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말씀: 아모스 7:10-17】
10 때에 벧엘의 제사장 아마샤가 이스라엘의 왕 여로보암에게 보내어 이르되 이스라엘 족속 중에 아모스가 왕을 모반하나니 그 모든 말을 이 땅이 견딜 수 없나이다
11 아모스가 말하기를 여로보암은 칼에 죽겠고 이스라엘은 반드시 사로잡혀 그 땅에서 떠나겠다 하나이다
12 아마샤가 또 아모스에게 이르되 선견자야 너는 유다 땅으로 도망하여 가서 거기에서나 떡을 먹으며 거기에서나 예언하고
13 다시는 벧엘에서 예언하지 말라 이는 왕의 성소요 나라의 궁궐임이니라
14 아모스가 아마샤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나는 선지자가 아니며 선지자의 아들도 아니라 나는 목자요 뽕나무를 재배하는 자로서
15 양 떼를 따를 때에 여호와께서 나를 데려다가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기를 가서 내 백성 이스라엘에게 예언하라 하셨나니
16 이제 너는 여호와의 말씀을 들을지니라 네가 이르기를 이스라엘에 대하여 예언하지 말며 이삭의 집을 향하여 경고하지 말라 하므로
17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기를 네 아내는 성읍 가운데서 창녀가 될 것이요 네 자녀들은 칼에 엎드러지며 네 땅은 측량하여 나누어질 것이며 너는 더러운 땅에서 죽을 것이요 이스라엘은 반드시 사로잡혀 그의 땅에서 떠나리라 하셨느니라
【말씀 나눔】
세 번째 다림줄 재앙 환상 이후에 벧엘의 선지자 아마샤와 아모스 선지자의 논쟁이 벌어집니다. 아마샤는 여로보암 2세에게 아모스가 왕이 칼에 죽고 이스라엘은 사로잡혀갈 것이라 말한다면서, 아모스의 행위가 반역에 해당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아모스 선지자는 하나님께서 여로보암의 집을 치실 것이라고 했지, 여로보암이 칼이 죽는다는 말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적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아마샤가 직접적으로 왕의 죽음을 언급하는 것은 북이스라엘은 모반으로 인해 왕조가 바뀌는 일이 빈번하였기 때문입니다. 예후 왕조도 모반으로 세워졌습니다. 따라서 모반에 대해서는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마샤는 이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종교적인 문제를 정치적인 문제로 비화하여 그의 언행을 정치적인 반란으로 말하며 아모스 선지자를 모함하고 있습니다.아마샤는 아모스 선지자가 전한 말로 인해서 이스라엘이 견딜 수 없다고 말합니다. 실상은 벧엘의 선지자들이 이스라엘을 죽음으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13절에, 벧엘에 대해 이는 왕의 성소요 나라의 궁궐임이니라 고 표현합니다. 벧엘에 있는 성소가 하나님의 성소가 아니라 왕의 성소라고 표현합니다. 벧엘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의식은 하나님이 아닌 왕을 위한 것입니다. 애초에 여로보암 1세가 벧엘과 단에 금송아지를 세운 목적도 왕권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다 예루살렘으로 가는 것을 막아 자신의 왕권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스라엘의 모든 제의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일에 실패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의 제사를 받지 않으신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형식은 하나님이 지시하신 절기의 모습이지만 실제는 왕권을 지키기 위한 행사였을 뿐이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는 벧엘의 제사장 아마샤의 반응을 기록하고 있지만, 아모스 선지자의 예언을 접하는 북이스라엘 백성들의 일반적인 반응이었을 것입니다. 아마샤는 아모스 선지자에게 선견자야 너는 유다 땅으로 도망하여 가서 거기에서나 떡을 먹으며 거기에서나 예언하라고 말합니다. 아마샤는 선지자를 뜻하는 ‘나비’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선견자라고 번역된 ‘호제’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은연중에 아모스 선지자를 깔보고 비웃는 것입니다.
아마샤는 아모스 선지자가 생계를 위해서 이스라엘에서 예언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유다로 건너가서 양식을 위한 예언 활동을 하고 벧엘에서는 절대 하지 말라고 협박합니다.
