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튜브형 하강기 겸 확보기
튜브형 하강기의 다양한 형태 및 종류
각 제조업체 마다 아주 다양한 형태의 튜브형 하강기를 생산하여 시판 하고 있다.
그러나 구멍을 통과한 로프와 하강기, 하강기를 건 카라비너와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원리는 모두 같다.
최근 개발 된 Petzl사의 리버소3나 Mammut의 Vader Alpine 같은 모델은 로프 통과 구멍 옆에 카라비너가 통과 할 수 있는
구멍을 양쪽에 추가하여 2중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거나 확보지점의 위치를 변경 할 때 응용 할 수 있도록 개선 되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사항은 튜브형 하강기도 등반자와 확보자의 제동손의 방향을 반드시 맞게 로프를 삽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방향이 바뀌면 등반자 추락시 튜브형 하강기의 제동력을 기대 할 수 없다.
페츨사와 블랙다이아몬드사 제품은 아래 그림과 같이 등반자와 제동손방향을 그림으로 표시하고 있다.
하지만 그림이 없는 경우라도 턱이 낮은 쪽이 등반자 방향, 턱이 높고 내부에 톱니 같이 홈이 파져 있는 쪽이 제동손 방향이라고
숙지하면 틀림이 없다.
(OKoutdoor.com사진)
각 메이커의 다양한 형태의 튜브형 하강기 모텔
1. DMM의 the bug
(OKoutdoor.com사진)
2. Mammut의 Vader Alpine
(OKoutdoor.com사진)
3. Petzl의 버소
(OKoutdoor.com사진)
4. Black Diamond의 ATC-XP
(OKoutdoor.com사진
2, 8자하강기 겸 확보기
등반인구가 늘어남과 함께 좋은 장비와 훈련시설 등으로 인하여 등반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뛰어난 등반력을 가진 분들 중에는 의외로 장비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을 모르는 분들 또한 많습니다
자신의 등반력이나 등반경력과는 상관 없이 가장 기본적인 8자하강기 사용법을 제대로 익혔으면 합니다
우선 8자하강기를 장비걸이에 걸 때는 아래 사진처럼 큰 고리가 위로 향하도록 합니다
그래야 이동 시에 유동과 마찰이 적어 작은 고리를 위로 걸 때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장비정보>> 방의 <안전벨트와 고리>에서 설명했듯이 모든 금속기구는 빌레이 루프에 걸어야 하는데
8자하강기를 잠금비너와 연결하여 빌레이 루프에 걸면 빌레이 루프가 반바퀴가 꼬여 하강시 8자하강기가
옆으로 뉘어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고 하강자의 중심을 높여주기 위해 아래와 같이 잠금비너 1개를 더 걸어줍니다
이때 사용하는 잠금비너는 아무 것이나 상관이 없으나 가능하면 작은 역삼각형의 HMS비너가 좋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사항은 8자하강기와 연결되는 잠금비너는 너비가 좁은 쪽을 하강기 쪽으로 해야
8자하강기의 유동이 적어 오버행 등에서 몸이 잘 돌지 않습니다
그럼 8자하강기에 어떯게 로프를 넣어야 할까요?
자신의 장비걸이에서 잠금비너와 8자하강기를 떼어와 빌레이 루프에 장착했으면
8자하강기를 빼지 말고 아래와 같이 왼쪽으로 90도를 돌립니다
만일 왼손잡이라면 오른쪽으로 90도를 돌려야겠죠
아직 8자하강기를 빼서 로프를 넣고 있다면 8자하강기에 관한한 초보자라는 것을 인정하는 셈이며
많은 분들이 그렇게 하다가 8자하강기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특히 겨울철에 말입니다
그리고는 로프를 큰고리를 통과하여 작은 고리 쪽으로 넣습니다
작은 고리 위에 로프를 끼웁니다.
오른손으로 로프와 큰고리를 쥔 채로 잠금비너에서 빼냅니다
왼손 사용자는 반대로 하면 됩니다
손이 시려운 한겨울에도 8자하강기를 놓칠 염려가 없겠죠
90도를 다시 왼쪽으로 돌려 하강기를 잠금비너에 장착합니다
역시 왼손 사용자는 반대 방향으로 해야겠죠
하강이 시작되면 상체를 뒤로 젖히고 제동손을 허리춤에 고정합니다
하강은 등반 기술 중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하강법
1 하강 준비
(1) 하강과 위험
하강은 로프를 직접 몸에 감거나, 하강기구를 사용하여 로프와의 마찰이 일 어나게 함으로써 밑으로 떨어지는 신체의 무게를 잡아주게 한다. 즉 로프와의 마찰로 떨어지는 속도를 늦춰줌으로써 안전한 속도로 내려 오는 것이다.
