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직 7급공무원 경쟁률 확인하고
과목별 출제경향 파악
2015년 징방직 7급공무원 시험이
10월 17일로 코앞으로 다가왔는데요.
이럴 때 일 수록 전년도 시험의 경향과
경쟁률을 올해 시험현황과 비교분석하는
시간을 갖으며 각오를 다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 2015년 지방직 7급공무원 경쟁률
행정직군 지역별 선발인원과 경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충북: 선발 6명/ 출원인원 1,009명/ 경쟁률 183.1:1
충남: 선발 4명/ 출원인원 1,081명/ 경쟁률 270.3:1
강원: 선발 11명/ 출원인원 1,394명/ 경쟁률 127:1
경기: 선발 18명/ 출원인원 8,351명/ 경쟁률 464:1
전남: 선발 34명/ 출원인원 1,869명/ 경쟁률 55:1
경남: 선발 13명/ 출원인원 1,784명/ 경쟁률 137.2:1
세종: 선발 3명/ 출원인원 294명/ 경쟁률 98:1
울산: 선발 5명/ 출원인원 721명/ 경쟁률 144.2:1
경북: 선발 15명/ 출원인원 1,756명/ 경쟁률 117:1
인천: 선발 2명/ 출원인원 853명/ 경쟁률 427:1
대전: 선발 3명/ 출원인원 1,376명/ 경쟁률 459:1
대구: 선발 8명/ 출원인원 2,490명/ 경쟁률 312:1
부산: 선발 10명/ 출원인원 2,848명/ 경쟁률 284.8:1
전북: 선발 6명/ 출원인원 1,267명/ 경쟁률 211.2:1
제주: 선발 7명/ 출원인원 668명/ 경쟁률 98.3:1
광주: 선발 5명/ 출원인원 1,535명/ 경쟁률 307:1
제일 높은 경쟁률을 보인 곳은 경기지역이었으며
가장 낮은 경쟁률을 보인곳은
선발인원이 가장 많은 전남이었습니다.

2) 전년도 지방직 7급공무원 합격선 알아보기
올해 경쟁률을 알아봤다면 전년도
지역별 합격선을 알아보는 것이 좋겠죠?
행정직군(일행) 합격커트라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2014년 행정직 합격선>
경기: 81.42
경남: 77.40
경북: 75.53
광주: 79.79
대구: 80.00
부산: 80.71
세종: 77.42
울산: 80.71
전남: 74.07
전북: 80.25
충남: 76.93
2014년 지방직 7급은 난이도가 높았던편이였는데요.
합격선 역시 경쟁률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합격선을 보인 곳은 경기였으며
가장 낮은 합격선은 전남지역이었습니다.

3) 올해 지방직 7급공무원 출제경향은?
(국어)
지난해 지방직 국어는 문법6문항, 어휘4문항,
독해4문항, 문학5문항, 한문1문항이 출제되었는데요.
어휘가 비교적 많았고, 독해지문이 상당히 길었습니다.
길어진 독해 지문에 적응해 대응하는 것이 관건이며
문법분야에서 한문 문제에 대한 별도 대비가 필요하겠습니다.
(영어)
지난해 가장 어려운 과목이 바로 영어였는데요.
지문에 어려운 단어가 많이 나오고 지문길이가 기렁
올해도 이런 패턴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추상적이고 까다로운 단어를 보강하고 독해지문 풀이를 단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국사)
한국사의 경우 기출문제의 중요성이 느껴졌던
출제경향을 보였었는데요.
까다로운 1~2문제 외에는 기출응용문제가 대부분이었고
시대사별로 전근대사가 60%~70%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습니다.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주요이론을 정리하며 마무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헌법)
지난해 헌법은 지엽적인 부분의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으나
정답을 고르는데 크게 영향을 주진않았는데요.
기본서를 통해 주요이론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면
소거법으로 정답을 찾을 수 있으니
기본에 충실한 학습이 중요하겠습니다.
(행정학)
지난해 행정학은 제도 이론의 의미를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었습니다.
굵직한 핵심 이론위주로 학습하여 요약노트를 통한 반복학습이 중요하겠고,
몇년째 평이하게 출제되고 있지만 난이도 상향은 언제나 대비해두세요.
(행정법)
행정법은 공직생활에서 활용도가 가장 높은 과목인데요.
낯선 용어와 법학이론 때문에 첫 입문이 어렵지만
반복을 통해 익숙해지다보면 다른 어떤 과목보다 점수 향상이 큰 과목입니다.
최슨 세무적인 판례보다는 기출판례가 자주 출제되니
빈출되는 법조문과 판례위주로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사회)
사회는 평이한 출제경항을 보이고 있으며, 법과 정치,
경제, 사회문화 3분야에서 빈출개념을 위주로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법과정치'에서는 사회계약설에 대한 학자의 경해 구분과,
우리나라 헌법의 기본원리등이 자주 출제되며 '경제'에서는
기회비용의 계산과 특징 등의 개념이 자주 출제됩니다.
'사회문화'에서는 사회집단 및 사회조직의 구별,
사회계층과 구조 등이 출제되니 참고하세요.
7급공무원 시험은 7과목을 시간안에 풀어야하기 때문에
시간안배가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시험의 난이도 편차에 영향 받지 않게
시간분배연습을 평소에 자주하시고
어려운 문제를 만나더라도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는
문제 대응력을 기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