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후분양제도의 필요성이 처음 제기되었으나 (참여정부) 건설업계의 반발로 무산되었습니다. 이명박정부 박근혜정부는 모르는척 했습니다. 현 정부는 후분양제도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건설업계와 언론은 계속 안좋은 제도라고 얘기합니다. 왜일까요? 후분양제를 실시하면 생산자와 소비자 중 누가 이익일까요? 재테크 카페에는 건설업자와 부동산업자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IFRS15와 관련있습니다 .수주산업 전반이 해당됩니다만,지금까지 선분양으로 계약.분양 하면 수익으로 인식되어진것이 안되고 IFRS15는 계약이 완료되어 잔금내고 소유권이 이전되어야 수익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후분양으로 할 수 밖게 없고 IFRS9의적용으로 지금까지 분식회계가 가능 했지만 원자재도 공개 ,회계를 투명하게 하는것입니다.앞으로는 철근을 빼먹는 일은 없을겁니다.건설사 장부를 전세계가 들려다보고 서로 믿고 투자하자라는 즉 글러벌화 돼는거죠..2016년 부터 2017년 분양은 터무니 없는 고분양이였죠.집도 30년 수명의 물건에 불과합니다.구글에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 을 치고
첫댓글 갸들이 불리한 이야기를 하겠어요. 반대로 생각하면 되죠. 비싸면 구매안하면 됩니다.
이리저리 휘둘리는 건 인생 좀 더 살면 되는 풀리는 문제입니다. 그 동안에 책 좀 많이 읽으시면 충분합니다.
조언감사합니다
회원님 제산은 회원님이 지키셔야지요,누구의 말도 믿지 마세요 ,다만 남에 말은 참고 하고 의심하고 출처을 확인하고 시간을 갇고 누군가가 빨리하라고 하는것은 뭔가가 숨어있지않을까요 제 경험으로는 돈 가진자가 갑입니다.
~세상은 호구를 찾는다~
2003년 후분양제도의 필요성이 처음 제기되었으나 (참여정부) 건설업계의 반발로 무산되었습니다. 이명박정부 박근혜정부는 모르는척 했습니다. 현 정부는 후분양제도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건설업계와 언론은 계속 안좋은 제도라고 얘기합니다. 왜일까요? 후분양제를 실시하면 생산자와 소비자 중 누가 이익일까요? 재테크 카페에는 건설업자와 부동산업자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김정훈 정답 ~!!
소비자가 이익이겠죠..
냉철히 판단해야겠네요
재테크카페서 그런걸 왜 물어요ㅋㅋ 재테크 카페서 집값 내린단말 한적 있을까요?ㅎㅎ
그들은 이미 답이 정해져있죠ㅋ
말이필요없어요!
바젤3체제를공부하면
모든것이 이해됩니다.
즉 모든회계가 투명하게 선진국방식으로바뀝니다.
공부 더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IFRS15와 관련있습니다 .수주산업 전반이 해당됩니다만,지금까지 선분양으로
계약.분양 하면 수익으로 인식되어진것이 안되고 IFRS15는 계약이 완료되어 잔금내고 소유권이 이전되어야 수익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후분양으로 할 수 밖게 없고 IFRS9의적용으로 지금까지 분식회계가 가능 했지만 원자재도 공개 ,회계를 투명하게 하는것입니다.앞으로는 철근을 빼먹는 일은 없을겁니다.건설사 장부를 전세계가 들려다보고 서로 믿고 투자하자라는 즉 글러벌화 돼는거죠..2016년 부터 2017년 분양은 터무니 없는 고분양이였죠.집도 30년 수명의 물건에
불과합니다.구글에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 을 치고
다운받아 읽어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네 감사합니다
다운받아 더 깊이 공부해보겠습니다
잠시 기다려 보세요. 돈을 꼭 쥐고서요.돈이 문제지, 선분양 , 후분양은 그닥 걱정 아닙니다.
집이라는 상품이 많아지고 선택의 폭이넓어지면 가격은 그닥 걱정이 아닙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이 얼마나 있는가 문제지. 잠시 숨고르기 하세요.
네 숨고르기 시점이 곧 도입되는 듯 하네요
분위기가 1~2주 사이에 많이 달라진듯 해요
전세 안나간다는 글들도 타카페서 많이 보이네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방사능ㅜㅜ
우리 아이들은 어찌해야하나요ㅜㅜ
물건을 보고 사는게 맞지, 샘플만 보고 사는게 정말 이상한거죠.
만원짜리도 이리보고 저리보고 하는데 인생에서 가장 큰 지불을 하는 건데.
맞아요.
이미 대출 받아 거금들여 산사람들이 문제지요.
대출이 문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