ㅇ 여타 주변국가에 비해 비교적 치안이 안정되어 있으나, 최근 경제상황
악화로 인해 외국인에 대한 강도?절도가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14. 한국대사관
ㅇ 주소 및 연락처
- 주소 : St. Afrosiab 7, Tashkent
- 전화 : 998-71-152-3151/3
- 팩스 : 998-71-140-0248
- E-mail : admin1@korea.anet.uz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mofat.go.kr/uzbekistan/
ㅇ 근무시간 : 09:00 ~ 12:30, 14:00-17:00
15. 재외동포 현황
ㅇ 주재 상사원 및 사업 목적 체류 : 500여명
ㅇ 유학생 : 50여명
ㅇ 선교사 : 400여명
16. 우리 기관 및 상사 현황
ㅇ (주)대우 인터네셔날, 삼성전자, LG전자, SK등의 회사가
지사 설치 운영 중
ㅇ 기타 60여개 중소 업체가 상주하고 있습니다.
17. 교통. 통신.우편제도
ㅇ 교통수단
- 지하철 : 현지 대중교통 수단중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
- 버스 : 최근 대중교통 수단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외국인들은
거의 이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 무궤도 전기버스(트롤레이부스), 전차(트람바이) : 가장 대중적인
교통수단이나 고장, 서행 등으로 자국인들이 주로 이용.
- 택시 : 현지는 택시 이외에도 일반 차들이 택시 영업을 하고 있으며,
택시요금은 미터기로 계산하는 것이 드물며, 보통 택시 기사에게 미리
목적지를 이야기 한 후 가격을 흥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ㅇ 통신
- 일반 전화와 핸드폰으로 국제전화 사용 가능
(한국으로 걸때 : 8-1082-0을 제외한 지역번호-전화번호)
- 단 1분당 가격이 다소 비싼편이므로 콜레트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ㅇ 우편제도
- 소포, 편지 등을 한국으로 보낼시 약2주 정도 소요되나, 자주 분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다소 비싸기는 하지만 소포 등은 항공우편물을 취급하는 곳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ㅇ 외국인 유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어학교육기관으로는 문교부가 운영하는
외국인을 위한 어학센터인 부즈가라독 돔 72와 외국어대학내 언어센타,
국립우즈베키스탄 대학내 어학과정 등이 있습니다.
ㅇ 어학교육기관에서 가르치는 언어는 러시아어, 우즈벡어이며 우즈베키
스탄에서 대학 및 대학원을 진학하려면 어학교육기관을 이수했다는
19. 긴급상황 대처 요령
ㅇ 경찰
- 외국인이 경찰 신고시 대체로 빠르게 경찰이 출동합니다.
- 전화번호 : 02
ㅇ 화재시
- 전화번호 : 01
ㅇ 긴급 의료 지원
- 긴급의료 기관 요청 전화 : 03
ㅇ 차량 수리
- 일반적으로 차량 수리는 대부분 차량소유주가 직접하며, 전문적인
수리가 필요한 경우 현지의 한국인이 운영하는 수리센터에 의뢰 가능.
ㅇ 전화 고장시
- 지역 전화국에 요청
ㅇ 수도, 전기등 고장시
- 지역 수도, 전기 담당 사무국에 연락
1. 환전
ㅇ 은행 및 지역 환전소에서 가능
ㅇ US$ 1= 약 1200숨 정도(2006.4월 기준)
2. Tip제도
ㅇ 특별한 제도는 없으며, 약 US$ 1-2 정도 지불
3. 미용 및 이발
ㅇ 기술과 약품의 수준이 떨어지나, 가격은 대체로 싼편입니다.
ㅇ 한국인이 운영하는 미용실 2곳이 있습니다.
4. 공휴일
ㅇ 1.1 : 신년공휴일
ㅇ 3.8 : 여성의 날
ㅇ 3.21: 나부르즈(회교력 신년)
ㅇ 5.9 : 전승 기념일
ㅇ 9.1 : 독립기념일(국경일)
ㅇ 10.1: 스승의 날
5. 인터넷 사용 환경
6. 한국과의 시차
7. 한국신문 구독가능성
ㅇ한국인 서비스 업체 이용 가능. 한국 교민회에서 교민일보 발행.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ㅇ 은행, 우체국, 박물관 등 : 09:00 - 17:00(토, 일휴무)
9. 전력 사용 현황
ㅇ 전기 시스템이 220V 50Hz 방식이며, 전압이 매우 불안정하므로 전압에
민감한 전자제품은 전압안정기(AVR)필요
ㅇ 상기 전압과 전류가 일치하면 한국 전자제품 사용 가능합니다.
