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남저수지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두량리
두남지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관리 144
두량저수지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두량리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예상리 산58-3
두럭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舊左邑) 월정리 또는 김녕리(金寧里)-바다 속의 산으로 제주 5대산 중 하나
두레로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부곡동 696 ↔ 부곡동 681, 총거리 약 1.231km
두력도(斗力島, 이칭 : 두레기섬)
전라남도 여수시 웅천동에 속해 있는 무인도. 섬지명 유래는 섬이 둥글다하여 원섬, 두레기섬으로 불렸으며 두레기를 두력도로 표기하였다 함.
여수 가막만(灣)에 있는 무인도로, 웅천동 송현마을에서 남서쪽 해상으로 정도 약 0.75㎞ 떨어진 지점에 있다. 면적 0.0097㎢, 섬 둘레 해안선 길이는 0.55㎞, 최고점의 해발고도 20m이다. 지번은 웅천동 산268-1이다.
지질은 대부분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안 주변에는 간석지가 발달해 있다. 토양은 기반암이 풍화된 암쇄토와 신생대 제4기 과거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서 만들어진 적색토가 넓게 분포한다.
주요 식생은 동백나무 등 상록 활엽수림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기후는 대체로 온화하고 비가 많이 내린다.
현재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로서 주변에 가덕도(加德島)라는 무인도가 있다. 장도(獐島)라는 섬도 근처에 있었으나 이 섬은 율촌 제1산업단지 매립공사로 육지가 되었다.
교통은 중앙동 도선장[중앙파출소 옆]에서 뱃길로 9㎞ 거리의 약 20분 거리에 있으며, 국동 일정조선소 앞에서 4㎞ 거리에 있다. 운항 시간은 15분 정도 걸린다.
인문사회환경
• 용도 구분 : 자연녹지지역
• 지목 : 임야 · 대
• 지자체 개발 계획 :
- 고흥 조선타운 조성사업 대상지역(’08~’13, 5,257억원, 민자)
- 조선소 및 조선기자재 업체, 배후단지 조성
• 시설물 · 이용현황 : 폐가옥
• 영해기점 무인도서 : 해당사항 없음
• 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 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 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 역사적 가치 : 둥글다는 뜻의 두레기를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여 두력도
• 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주변해역을 마을어업, 정치어업(소대망) 및 패류양식(홍합 등)에 이용
• 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환경보전해역(해양환경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 지형 · 지질 : 구성암질은 백악기 안산암질 응회암, 남북방향 타원형으로 해발고도 20.8m, 북서해안에 자갈해빈이 분포, 주로 암반해빈, 남측해빈에는 염풍화혈
• 주요 육상동물 : 포유류 흑염소 1종 관찰
• 주요 해양동물 : 해양무척추동물은 연체동물 10종, 절지동물(갑각류) 6종 등 총 16종 확인. 해조류는 갈조류2종, 홍조류 1종 등 총 3종 확인
• 주요 조류 · 곤충 : 조류는 총 4종 관찰. 곤충은 총 18종 관찰. 환경부 고유종으로 참어리삽사리, 깜둥이창 나방이 관찰
• 주요 식생 · 식물 : 총 31과에 49종류(43종 및 6변종)가 확인. 상록성 및 남부 지방 특산종은 총 3종. 귀화종 4종, 식재종 1종. 식생은 좁은 면적에 비해 매우 복잡
• 주변 해역(해중) 경관 : 두력도는 가막만 최북단에 위치
두력도
전라남도 여수시 경호동 산233 (북위 34° 41' 13"N, 동경 127° 42' 35"E)
면적 9,715㎡
인문사회환경
• 용도 구분 : 자연녹지지역
• 지목 : 임야
• 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 시설물 · 이용현황 : 없음
• 영해기점 무인도서 : 해당사항 없음
• 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 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 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 역사적 가치 : 부도와 함께 장고처럼 생겼다고 하여장고섬이라 불림
• 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주변해역을 어류등양식, 마을어업 및 패류양식(굴, 가리비, 피조개)어업으로 이용
• 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특별관리해역(해양환경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 지형 · 지질 : *구성암질은 백악기 응회암이며,남북으로 긴타원형으로 해발고도 15m전후의 평탄한 지형, 해안은 주로 암반으로 구성, 해안침식이 매우 심함
• 주요 육상동물 : *확인되지 않음.
• 주요 해양동물 : *해양무척추동물은 연체동물 6종, 절지동물(갑각류) 1종 등 총 7종 관찰.해조류는 관찰되지 않음
• 주요 조류 · 곤충 : *조류는 황새목의 3종 관찰.곤충은 총 14종 관찰. 환경부 지정 고유종으로 산바퀴, 특정종으로 칠성무당벌레 관찰
• 주요 식생 · 식물 : *총32과에 73종류(62종 및 11변종)가 확인. 상록성(호자나무, 사철나무 등) 및 남부 지방 특산종(번행초, 예덕나무 등)은 총 6종. 식생은 곰솔군락과 망토군락
• 주변 해역(해중) 경관
*부서도는 초도 남측, 소죽도 우측에 위치하며 부도와 간조시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