이에 아모스 선지자는 자신의 예언 활동이 양식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님을 밝힙니다. 그는 목자이며 뽕나무를 재배하는 자로서 예언 활동을 하지 않아도 양식을 충분이 얻을 수 있는 직업이 있으며, 선지자도 선지자의 제자도 아니지만, 하나님께서 부르셔서 이스라엘에 예언하라는 명령에 따라 말씀을 전하고 있음을 명확히 합니다.
그리고 자신을 대적하는 아마샤 제사장을 향해 그가 받을 심판을 예언합니다.
17절 말씀 다시 보겠습니다.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기를 네 아내는 성읍 가운데서 창녀가 될 것이요 네 자녀들은 칼에 엎드러지며 네 땅은 측량하여 나누어질 것이며 너는 더러운 땅에서 죽을 것이요 이스라엘은 반드시 사로잡혀 그의 땅에서 떠나리라 하셨느니라
아마샤 제사장은 아모스를 대적하였습니다. 아모스를 대적한다는 것은 곧 아모스를 이스라엘로 보내신 하나님을 대적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 결과 그는 더러운 땅에서 죽게 되고, 그의 아내는 성읍에서 창녀가 될 것이라 말합니다. 제사장인 그에게 가장 치욕적인 결과가 아닐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아마샤의 자녀들은 칼에 죽임을 당합니다. 아마샤 제사장의 가문은 완전히 무너지게 됩니다. 아마샤 제사장이 북이스라엘의 종교지도자를 대표한다고 본다면, 아마샤의 멸망은 곧 이스라엘의 멸망을 상징한다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모스 선지자의 예언에도 회개하지 않고 오히려 대적했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포로로 끌려가게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언약 백성이었지만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지 않으므로 결국은 하나님의 원수가 되어서 약속의 땅에서 쫓겨나는 결과를 마주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아모스 선지자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하나님의 심판을 일관되게 선포하고 있는 것을 볼 때, 각성하고 회개하여야 했습니다. 그들이 아모스 선지자를 겁박하고 끝내 추방하여서 이후 아모스 선지자가 북이스라엘 지역에서 예언 활동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이 보내신 참된 선지자를 추방함으로 인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온전히 분별하지 못하고, 하나님께 회개하여 구원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이 시대도 아마샤와 같은 사람들이 득세하고 아모스 선지자와 같은 사명자들은 어려움을 당하고 있습니다. 매 순간 말씀에 붙들린 삶을 살지 못하면, 아무리 열심히 헌신한다고 하더라도 욕망에 이끌려 다니는 종교인에 불과합니다. 자신의 탐욕을 내려 놓고 오직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삶을 살며 하나님의 부르심에 절대 순종할 때 우리는 아모스 선지자와 같은 순종의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 내 욕심을 따르는 삶을 떠나서 우리의 삶을 통해서 하나님을 보게 되는 참된 예배자의 삶을 살아가는 하루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아마샤와 같이 하나님을 대적하는 이들이 가득한 이 땅에서 아모스 선지자와 같이 의연하고 담대하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사명자의 하루를 살아가는 저와 여러분이 되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하루를 시작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깨닫는 묵상 - 하시깨묵】
1. 어제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결심한 결단과 실천 사항을 생활 속에서 적용한 결과는 어떻게 평가 할 수 있습니까?
2. 오늘 말씀 속에서 발견한 하나님은 어떤 분이며, 말씀에서 깨달은 하나님의 뜻은 무엇입니까?
3. 어제 하루 중에 기억에 남는 사건(일) 한 가지를 기록해 보세요.
그 사건에 대한 나의 마음이 어떤 느낌인지 적어 보세요.
4. 오늘 본문에서 발견한 문제와 어제 기억에 남는 사건은 어떤 유사점을 가지고 있나요?
5. 어제 사건 중에 하나님은 나에게 어떤 행동을 원하셨을까요?
6. 오늘 본문은 나에게 어떤 교훈을 주고 있습니까?
그렇다면 내가 하여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7.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기도문 적기 & 실천 사항 적기
【추천 찬송가】
312장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
【은혜의 찬양】
청지기의 고백 : https://youtu.be/4awCmedBH-4?si=zcn2-3Mi22Pb0xwZ
【새벽예배 영상】
https://youtube.com/live/uLI3T9HyG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