하강은 매우 쉽고 간단한 기술이지만 많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경험많은 등반가일수록 오를때보다 하강할때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인다. 왜냐하면 하강은 올라가는 것과 달리 체중이 하강장치에 계속적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며, 그 때 만일 확보지점, 매듭, 로프, 하강기, 제동손등 단 한가지의 어떤 문제라도 생기면 그것은 바로 비극으로 연결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인 것이다.
(2) 하강루트의 선택
등반전에 하강루트에 대한 정보와 방법이 결정되어야 한다. 하강을 해야 할 지점이 분명히 내려다 보이고 로프가 지면에 충분히 닿는 것이 쉽게 확인된다면, 하강은 상대적으로 쉬워진다. 그러나 몇차례의 하강을 계속해야 하는 곳이라면 몇가지 문제를 확인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어느쪽으로 하강을 해야 안전하고 빠를 것인가? 전면하강이 좋겠는가? 아니면 후면으로 하강을 해야 하나? 다음 하강을 준비할 스텐스나 최소한의 테라스는 있는가? 로프는 그곳까지 닿는가? 그곳에 다시 로프를 안전하게 설치할 고정확보물은 있는가? 없다면 하강확보지점을 설치할 충분한 장비를 가지고 있는가?
(3) 하강로프 설치
* 한동의 로프로 하강을 할 경우 로프의 양끝을 일치시킨후 내려보낸다.
* 두동을 사용하여 하강할 경우, 연결에 사용하는 매듭은 되감기 8자매듭이나 이중피셔맨즈매듭을 사용하고 하강후 회수할 때 어느쪽 로프를 당겨야 회수 가 되는지 확인한다.
* 로프를 밑으로 던질 때는 로프를 나비형사리기(butterfly coil)로 잘 사려서 두 개의 뭉치로 잡은 다음 하강확보물에 가까이 있는 뭉치부터 밑으로 던지고 나 머지 뭉치를 따라서 던진다.
* 기존의 하강루트에서 로프를 던질때에는 "줄내려갑니다."라고 큰 소리로 밑의 등반자들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 던져진 로프가 지상 또는 다음 하강확보지점에 닿았는가를 분명히 확인해야 한다. 눈으로 확인되지 않을 경우 로프의 양끝을 함께 8자매듭과 같이 큰매듭 으로 묶어서 던져야 한다. 왜냐하면 하강하다 로프가 모자라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매듭이 통과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자기확보줄의 카 라비너를 두줄의 로프사이에 걸고 내려오면 보다 확실한 안전대책이 된다.
2.하강 확보물
* 파괴될 가능성이 단 1%라도 있는 확보물을 이용해서 하강을 하면 안된다.
* 하강확보물은 하강경로의 가장자리에 최대한 근접한 곳에 설치한다.
* 하강확보물의 위치를 잡을 때는 회수되는 로프로 인한 낙석의 위험, 크랙속에 끼어들 위험등 회수할 때 발생할 문제점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한다.
* 하강중 그리고 회수시 발생할 하강로프의 마찰손상이 없도록 한다.
* 나무를 이용할 경우 견고성을 충분히 확인하고 가급적 밑둥쪽으로 로프를 건 다. 또한 나무에 직접 로프를 걸지말고 슬링를 사용해야 한다.
* 암각이나 촉스톤을 사용할 경우 마찰에 의한 로프손상을 방지해야 한다.
* 의심이 가는 확보물은 반드시 자신의 확보물을 추가로 설치하여 보완을 한다.
* 1개의 볼트,하켄,확보물에서는 절대로 하강을 하지 않는다.
* 기존 하강확보물에 걸려 있는 슬링은 사용하지 말것.
* 기존의 하강확보물에 걸려있는 하강링조차 의심을 해 본다.
