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 대신 ‘설’이라 불러야 한다.
설의 유래와 역사-위키 백과사전
한국의 설날은 서기 488년 신라 비처왕 시절 설날을 쇠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이 있으며, 이후 고려와 조선까지 이어졌다.
을미개혁으로 양력이 도입되면서 1896년부터 공식적인 새해 첫날의 기능은 양력설에 내주었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조선문화 말살 정책을 편 일제(日帝)는 조선의 음력설을 없애기 위해 조선인들이 음력설에 세배를 다니거나 설빔을 차려입은 경우에는 먹물을 뿌려 옷을 얼룩지게 하고 떡 방앗간을 돌리지 못하게 경찰을 동원해 감시하는 등 온갖 탄압과 박해를 가하였으나, 음력설을 쇠는 풍습을 없애지는 못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도 40여년간 음력설은 명절로서 대접받지 못하고 양력 1월 1일부터 1월 3일까지를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특히, 이승만 정부와 박정희 정부는 이중과세(二重過歲)라는 이유로 사기업체의 휴무에 불이익을 주면서까지 음력설을 없애려 하였고, 양력설에 차례를 지낼 것을 권장하여 서울 등 대도시의 일부 가정에서는 양력설을 쇠는 풍토가 생겨났다.
그러나, 대부분 가정에서는 여전히 음력설에 차례를 지내는 전통을 유지했기 때문에 음력설도 공휴일로 지정하여 이러한 전통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정부는 1985년부터 1988년까지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음력 1월 1일 하루를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6월 항쟁 이후 집권한 노태우 정부는 민족 고유의 설날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여론을 받아들여 1989년에 음력설을 '설날'로 하고, 섣달 그믐(음력 12월 말일)부터 음력 1월 2일까지 3일 간을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아직도 이곳 저곳 방문하다 보면 구정이라는 말이 오가고 있습니다. 며칠 전에서 모방송 아나운서가 구정이라 해 종일 기분이 상했습니다.
위의 글을 참고하여 설이라 불렀으면 좋겠습니다.
---------------------------------------------------------------------
설, 얼마나 정겨운 말입니까?
못 살던 시절 모처럼 좋은 옷을 입거나 맛난 음식 먹어서 그런 것만은 아닐 것입니다.
어딘지 모르게 포근한 어머니의 품 안에 안긴 것 같고 오래 고향을 떠났다 돌아온 기분이 이는 것은 저만의 생각이 아닐 것입니다.
설 무렵에는 우리의 DNA에 숨어 있던 민족의 아름다운 정서가 되살아나는 것 같습니다.
설은 우리 고유명절이자 최대명절입니다.
그러나 한동안 심한 푸대접을 받아서인지 아직도 구정이라는 표현이 심심찮게 나돌아 가슴 아픕니다.
설(기록상 488 신라 때부터)-음력설(1896)-구정(1945)-민속의 날(1985)-설(1989년)로 변천했습니다.
따라서 당연히 떳떳하게 설이라 불러야 당당하지 않을까요?
우리 모두 구정 대신 설이라 부릅시다
첫댓글 설~~♡
정다운 우리명절..
간 만에 들어왔네
설 명절 잘보내고
건강하고 복많이
받으세요
지당하신 말씀에 공감합니다.
신정 구정은 역사적 아픈 과거가 만든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설은 우리 민족의 고유 명절이라 잘못된 것은 바로 잡아야 합니다.
설을 앞두고 다들 바쁘시겠네여~~
행복하고 웃으며 지내는 명절 보내세여~~^^
외국 여행 떠났나 했네요.
설.명절 즐겁게 보내고
안전기원제서. 만나길 희망합니다.
올바른 말 구정이
아니고 설날이 맞아요.
우리의 고유의명절
설날 즐겁게 보내시고
한파특보가 밀려온
다는데 감기 조심하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