10. 기타 참고사항
ㅇ 현지 기후 여건상 풍토병 등 건강 유의사항
- 특별히 심각한 풍토병은 없으나, 습니다식에 의한 세균성 복통에 유의
- 1년 내내 기후가 건조하여 감기, 기관지염 등에 유의
ㅇ 현지는 회교국으로 우즈벡인들은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나, 우즈베키스탄의
여타 민족들은 돼지고기를 먹는 편입니다.
ㅇ 우즈베키스탄 국민은 직업의 귀천, 직급의 상하를 떠나 누구나 악수로
인사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 우즈베키스탄 생활정보
1. 시장(바자르)
시장이름 |
위치 (한국대사관에서 걸리는 시간) |
주요 품목 및 특별상품 |
꾸일륙(Qoyliq) |
15분 |
곡류, 배추, 콩나물, 두부, 도매, 소매, 고려인 물건 |
고스피탈(Mirobod Denqon) |
5분 |
한국야채, 과일 공산품, 꽃, 근처 한국가게 많습니다 |
빠르켄스키(Parkent) |
10분 |
건축자재, 거울, 미술재료 |
양기아바드(Yangiabod) |
15분 |
애완동물, 골동품, 크리스탈, 벼룩시장 |
이빠드롬(Ippadrom) |
20분 |
의류, 구두, 모자 |
철수(Cholsu) |
15분 |
원단판매, 부엌용품, 식료품 |
알라이스키(Alaiski) |
10분 |
견과류, 과일,어류, 고기, 소시지(다소가격이비쌈) |
옵도비 (Opddobi) |
20분 |
도매시장 |
굼 |
나보이거리 철수호텔 옆 |
일부 이사 중, 원단, 의류 |
세르겔리 |
세르겔리 |
세제류 도매 |
까드쉐바 |
까드쉐바 시장 10분 |
소시지종류 도매 |
아스끼야 |
버부르 공원 건너편 |
돼지고기 |
2. 슈퍼마?(마가진)
미르 |
5분 |
육류,채소, 어류, 과자, 우유, 수입품, 공산품 등 |
아루두스 |
5분 |
독일 수입품, 유제품, 쥬스 다양,공산품(독일물건) |
우즈베김 |
1분(한국대사관 옆) |
생필품, 소시지, 유제품, 술종류 (유럽 및 러시아 물건 중심) |
홀랜드 마가진 |
10분 |
아이스크림, 우유 |
앤젤스 푸드 |
여러군데 |
빵, 소규모 슈퍼로 새로이 여러 곳에 생기고 있습니다 |
테스코 |
타슈켄트 |
현재 물건은 적으나 유럽물건이 있습니다 |
3. 백화점(쭘/굼)
쭘(ZUM)-중앙백화점 |
3분 |
각종 생필품, 선물용품, 원단 |
굼(GUM) |
10분 |
현재 도매 시장화 |
타시켄트 플라자 |
15분(인터콘 호텔 옆) |
해외 명품, 화장품 등 |
4. 한국식품점
상호 |
위치 |
품목 |
비고 |
해돋이 152-6626, 127-9362 |
가스피탈니 |
두부, 참기름, 야채, 한국수입품 |
주문 가능 |
온누리슈퍼마켓 152-2486, 185-2580 |
가스피탈니 |
과자, 통조림, 상황버섯, 무미요 등 |
고기(삼겹살, 목살) |
한중건강원 135-5418, 185-9117 |
가스피탈니 |
곡물, 버섯, 도라지, |
참기름 구입 가능 |
뉴월드베이커리 132-0336, 133-3322 |
나보이 극장 |
빵종류, 떡볶이떡, |
|
브로드웨이치킨 133-4665, 133-0223 |
브로드웨이 |
햄버거, 피자, 치킨 등 |
관광지도 판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