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양구경시장 마늘요리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팝스월드 단양
다양한 마늘 먹을거리로 각광받는 단양구경시장
‘팔경’은 소셜미디어(SNS)가 활발하기 전에는 여행의 출발점이었다. 어디를 가야 할지 모를 때는 마법의 해시
태그였다고 할까. 단양팔경은 고유명사로 여겨질 만큼 전국의 팔경 가운데 손꼽는다. ‘제2단양팔경’까지 있는걸 보면 단양의 자부심을 알 만하다.
삼봉로와 접하는 단양구경시장 서쪽 삼봉문 출입구
단양은 여기에 더해 ‘구경’이 있다. 단양구경시장은 단양 8경에 더한 1경이라 해 구경이다. 시장 구경이라는 중의적 의미도 있다. 약 120개 매장이 모여 이뤄진 상설 재래시장으로 단양전통시장이 전신이다. 충주댐 건설 때 지금의 자리에 옮겨왔다. 요즘 들어서는 ‘먹방 여행’을 선호하는 젊은 여행객이 붐빈다. 단양팔경 못지않게 인기다.
단양구경시장은 ''마늘 시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양구경시장의 변신은 지난 2010년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에서 출발한다. 지역민을 위한 시장으로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관광객들에게 주목했다. 이때 등장한 게 다른 음식과 어울려 최고의 맛을 뽑아내는 향신료인
마늘이다.
토종 한지형 마늘로 저장성이 좋은 단양 육쪽마늘
단양팔경은 대부분이 석회암 지질이 빚은 풍경이다. 그 석회 지역의 약산성 토양과 산지마을의 큰 일교차가 단양마늘을 키웠다. 단양마늘은 보통 예닐곱 쪽으로 이뤄졌다 해 ‘육쪽마늘’이라 불린다. 남도마늘에 비해 알은 조금 작은 편이지만 단단하고 맛과 향이 뛰어나다.
단양흑마늘빵의 통마늘 모양 마늘빵
단양구경시장은 달콤하고 알싸한 마늘 양념이 혀끝을 자극해 미감의 천국으로 안내한다. 남한강 변의 단양구경
시장 공영무료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시장 동쪽 도담문으로 접어들면 생마늘이 보이지 않아도 마늘의 시장임을
실감한다. 그도 그럴 것이 간판마다 마늘이 접두어처럼 붙어 있다. 마늘순대, 마늘만두, 마늘빵, 마늘갈비 등이다.
바삭한 누룽지가 들어가는 흑마늘누룽지닭강정
시장 안내도 한 장을 사진으로 담고 시장 맛집을 향해 진격한다. 먼저 맛볼 음식은 오늘의 단양구경시장을 만든 일등공신 치킨! 단양구경시장 양념치킨은 고추가 아닌 마늘의 향미가 매력인 흑마늘 닭강정이다.
시장 안에는 원조 흑마늘 닭강정 맛집을 비롯해 여러 곳의 치킨집이 줄을 잇는데, 마늘을 활용한 각자의 개성으로 승부한다. 양념을 흑마늘과 마늘로 구분하거나 맵기 강도를 조절하고 통마늘이나 바삭한 누룽지가 더해져 씹는 식감을 더하기도 한다.
단양구경시장에 활력을 더하는 젊은 상인들
단빵제빵소의 크림치즈, 바게트 마늘빵
마늘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또 하나의 젊은 간식이 마늘빵이다. 시장을 구경하다 보면 홀린 듯 마늘버터 향을 따라가게 되는데 그럴 수밖에 없다. 매대 앞 오븐에서 곧장 구워 파니 군침이 꼴딱꼴딱 넘어간다. 크림치즈 마늘빵,
마늘 크루아상, 바질 마늘빵 등 이 또한 종류와 가게별로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 그 밖에 흑마늘 반죽으로 빚은
통마늘 모양 흑마늘빵이나 흑마늘이 소금빵을 만난 흑마늘소금빵 등도 새로운 맛의 경험이다.
여러 종류의 마늘만두를 파는 단양마늘만두
재미난 콘셉트를 가진 원시인마늘떡갈비
직접 만든 마늘기름을 사용한 마늘만두, 단양의 선사시대 수양개 유적에 착안한 원시인 콘셉트의 마늘떡갈비 등도 그냥 지나치면 섭섭한 구경시장의 간식이다. 마늘만두는 찹쌀피로 만들어 쫄깃한 식감이 일품이고 마늘떡갈비는 2층에 동굴을 재현해 흥미를 돋운다.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 나온 대산원조마늘순대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마늘순대국과 마늘순대가 백종원, 허영만 등 미식의 달인들을 내세워 여행객을 부른다.
순대 안에 마늘이 들어가 향이 좋고 잡내가 없는 게 장점이다. 각자의 식성에 따라 마늘부각, 마늘아이스크림 등 덜 알려진 숨은 맛집을 찾는 것도 특별한 재미다.
시식용 음식의 크기부터 남다른 단양구경시장
맛보기 수준을 넘어서는 큼지막한 시식 음식 또한 넉넉한 시장 인심을 느끼게 한다. 일부 맛집은 주말에는 줄 서는 건 기본. 그저 위가 하나이고 점점 배가 불러오는 게 아쉬울 따름이다.
단양 여행의 첫 끼 또는 식후 간식, 숙소로 들어가기 전 ‘야식’으로 종목을 구분해 시장 구경 계획을 짜는 것도
방법이다. 일부 가게는 주말에만 문을 열기도 한다.
