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바우시장 팥죽
국립5·18민주묘지
국립광주박물관
광주시립미술관
오늘날까지도 시골장 형태로 장이 서는 말바우시장
새해의 활기를 채울 수 있는 여행 장소로 어디가 좋을까? 떠오르는 일출의 열정을 느낄 수 있는 곳, 새벽 어스름을 거두며 이르게 하루를 시작하는 곳, 사람 사는 냄새 물씬 풍기는 곳, 먹고 사는 삶터의 풍경을 직관할 수 있는 곳, 언제든지 부담 없이 찾아갈 수 있는 곳, 전통시장이 어떨까? 오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전국의 전통시장 중
서민의 향수가 진하게 전해지는 광주광역시의 말바우시장을 추천한다.
말바우시장은 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에 자리한 전통시장이다.
말바우시장은 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에 자리한 전통시장이다. 1960년대 무렵, 북구 풍향동 서방시장(당시 광산군 서방면)의 노점상들이 점점 오르는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우산동으로 이주하면서 형성됐다.
손님들은 인근의 담양, 곡성, 화순 등지의 주민들이 생산한 농·축산물과 장흥, 신안, 목포 등지의 주민들이 채취한 해·수산물을 사고팔기 위해 찾아온다.
말과 관련된 이야기가 구전되는 말바우시장
말바우시장이라는 독특한 지명의 유래에는 두 가지 이야기가 구전된다. 첫 번째는 임진왜란 시기에 활약한 광주 출신 의병장 김덕령 장군이 무등산에서 출발한 천리마를 타고 도착한 곳이라는 설이다. 말이 어찌나 힘차게 발굽을 내디뎠던지 바위가 말발굽 모양으로 패였다고 해서 말바위(말바우)라고 불렸다는 이야기다. 두 번째는 도시
개발로 우산동이 확장되기 이전에 시장 자리에 말처럼 생긴 커다란 바위가 있었다는 설이다.
말바우시장 팥죽. 겨울철 전통 간식이다.
말바우시장에는 무려 500여 개의 점포가 들어서 있다. 골목 사이사이에 오랜 맛집이 숨어있어 식도락 여행을 온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데, 그중 가장 첫손에 꼽히는 메뉴가 전라도식 국밥과 더불어 팥죽이다. 말바우시장에는 현재 3개의 팥죽 전문점이 있으며 모두 운영한 지 20년을 족히 넘을 만큼 내공을 자랑한다.
국내산 팥과 손수 빚은 새알심으로 만든다.
말바우시장에 팥죽을 전문으로 하는 가게들은 도보로 5분도 걸리지 않을 만큼 가까운 곳에 있다. 먼저 정성주·
공남 부부가 운영하는 ‘매○팥죽’은 말바우시장에서 가장 먼저 생긴 팥죽집이다. 본래 말바우시장에서 유리 가게에 이어 가방 가게를 운영했는데 손수레를 끌고 시장 할머니들을 상대로 팥죽을 팔던 어느 상인을 본 아내 공남 씨가 아이디어를 얻어 본격적으로 팥죽 전문점을 열게 됐다.
직접 빚은 새알심이 팥죽의 감칠맛을 더하는 동지죽
고인섭·구순덕 부부가 운영하는 ‘옛○팥죽’은 분식점과 호프 등을 운영했지만 번번이 실패했고, 마지막으로 도전하겠다며 100만 원으로 차린 가게가 지금의 팥죽집이라고 한다. ‘미○팥죽’은 김춘이 씨가 2004년부터 시작한
팥죽집으로 가장 규모가 크다.
매일 새벽 직접 팥을 삶아 팥앙금을 만든다.
팥죽 전문점답게 이들이 모두 내세우는 메뉴는 ‘팥죽’과 ‘동지죽’이다. 팥죽에는 쫄깃한 면발의 칼국수가 들어 있고, 동지죽에는 몰캉몰캉한 새알심이 들어 있다. 전부 맛과 정성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팥죽을 먹으러 일부러 말바우시장까지 찾아오는 손님들을 생각하면 매일 새벽 맨손으로 팥을 씻어 불리고, 불린 팥을 솥에 넣어 팔팔 끓이고, 팥죽에 들어갈 새알심을 빚거나 칼국수면을 반죽해 뽑는 일련의 과정이 전혀 고단하지 않다.
푸짐한 양의 칼국수 덕분에 한 그릇만 먹어도 배가 부르다.
손맛이 다르기에 팥죽 맛도 모두 다르다. 맛집 순례하듯 가게를 돌아보며 ‘최애(가장 좋아하는)’ 팥죽집을 찾는
재미도 쏠쏠하다. 한 끼에 5,000원이면 대접 한가득 푸짐한 팥죽을 맛볼 수 있다니 요즘 세상에 흔하지 않은 인심이다. 말바우시장은 매달 2, 4, 7, 9일로 끝나는 날이면 정기적으로 시장이 서는데 팥죽집은 장날이 아니어도 매일 문을 연다. 마치 배가 고프고 정이 그리울 때마다 언제든지 찾아갈 수 있는 푸근한 고향집 같다.
