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까페에 좋은 일이 많네요.
무엇보다 작품 출간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이번에 까페 회원인 추리소설가 김유철님의 '제15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장작 <사라다 햄버튼의 겨울>이 출간되었습니다.
모두모두 서점으로 달려주세요!
(이거 상금도 많다는데, 강남에 아파트 한 채 계약하고, 에쿠스 한 대 빼고, 남은 돈으로 술 한잔 사시우-!!)

제15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김유철 장편소설 『사라다 햄버튼의 겨울』
김영하, 조경란, 박현욱, 박민규, 정한아, 장은진…… 매번 문단에 활력을 불어넣는 다양한 개성을 발굴해온 문학동네작가상이 열다섯번째 수상작으로 『사라다 햄버튼의 겨울』을 선보인다. 그저 산책하듯 살아가는 이 시대 젊은이의 일상을 담백하고 자연스러운 서술로 따라가는 이 소설은, 길 잃은 고양이와 보낸 한 철을 소소하고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 단단하지만 뭉클한 느낌을 주는 작가의 시선은 또 한 명의 믿음직한 신인을 발견했음을 확신케 한다.
희망 없는 일상, 무료한 한 계절에 대한 새로운 명명법!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함께 살던 여자친구 s마저 떠나간 뒤 완벽히 혼자가 된 ‘나’. 다니던 직장까지 그만두고 집에만 틀어박혀 있던 어느 날 아파트 베란다로 찾아든 고양이 한 마리. 마치 제집인 양 익숙하게 거실과 베란다를 오가는 모습답게 그 고양이는 자연스럽게 ‘나’와 동거를 시작한다. 바로 ‘사라다 햄버튼’이다. 울버햄튼의 축구경기를 보던 중 거실을 기웃거리는 녀석에게 별 생각 없이 샐러드를 주었더니 남김없이 먹어치웠던 것. 문득 고양이에게 이름을 지어주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떠오른 두 단어가 바로 ‘샐러드’와 ‘햄튼’이다. 이 두 단어가 ‘사라다 햄버튼’이 된 건 순전히 샐러드보다는 사라다가, 햄튼보다는 햄버튼이 더 발음하기 쉬워서였다. 그런데 ‘사라다 햄버튼’은 마치 이곳을 예전부터 잘 알고 있었던 게 아닐까 의심될 정도로 ‘나’의 공간에 자연스럽게 섞여 있다. 혹 얼마 전 헤어진 여자친구 s가 이 녀석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닐까?
“누군가 네 인생을 들여다본다면, 그리고 그 사람이 너를 사랑한다면,
그 누구라도 너를 생각하는 그 순간만큼은 마음이 따뜻해질 거야.”
유일한 가족이었던 엄마도, 함께 살던 여자친구 s도 떠나가고 난 뒤 ‘나’에게 찾아온 한 마리의 고양이 ‘사라다 햄버튼’. ‘샐러드’라는 표준어를 버리고 자기만의 명명법으로 새롭게 만들어낸 이 이름은 세상이 정해놓은 기준으로부터 조금쯤 비켜선 곳에 있다. 한 루저의 이야기로 읽힐 수도 있을 이 소설은 그러나 자기만의 룰로 의미도, 희망도 없어 보이는 일상을 담담하게 서술한다.
천천히 작용하는 소설들이 있다. 며칠 혹은 몇 주 후에, 불현듯 소설에 등장하는 문장이나 광경을 떠올리게 되는 소설들. 『사라다 햄버튼의 겨울』은 그런 소설이었다. _이영훈(소설가)
사라다 햄버튼을 가족으로 받아들일 때쯤 동거인이 또 한 명 늘어나게 되는데, 바로 어머니와 이혼한 뒤 캐나다로 떠났던 새아버지이다. 돌아가시기 전까지도 친아버지에 대해선 함구했던 어머니. 엄마는 왜 새아버지와 이혼했는지, 왜 친아버지의 존재를 감춰왔는지, ‘나’는 결코 이해하지 못한다. 이유도 말해주지 않고 홀연히 떠나버린 여자친구 s와의 이별 또한 마찬가지이다. 단지 남아 있는 기억을 떠올리며 생각하고 또 생각할밖에, 도리가 없다. 이 소설은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그들의 선택을 원망하지 않고 그 자체로 받아들이기, 누군가와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이 지점에서부터 시작되는 일인지도 모른다고. 누군가를 이해하기 위한 시도는 그 사람이 온전히 사라지고 난 이후에야 가능하다는 것을, 또 우리는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말이다.
저자 김유철
1971년 부산에서 태어나 2009년 부산일보 신춘문예에 중편소설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장편소설 『사라다 햄버튼의 겨울』로 제15회 문학동네작가상을 수상했다.
