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K TV 가격이 많이 현실화 되고 있다. 3년 전 최초로 Mini LED TV를 출시하였던 중국 TCL이, 미국시장에서 65"/75" 8K Mini-LED QLED TV를 $2,199(250만원)과 $2,999(340만원)에 출시하여, 8K TV 대중화에 불을 지피고 있다. 이번 TCL의 65"/75" 8K Mini-LED QLED TV 가격은, 삼성-LG 8K Mini LED QLED TV 가격의 절반 밖에 안되어, 향후 8K TV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TCL의 65"/75" 8K Mini-LED QLED TV 가격은, 65" 4K OLED TV랑 비슷한 가격이고, 75" 8K Mini-LED QLED TV는 77" 4K OLED TV보다 40~50%저렴한 가격이다. 또한 중국 창홍은, 중국 내수용으로 75" 8K LCD(LED) TV를 160만원대에 2020년부터 판매하고 있어, 77" 4K OLED TV의 1/3 가격밖에 안 된다.
4K OLED TV의 화질이 아무리 우수하다고 해도, 8K 영상은 구현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록 저렴한 8K LCD TV라 해도, 4K OLED TV보다는 우수한 화질을 제공한다. 또한 HDMI 2.1의 성능은 물론, TV의 성능과 스마트TV의 기능, 디자인, 편리성, 안정성에서도 삼성-LG 8K TV랑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다. 단점이라면, 직구로 들여와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AS가 안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저렴한 8K TV가 있다고 해도, 그에 걸 맞는 콘텐츠가 없다면, 온전한 8K TV 화질은 느끼기 힘들 것이다. 현재 유튜브를 통해 서비스되는 각종 8K 콘텐츠는 풍족하지는 않지만, 아쉬운 대로 볼만한 것들이 많다. KBS, MBC, SBS등은 이미 뮤직이나 예능 프로그램을 8K 유튜브로 제공하고 있고, 포털 업체들은 웹드라마를 8K로 제작 서비스하고 있다.
운영자는 창홍 8K TV를 2020년 6월에 구입하여, 1년 조금넘께 사용을 하고 있다. 화질이나 성능, 안정성, 심지어 디자인이나 편의성에서도 삼성-LG 8K TV랑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이렇게 구입한 8K TV를, 운영자는 갤럭시S21로 촬영한 8K 동영상과 사진을 8K TV로 감상을 하고 있기도 하다.
이번 여름휴가(8월 1일~5일/제주도) 기간 동안 가족과 함께한 여행을 갤럭시S21로 8K로 촬영하고, 수백컷의 사진을 담아왔다. 다만, 갤럭시S21이 연속 5분이상 촬영이 쉽지 않아, 잠시 쉬었다 촬영하는 불편과 8K 동영상 용량이 많아, 하루에 한번씩은 촬영한 8K 영상과 사진을 저녁에 숙소로 돌아와 노트북으로 옮겨 정리를 하였다.
다행히 숙소(호델)엔 LG 65" 4K LCD(LED) TV가 설치되어 있어서, 8K 동영상과 사진들을 정리하는데 더없이 좋았다. 그렇게 5일간 정리한 8K 영상과 사진을 집에 돌아와서 창홍 8K TV로 다시 보니, 4K TV로 보던 것과는 또 다른 느낌과 또 다른 화질에 만족감을 느꼈다. 특히 사진은 4K TV로 보던 것과는 현실감이 다르게 느껴졌다. 참고로 갤럭시S21 8K 촬영은, 24fps밖에 되지 않아, 아주 천천히 촬영을 해야 떨림이 덜하다.
어찌되었든 운영자는 이를 위해 지난 7월초에 레노버 씽크패드 E15 ITL 20TDS00V00(G마켓 799,000원) 노트북을 구입하였다. 그리고 8K TV랑 연동하기 위해 USB4(USB-C) to HDMI 2.1 변환 아답터(Eddy Lab/5만원)를 Test용으로 받아, 8K TV랑 8K/60Hz, 8bit/RGB(SDR)로 연동할 수 있게 하였다.
물론 운영자는 집에서는 4년전 구입한 PC에 2020년 9월에 출시한 NVIDIA GeForce RTX 3090을 구입하였다가 얼마전 정리를 하고, RTX 3060 그래픽카드를 70만원에 구입하여, 각종 8K 동영상이나, 사진을 감상하고 있다.
▶PC를 이용한 8K/60Hz 연동 방법
구분 | 제품군 | 그래픽카드(GPU) | I/F | 지원화질 | 가격 | 특장점 |
8K 코덱 가속 기능 O | 데스크톱 PC1 | ①NVIDIA GeForceRTX 30xx시리즈 7종 | HDMI 2.1 (48Gbps) | 8K/60Hz, 12bit/RGB YCbCr444 | *PC신규 구입 200만원 내외 *기존 PC사용 60만원~ | 8K 동영상 재생엔 최적이지만, 과도한 소비전력(300W~)과 소음이 문제다. |
②AMD Radeon RX6xxx시리즈 3종 | HDMI 2.1 (40Gbps) |
노트북 PC2 | ③NVIDIA RTX 3080/3070/3060 모바일 | HDMI 2.1 지원모델 (48Gbps) | 8K/60Hz, 12bit/RGB YCbCr444 | 신규 구입 150만원 내외 | 8K 동영상 재생에 나름 적절하지만, 다소 고가에 다소 높은 소비전력(150W~)과 발열이 문제다. |
④AMD Radeon RX6800M/6700M/6600M | HDMI 2.1 지원모델 (40Gbps) |
8K 코덱 가속 기능 X | ⑤인텔 11세대(i5-/타이거레이크) CPU+Iris Xe GPU+USB4(USB-C) to HDMI 2.1 Converter | USB4 /USB-C (40Gbps) | 8K/60Hz, 8bit/RGB | 신규 구입 90~150만원 | 8K 동영상 재생엔 다소 부족함은 있지만, 저렴한 가격과 저소음, 저발열, 저 소비전력(50W이내)이 장점이다. |
올인원 & Mini PC4 | 8K/60Hz, 10bit/RGB |
데스크톱 PC3 | ⑥DisplayPort 1.4 DSC 지원 구형 그래픽카드 +DP 1.4 DSC to HDMI 2.1 Converter | DP 1.4 32.4Gbps x3 DSC (97.2Gbps) | 8K/60Hz, 12bit/RGB | 기존 PC사용 +컨버터 구입 6만원 내외 | 8K 동영상 재생엔 다소 부족함은 있지만, 가장 저렴하게 8K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
☞PC→8K TV 연동 방법 1)PC1/2 : HDMI 2.1 출력을 8K TV에 직접 연결 2)PC3 : DisplayPort 1.4 DSC지원 구형 그래픽카드+DP 1.4 DSC to HDMI 2.1 Converter(Adaptor) 3)PC 4 : 인텔 11세대 CPU(타이거레이크)+Iris Xe 내장 그래픽+USB4(USB-C) to HDMI 2.1 Converter(Adaptor) |
※USB4(DisplayPort) 신호를 HDMI 신호로 바꾸어(변환)주는 것을 젠더(Gender/성을 바꾸다)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제품을 나타내는 의미이서는 Gender(잰더)대신 Adaptor(어댑터)로 부르는 것이 맞지만, 전기적 의미에서는 Adaptor(Adapter)보다는, Converter(컨버터)가 좀더 정확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