3.듈퍼식 하강법 (Dulfersitz)
듈퍼식 하강법은 독일의 한스 듈퍼(Hans Dulfer)가 완성시킨 하강법으로 일부에서는 압자일렌(Abseilen;독), 현수하강(懸垂下降), "S"자 하강법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이 하강법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신체와 로프만을 이용해 하강하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에 안전벨트나 하강기구를 사용할 수 없을 때 하강에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
|
|
어깨 하강법 -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 사용 |
|
카라비너 듈퍼식 하강법 -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 사용하면 마찰열로 인한 고통을 줄일 수 있다. |
4.카라비너 하강법
카라비너 하강법(Carabiner brake method)은 그 설치가 다소 복잡하기는 하지만 안전벨트, 로프 그리고 몇개의 카라비너만으로 안전하고 편한 하강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하강기구를 준비하지 못하였거나 분실하였을 경우, 마찰의 고통이 따르고 매우 조심해야 하는 듈퍼식하강을 원하지 않는 다면, 카라비너하강법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
카라비너 감기 하강법 - 감는 횟수에 다라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로프손상이 심하다
5.기구 하강법
(1) 8자하강기 하강법
8자하강기를 사용한 하강법은 지금까지 개발된 하강법중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하강법이다. 그만큼 안전하고 부드러운 하강을 할 수 있다.
* 8자하강기 설치작업중 실수로 떨어뜨리는 것을 조심.
* 외줄하강을 할 때에는 작은 구멍에 로프를 걸고 하강하는 방법이 있다.
* 바른 속도로 하강을 하게되면 심한 열이 발생하여 로프에 손상을 준다.
* 하강중 긴 머리카락이나 옷자락이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한다.
(2) 여러가지 하강기구
한 때 카라비너하강법을 응용한 브레이크바(Brake bar)를 하강에 사용하였지만 간혹 부서지기도 하고 하강열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하강기구이다. 역시 브레이크바와 비슷한 형태를 지닌 로버트하강기가 한때 사용되었으나 8자 하강기 이후 사라진 하강기이다.
최근에 개발된 하강기중 튜브형 하강기는 무게가 120g정도인 8자하강기에 비해 45g정도로 매우 가볍고, 큰 마찰력을 얻을 수 있어 외줄하강, 오버행 하강, 얼은 로프 하강시 안전성을 높여 주는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등반자 확보기구로도 8자하강기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어 사용자수가 늘어가고 있다. 다만 로프를 통과시키기 불편하고 보통의 하강시 너무 뻑뻑하며 하강시 열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 튜브형하강기를 설치할 때는 반드시 튜브의 넓은쪽이 안전벨트의 잠금카라비너쪽을 향하게 하고 좁은쪽을 위로 해야 한다. 또다른 하강기구로 등반자 확보기구로도 함께 사용되는 빌레이 플레이트(Belay plate)등이 있는데, 튜브형하강기와 비슷한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신형장비들을 구입하기 전에는 충분히 검토해야 하고, 사용설명서를 잘 숙지해서 사용해야 한다.
패츨사의 리버소를 이용한 하강
6.하강중 정지
하강중 정지해야 할 상황은 많이 있다. 로프가 엉켜 있거나, 확보물을 설치하거나, 구조를 해야 하거나, 사진을 찍는등 하강을 멈추고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8자하강기를 사용할 경우 제동로프를 하강기의 큰 구멍 반대쪽으로 꺽어줌으로써 간단한 멈춤을 할 수 있다. 장시간의 정시에는 프루지크매듭이나 등강기를 이용하여 정지한다.
7.하강안전의 대책
초보자가 하강이나 상황이 의심스러운 하강을 해야 할 때, 제동손을 놓칠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보강을 해야 한다. 제동손을 놓칠수 있는 상황은 얼마든지 생각해 볼 수있다. 하강중 번개를 맞거나, 낙석, 제동손 마비, 벌에 쏘임등의 돌발상황은 초보, 숙련도에 관계없이 발생될 수 있다.
하강로프 회수가 안될때, 로프따라 오르는 오르는 방법
|
첫댓글 처음에는 ,,8자형 쓰다가 ..요즈음에는 튜브형 ATC 가 편하네요 ㅋ
두개다 써보었네요 ^^* 장단점이 있는것같아요
8자형은 쓰긴 편하지만..줄이 꼬이는 단점도 있어요~
공감 ^^* 저도 팔자쓰시고 내려오신분 줄사리다보니 줄이 꼬여있어 힘들었어요
튜브형atc가 쓰기에는 편하지요 8자는 장점이 없어요 그냥 여유분으로 가지고 다닐뿐 ㅋㅋ
튜브형이 대세인듯 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