첫댓글 인터넷서점 미리보기에서 30쪽까지 읽어봤는데 꽤 재밌군요. 제가 읽어본 김유철 님 소설 중에서 제일 매력적인 듯. 추리소설이 아니라는 것이 미덥긴 합니다만 그래도 구매신청은 했습니다...^^;
축하축하!! 제목에 그런 연유가 있었군요~ 저도 구매신청. 잘 읽을게요.
고맙습니다. 정선배, 류선배, 그리고 한이와 혁곤선배도요... 추리소설이 아니라서 저도 살짝 죄송... 하지만 소설 속에 추리소설가 겸 고양이탐정이 나오긴 합니다. 주인공도 추리소설을 즐겨읽는 인물로 나오고...
나도 사서 읽어봐야겠군. 재미있을 듯...
그런데 고양이가 사라다를 먹긴 먹던가? 고양이 키운 지가 너무 오래되어 가물가물... 물론 당시에는 셀러드 같은 게 있지도 않았지만.전에 시골에서 개는 밥을 주면, 개밥의 도토리라는 말이 정말 실감나게, 다른 것은 그릇까지 핥아서 싹싹 먹는데 나중에 보면 밥그릇에 덜렁 혀로 핥은 깨끗한 깍두기, 김치 등 식물성만 남아있어서... 시골에서 개는 국에 만 잡탕밥을 주는 반면 고양이는 개와 달리 맨밥을 주는데, 생선 국물을 조금 뿌려주면 잘 먹었는데... 고양이가 밥도 먹긴하지만 태생이 육식성이라서 야채셀러드의 야채는 안 먹을 것 같고 고기셀러드나 야채셀러드의 소스 부분은 먹을 듯.
그런데 이 소설 소개만 봐도 설정에서 자전소설적인 분위기가 좀 나는데...^^ 자신의 이야기가 들어간 글을 쓰려면 쑥쓰러운 면이 있어 용기가 필요하고... 글을 쓰려면 자신의 생각이나 생활이 반영되지 않을 수 없겠지만...
또 속도감 있고 재미를 추구하는 추리소설가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잘 안 쓰는 반면 느린 글을 쓰는 사람들, 감성적인 소설을 쓰는 사람들은 자신의 이야기가 많이 가미된 글을 쓰는 것 같던데...
언제 막걸리 한잔 마셔가며 작품 이야기좀 해보자구... 협회 야유회 때 참석하는 것도 좋을 듯...
네. 알겠습니다... 물론 자전적인 부분이 좀 있는데... 하루키 냄새가 난다고 하네요. 제 라이프스타일은 양촌리스탈인데요. 크크.
잘 읽었습니다. 나온 그날 너무 기쁜 마음으로 샀습니다. 정말 자전적 냄새도 나더군요, 말씀대로 하루키 냄새도 나고요. 어랏, 온통 냄새 얘기였네요. ㅎ 표지에 있는 얼굴과 유철 선배 얼굴이 자꾸 겹치는 바람에 웃음이 났어요. 왼손으로 기타를 치는 그림이라... 사라다 햄버튼이랑 표지 고양이랑 좀 달라보이기도 하고... '햄버튼의 겨울'이 햄버튼으로 보자면 이제 시작되는 거라... 음... 이런 생각이 많아졌네요. 하하!!
축하해요~! 구매해서 읽어볼게요~1
축하드립니다. 곧바로 사서 읽어볼게요. 나중에 사인해 주세요ㅡ
오늘 (23) 동아일보에 기사 났더군요. ^^ 오랫동안 고생했으니 좋은 글 많이 쓰시길-!!
표지 넘 잘 나온 것 같아. 맥주는 언제 살껴^^
후배들도 정말 고마워... 초이 선배, 그건 한이가 알아서 할거에요. 그렇지 한이?
그럼 일단 강남에 있는 루~움으로다가 잡아 놓겠습니다. ㅎㅎ 루~~~움!!
루~~~움에 막걸리 한 짝 들여놔줘! 루~~~움에서 막걸리 마셔본 지 오래되었다.
강남에 여관방 잡고 막걸리파티나 열어볼까요? 걍, 새벽까지 달리게... 크크크.
루~~~~~~~~~~~움
루~~~~~~~~~~~움
축하드립니다. 저도 꼭 읽어보겠습니다.
오올~ 축하합니다.^^
축하드립니다.^^ 요즘 저도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부분들에 대해 많은 생각들을 하고 있습니다.
20대에 그리 바쁘고 정신없이 생활하다가, 30대가 된 지금 돌아보면 나의 인간관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데 닉네임 "가랑"이 요즘 "성균관 스캔들"의 이선준 역의 호인 "가랑"과 동일한 것인가요?^^
제목이 무척 끌립니다. 축하드립니다.^^
얼룩끈님, 울짱님, 태양님, 킬러리님, 미세스나이트님 모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태양님 아마 맞을 겁니다. 순우리말이죠. 뜻이 좋아서 10년 넘게 쓰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