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8년 아르헨티나 로사리오의 한 중류 가정에서 태어난
체 게바라(애르네스토 게바라데 라 세르나)는
20대 초반까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시 의학을 공부한 엘리트였다.
하지만 두 번에 걸친 남미여행을 통해 가난한 민중들의 삶을 지켜본 게바라는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길은 혁명밖에 없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것보다 이 세계의 모순을 먼저 치료하는 것이 더 본질적인 문제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1953년 과테말라로 간 그는
과테말라의 진보정당이 미국이 지원한 쿠데타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보고
미국이 진보적 정부를 반대한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멕시코로 간 게바라는
1956년 7월 카스트로 형제를 만나면서 구체적인 쿠바혁명 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 해 11월 쿠바에 상륙, 시에라마애스트라 산맥을 중심으로 게릴라 활동을 벌이며 혁명군을 모은다.
1958년 산타클라라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승기를 잡은 카스트로와 게바라는 1959년 1월 결국 수도 아바나에 입성한다.
그 뒤 게바라는 쿠바 정부에서
국립은행 총재, 공업장관 등을 역임했고,
공산권과 제3세계를 돌며 모든 종류의 제국주의, 식민지주의에 반대하는 외교활동을 벌인다.
이때부터 검은 베레모와 구겨진 군복은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그러나 1965년 4월 쿠바에서의 2인자 자리를 버리고
당시 내전중이던 아프리카 콩고로 가 콩고혁명을 위해 노력했다.
1년 뒤 게바라는 볼리비아로 숨어들어갔다.
볼리비아는 남미 5개국과 집경을 이루는 요충지로서
이곳에서의 활동이 혁명의 불씨를 전남미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국은 볼리비아 정부군을 지원하는 한편
CIA 요원을 파견, 게바라를 체포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고,
결국 게바라는 1967년 10윌 8일 체포된 뒤 처형당했다.
당시 그의 나이는 39세였다.

첫댓글 아주 예전에 읽어봤던 책인데....책을 넘기면 사진과 함께 자신이 남겼던 말인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속에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라는 글귀가 가장 인상에 남아있네요
그리고 이분은 전투중에서도 밤에는 늘 책을 손에서 놓지않았다고 하네요...
한번쯤 손이가고 싶은 내용들이 숨어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인호야 용식아 게바라를 닮아보지 않으련,,,^&^
닮아가렵니다,, 아직 부족한것 투성이지만 닮아가렵니다,,^&^
그 전쟁속을 살아가면서도 하루 한번 이상 책은 꼭 읽었다는군요
참 대단하신 분인거 같습니다... 의사라는 안정된 직업을 버리고
자기 이상을 향해 전진할수 있다는게 참 대단한거 같습니다...
책이라도 열심히 읽는 거라도 좀 배워야 겠습니다 ^^&
그려 그려 나의 사랑하는 이여.^&^
체 게바라..음 목성질이 똘똘 뭉쳤군요.
.편안한 삶도 내던지고 또 다시 변화 무쌍한 혁명의 길로 뛰어 들고 그런거 보면...^^
날궂은 휴일날 오후를 보내며 생각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