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유투버를 편집하다가 든 의문인데, 통치체 의결 정족수가 과거에 2/3 였는데 연례 총회의 새로운 통치체 성원인 제프리 윈더의 연설에서 만장일치라는 이야기가 나와서 ex/reddit에 통치체 의결 정족수에 대해 물어 봤습니다. 다음과 같은 답변이 나왔습니다.
level 1
Privately, they require a 2/3 majority to make any doctrinal change. Publicly, any changes they make will always be presented as result of a unanimous decision.
It’s similar to how judicial committees operate. Whether they decide to disfellowship or simply reprove someone, it’s always presented as if it was a unanimous decision, despite the fact that one person on the committee could vehemently disagree and have voted for the opposite decision.
내부적으로는 교리를 변경하려면 2/3이상의 수가 필요합니다. 공개적으로 변경을 발표할 때는 항상 만장일치 결정의 결과로 발표합니다.
이는 사법위원회의 운영 방식과 유사합니다. 제명을 결정하든 단순히 누군가를 책망하든, 위원회의 한 사람이 격렬하게 동의하지 않고 반대 결정에 투표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만장일치 결정인 것처럼 발표됩니다.
level 1
·7 hr. agoChild Abuse is a crime!
I remember being on a body of elders where the vote after the CO (Simony going on) leaned on us being 8 to 4 to appoint as an elder someone we didn't believe qualified.
He pushed and pushed until we were 9 to 3 in favour and said to be unanimous is unnecessary but better so I am going to ask those that are still against (I was one of them) if we would support the clear majority decision.
We said yes and so it was counted by him as a unanimous recommendation.
It clearly wasn't but I am sure when the GB does similar and spout their nonsense to the flock they present themselves as unanimous.
저는 CO(시모니가 계속 진행)가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 사람을 장로로 임명하기 위해 8대 4로 투표가 기울었던 장로회에 있었던 것을 기억합니다.
그는 우리가 9대 3으로 찬성할 때까지 계속 밀어붙였고 만장일치는 불필요하지만 더 낫다고 말했기 때문에 여전히 반대하는 사람들(나도 그들 중 하나였다)에게 분명한 다수결 결정을 지지할 것인지 물어보려고 한다.
우리는 그렇다고 대답했고 만장일치 추천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분명히 그렇지 않았지만 GB가 비슷한 방식으로 양떼에게 말도 안되는 말을 내뱉을 때 만장일치로 통과되었음을 제시 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level 1
I don't know when it changed and it probably hasn't even changed. I bet they are using their weird logic on this.
When the voting is 2/3 or more then they have agreed that this is enough for whatever has been voted on to pass. Therefore, they would then be 100% in agreement. Now that was easy and the sort of sleezy, slimy reasoning the GB has.
When the voting is less than 2/3 then they agree this would constitute that they are not in agreement.
언제 변경되었는지 모르겠고 아마 변경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분명 이상한 논리를 적용하고 있을 겁니다.
투표가 2/3 이상이면 투표에 부쳐진 안건이 통과되기에 충분하다는 데 동의한 것입니다. 따라서 그들은 100% 동의한 것입니다. 이제 그것은 쉽고 GB가 가지고있는 일종의 졸음과 끈적 끈적한 추론이었습니다.
투표가 2/3 미만이면 그들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level 1
·6 hr. agoRun, Elijah, run
Hang on though.....surely if they were properly "spirit lead" there would be no need for voting. Each decision would be unanimous.
잠깐만...... 그들이 제대로 된 '영적 지도자'라면 투표를 할 필요가 없었을 것입니다. 각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level 1
I think it was dependent on what the matter was about. I'm not sure.
Anyway, 2/3 is a must for branch committees and elders. I don't think it's a strict rule for the GB.
문제가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진 것 같습니다. 잘 모르긴 하지만 어쨌든 2/3는 지부 위원회와 장로들에게 필수입니다. GB에 대한 엄격한 규칙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level 2
They make their own rules. Even if it was not a majority vote, those in power will only increase pressure to make it so next time around.
To come out as not unanimous would undermine their apparent authority, so it could be a yes even if it was 40% in their favour, as long as there weren't any objections.
A theory I had which may or may not be true, is why they want JDubs not to vote themselves (elections and generally). I think it's a way to gain more voting power themselves, since their vote would count more.
For the new GB members they'd likely follow the crowd in terms of voting direction. Otherwise they'd soon get the boot.
그들은 스스로 규칙을 만듭니다. 과반수 찬성이 아니더라도 실권을 가진 사람들은 다음번에는 그렇게 하도록 압력을 가할 것입니다.
만장일치가 아닌 것으로 나오면 그들의 명백한 권위가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반대가 없는 한 40%가 찬성해도 가결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가설이 있는데, 바로 제이덥이 (선거와 일반적으로) 직접 투표하지 않기를 바라는 이유입니다. 그들의 투표가 더 많이 집계되기 때문에 투표권을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GB 멤버의 경우 투표 방향에 있어 다수를 따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곧 소외될 테니까요.
level 1
Probably fifteen or twenty years ago there was an obscure comment, I think in a study article, that indicated the governing body only enacted unanimous decisions in following the pattern in Acts. I noted it because I was aware that before then they were using parliamentary procedure. When exactly it changed and whether it’s for everything, it’s hard to know.
아마도 15년 또는 20년 전에 한 연구 기사에서 통치체가 사도행전의 패턴에 따라 만장일치로만 결정을 내렸다는 모호한 언급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 전에는 의회 절차를 사용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주목했습니다. 정확히 언제 변경되었는지, 그리고 모든 사안에 적용되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level 1
·4 hr. agoTony Morris (Booze be upon him) is the last Messenger of Allah
there is a big reason i guess why they kicked Tony.
if you need everyone, than goodnight, tony will be always voting against it.
so they implemented 2 new guys into the governing Body, to overthrow Tony and vote him himself out. i bet they needed to get rid of him to make certain changes he didnt accepted. it all sums up if you think about it. the timing of two new members only to kick tony out in the very next meeting is not by chance. it was all planned long before.
토니를 쫓아낸 데는 큰 이유가 있을 거야
모든 사람이 필요하다면 토니는 항상 반대표를 던질 겁니다.
그래서 그들은 토니를 전복시키고 토니를 직접 투표로 쫓아 내기 위해 두 명의 새로운 사람을 통치 체에 도입했습니다. 그가 받아들이지 않은 특정 변화를 만들기 위해 그를 제거해야했을 것입니다. 생각해 보면 모든 것이 요약됩니다. 바로 다음 회의에서 두 명의 새로운 회원이 토니를 쫓아내는 타이밍은 우연이 아닙니다. 모든 것이 오래 전에 계획된 것이 아닙니다.
level 1
Unanimity is considered evidence of Holy Spirit so they want that. Isn’t required.
만장일치는 성령의 증거로 간주되므로 그들은 그것을 원합니다. 필수는 아닙니다.
------------------------------------------
잠정적 결론: 처음 답변들(아래 쪽에 있는 댓글들)은 개인적 생각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 가장 나중에 답변한 댓글들(위쪽에 있는 댓글들)이 진정성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니까 어떤 교리적 문제를 변경시킬 때, 2/3 이상의 의결 정족수의 찬성을 필요로 하면 되는데, 일단 통과되면, 만장일치로 통과된 것으로 발표를 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