국립5·18민주묘지의 5·18민중항쟁추모탑
국립5·18민주묘지의 추념문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운정동)에 자리한 국립5·18민주묘지는 5·18민주화운동의 정신과 의미를 기념하기 위해 1997년 5월 조성한 국립묘지다.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 전국 확대에 맞서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 동안 진행한 5·18민주화운동 당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수호하다가 희생된 광주시민과 학생 투사가 영면하고 있다. 국립5·18민주묘지는 크게 민주광장, 참배광장, 역사광장, 5·18추모관으로 나뉘며 높이 40m의 석조탑인 5·18민중항쟁추모탑은 오월 영령이 새 생명으로 부활하기를 염원하며 건축했다.
호남지역의 첫 번째 박물관인 국립광주박물관
고대 신라와 가야 시대의 장송 의례에 사용한 상형토기, 토우장식토기
국립광주박물관은 호남지역의 첫 번째 박물관이자 광복 이후 대한민국이 지은 최초의 지역 국립박물관이다. 1976년 수중 발굴한 신안 해저 문화유산을 비롯해 광주와 호남지역의 문화유산을 널리 알리고자 1978년 12월 6일 개관했다. 1층 아시아도자문화실과 2층 역사문화실을 통해 선사시대의 유물에서 고려와 조선 시대의 청자와 백자, 아시아의 도자기를 전시한다.
국내 최초 공립미술관인 광주시립미술관
대한민국 민중미술가 신학철의 작품
광주광역시가 운영하는 광주시립미술관은 지역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문을 연 국내 최초 공립미술관이다. 1992년 8월 1일 개관해 1995년 창설한 광주비엔날레의 초석을 닦는 데 크게 일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주
시립미술관은 총 6개 전시실을 중심으로 어린이미술관, 야외공연장, 문화센터, 도서자료실, 세미나실, 카페를
갖췄다.
〈당일 여행 코스〉
말바우시장→국립광주박물관→광주시립미술관 → 국립5·18민주묘지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말바우시장→광주솔로몬로파크→국립5·18민주묘지
둘째 날 / 국립광주박물관→광주시립미술관→광주역사민속박물관
여행정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말바우시장
-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시립미술관
○ 운영정보
[국립광주박물관]
- 운영시간 : 10:00~18:00 *30분 전 입장 마감
- 휴무 :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4월·11월 첫 번째 월요일
- 요금 : 무료
[광주시립미술관]
- 운영시간 : 10:00~18:00 *30분 전 입장 마감
- 휴무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전시작품 교체 등에 따른 임시 휴관일 별도 공지
- 요금 : 무료(전시별 상이)
[국립5·18민주묘지]
- 운영시간 : 09:00~18:00(어린이체험학습관 09:00~17:00) *30분 전 입장 마감
- 휴무 : 연중무휴
- 요금 : 무료
○ 문의 전화
-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관광 062)410-8000
- 말바우시장 062)262-4082
- 국립광주박물관 062)570-7000
- 광주시립미술관 062)613-7100
- 국립5·18민주묘지 062)268-5189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광주, 센트럴시티터미널에서 광주행이 10~30분 간격으로 운행(01:00~02:00, 05:30~24:00), 약 3시간 20분 소요. 유스퀘어 광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광주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까지 도보 약 2분 이동, 농어촌2-1·농어촌2-2·송암47·일곡38·문흥39·518 버스 이용, 말바우시장 정류장에서 하차, 말바우시장까지 도보 약 4분 소요
* 문의 : 센트럴시티터미널(호남선) 02)6282-0114, 유스퀘어 광주종합버스터미널 062)360-8114
[기차] 서울-광주, 서울역·용산역에서 광주송정역·광주역까지 10~30분 간격으로 운행(05:08~22:23), 약 2시간 소요. 광주역 정류장·광주역육교 정류장까지 도보 약 4분 이동, 농어촌2-1·농어촌2-2·농어촌322·농어촌322-1·송암47·두암81·금남55·518 버스 이용, 말바우시장 정류장에서 하차, 말바우시장까지 도보 약 4분 소요
* 문의 : 레츠코레일 1544-7788
○ 자가운전 정보
경부고속도로→천안JC→남천안IC→논산천안고속도로→논산JC→호남고속도로→말바우시장
○ 숙박 정보
- 호텔 더스팟 : 북구 앰코로 32, 062)971-1362
- 두바이호텔 : 서구 상무번영로 47, 062)373-0700
- 다솜채 한옥스테이 : 광산구 내상로51번길 27, 070-8831-7700
○ 식당 정보
- 매일팥죽 : 팥죽·동지죽, 북구 동문대로85번길 49, 062)269-9665
- 옛날팥죽 : 팥죽·동지죽, 광주 북구 동문대로 93, 062)267-9005
- 미성팥죽 : 팥죽·동지죽·바지락칼국수·수제비, 북구 동문대로 83-1, 062)266-8187
○ 주변 볼거리
- 무등산
- 솔로몬로파크
※ 위 정보는 2025년 2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글 : 장보영 (여행작가)
사진 : 장보영 (사진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