겨울 산과 강의 비경을 자랑하는 만천하스카이워크 전망대
새롭게 단양팔경을 꼽는다면 1경의 후보로는 단연 만천하스카이워크가 언급되지 않을까? 만천하스카이워크는 2017년 개장 후 ‘한국관광100선’에 꾸준하게 이름을 올리며 충북 대표 관광지로 성장했다. 만천학봉 위에 세워진 높이 25m의 전망대는 단양 전경을 한눈에 아우른다. 전망대는 정상에서 세 갈래의 스카이워크가 있는데 투명바닥이라 까마득한 발아래가 고스란히 내려다보인다. 맑은 날에는 사방으로 시야가 막힘없이 열리고 거대한 얼음판으로 변신한 남한강과 소백산 연화봉의 설경이 감탄을 자아낸다. 햇살이 서쪽으로 넘어가는 오후가 덜 눈부시고 풍경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시간이다.
단양강 잔도와 남한강의 겨울 풍경
만천하스카이워크에서 바라보던 남한강의 겨울을 곁에 두고 걷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다. 만천하스카이워크 입구에서 곧장 단양강 잔도가 이어진다. 강변 암벽에 기대 자리한 1.12km의 잔도는 남한강의 꽁꽁 언 얼음과 갈라짐이 눈에 선명하다. 추위를 못 견뎌 얼어붙은 강물은 마치 시간이 정지한 물결 같다.
그런데도 강의 푸름은 한결같고 거대한 빙판은 여전한 위용을 뽐낸다. 겨울 잔도는 소리 여행도 겸한다. 언 강물이 팽창하며 내는 전자음 같은 ‘얼음 울음’은 겨울이 지나면 들을 수 없는 소리이기도 하다.
세대를 초월한 가족 놀이터 팝스월드 단양
운동장 또한 미디어아트 놀이터가 되는 팝스월드 단양
겨울 실내 여행지로는 팝스월드 단양이 새롭다. 미디어아트를 체험할 수 있는 시설로 옛 금곡분교 부지에 위치한다. 실내는 옛 교실이던 공간을 웰컴룸, AI아트룸, 센터홀 등으로 꾸몄다. 상호작용에 기반을 둔 미디어 월을 이용해 여럿이 춤을 추거나 게임을 하고 스크린에 그림을 그리는 등의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운동장 가장자리에 컨테이너로 이뤄진 구담별당, 용구별당, 갤러리XR 등은 작품 감상과 포토존 역할을 한다. 야간에는 학교 건물의 외관과 운동장 등을 미디어아트가 물들여 이색적인 즐거움을 제공한다.
〈당일 여행 코스〉
단양구경시장→만천하스카이워크→단양강 잔도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단양구경시장→고수동굴→팝스월드 단양
둘째 날 / 만천하스카이워크→단양강 잔도→도담삼봉
여행정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단양관광
- 단양구경시장
- 만천하스카이워크
- 팝스월드 단양
○ 운영정보
[만천하스카이워크]
- 운영시간 : 동절기 09:00 ~ 17:00, 하절기 09:00 ~ 18:00 (발권은 마감 한시간 전)
- 휴무 : 탑승시설은 매주 화요일
- 요금 : 성인 4,000원, 청소년/어린이 3,000원, 미취학아동 무료
[팝스월드]
- 운영시간
동절기(11월~3월) 13:00~22:00(평일), 11:00~22:00(주말/공휴일)
하절기(4월~10월) 13:00~22:30(평일), 11:00~22:30(주말/공휴일)
- 휴무 : 연중무휴
- 요금
대인권(만19세 이상) 주간권, 야간권 9,000원
소인권(36개월~만18세) 주간권 6,700원, 야간권 7,200원
○ 문의 전화
- 단양구경시장 043)422-1706
- 단양군 관광과 043)420-2906
- 만천하스카이워크 043)421-0014~5
- 팝스월드 단양 043)421-9990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단양,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6~9회(07:00∼18:00) 운행, 약 2시간 30분 소요. 단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도보 385m
* 문의 :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시외버스통합예매시스템
[기차] 청량리역-단양역, KTX 6회(05:45~18:54) 운행, 약 1시간 20소요. 단양역앞 정류장에서 402, 517, 521, 523, 538, 931번 버스 등 이용 도전2리(구경시장입구) 정류장 하차 150m 이동
* 문의 : 레츠코레일 1544-7788 , 단양버스 043)422-2866
○ 자가운전 정보
중앙고속도로 북단양IC→적성로→단양로→삼봉로→중앙2로→수변로→단양구경시장
○ 숙박 정보
- 소노문 단양 : 단양읍 삼봉로, 1588-4888
- 단촌서원고택 : 단성면 북상하리길, 010-7230-5415
- 단양관광호텔 : 단양읍 삼봉로, 043)423-7070
○ 식당 정보
- 장다리식당 : 장다리마늘정식, 단양읍 삼봉로, 043)423-3960
- 비원쏘가리매운탕 : 쏘가리매운탕, 단양읍 삼봉로, 043)421-6000
- 마늘석갈비막국수 : 마늘석갈비, 단양읍 단양로, 043)423-7575062)266-8187
○ 주변 볼거리
- 석문
- 온달관광지
※ 위 정보는 2025년 2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글 : 박상준 (여행작가)
사진 : 박상준 (사진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