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벨상'과 '삼성호암상'
○ 삼성호암상
소설가 한강(53)이 한국인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자 그가 약 4개월 전 받았던 삼성호암상 평가가 재조명되고 있다.
호암상은 고 이건희 전 삼성회장이 1990년 제정한 것으로 각 분야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주어지는데 한강은 11년 만에 나온 소설가 수상자였다.
호암재단은 지난 5월 31일 열린 ‘2024 삼성호암상 시상식’에서 예술상 부문 수상자로 한강을 선정했다.
호암 예술상은 미술 문학 음악 발레 영화 성악 등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 인사들을 대상으로 하는데, 당시 한강의 수상은 소설가로서는 2013년 신경숙 작가 이후 11년 만이었다.
한강의 호암상이 노벨문학상 수상을 예견한 것 같다는 말이 나오는 건 선정 이유에 있다.
호암재단 측은 “한국 현대사의 고통과 슬픔, 인간 실존에 대한 고민을 작가 특유의 날카롭고 섬세한 시선과 독특한 작법으로 처리했다”며 “미적 승화의 수준까지 끌어낸 이 시대 최고의 소설가”라고 평가했다.
이는 노벨위원회 측 입장과 일맥상통하는데, 스웨덴 한림원은 “한강은 작품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지배에 정면으로 맞서면서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다”며 “육체와 영혼, 산 자와 죽은 자 간의 연결에 대해 독특한 인식을 지니고 시적이며 실험적인 문체로 현대 산문의 혁신가가 됐다”고 설명했다.
한강은 호암상 수상 소감에서 자신의 소설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실’ 역할을 한다는 문학관을 전했다.
그는 “글 쓰는 사람 이미지로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건 고요히 책상 앞에 앉은 모습이지만 사실 저는 걸어가고 있다”며 “먼 길을 우회하고 때론 길을 잃고 시작점으로 돌아오고 다시 걸어 나간다”고 했다.
이어 “혼자 걸어가는 과정이 고립된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어쨌든 저는 언어로 작업하는 사람이고 언어는 결국 우리를 연결해 주는 실”이라며
“아무리 내면적 글을 쓰는 사람이라도 언어를 사용하는 한 그 사람은 세계와 연결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제가 첫 소설을 발표한 지 꼭 30년이 되는 해다. 30년 동안 제가 글쓰기를 통해 사람들과 연결돼 있었다는 게 때론 신기하게 느껴진다”며 “천천히 서두르지 않고 더 먼 길 우회해 계속 걸어가 보려 한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호암상은 이건희 전 회장이 이병철 선대회장의 인재제일 사회공헌 정신을 기려 1990년 제정했다.
과학 공학 의학 예술 사회공헌 등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뤄 글로벌 리더로 인정받는 국내외 한국계 인사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회장이 유일하게 실명으로 기부금을 전달하고, 최근 3년 연속 시상식을 찾아 눈길을 끌기도 했다.
2022년에는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수학계 노벨상’인 필즈상(Fields Medal)을 수상하면서, 2021년 삼성호암상을 받았던 이력이 재조명되기도 했다.
특히 허 준이 교수는 이재용 회장의 제안으로 ‘물리 수학’ 부문을 신설한 이후 처음 배출된 수상자였는데, 때문에 기초과학 인재 육성에 대한 이재용 회장의 안목까지 언급됐다.
그밖에 역대 호암상 수상자 중에도 노벨상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학자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유전체학 연구 분야의 흐름을 주도한 찰스 리 미국 잭슨랩 교수, 나노구조 물질 관련 새 연구 분야를 개척한 유룡 카이스트 특훈교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 등이다.
영화 ‘기생충’으로 아카데미를 휩쓴 봉준호 감독도,예술상 부문을 받은 적 있다.
○ 노벨상(NobelPrize)
알프레드 노벨은 프랑스 여행 중 호텔에 배달된 신문을 보고 깜짝 놀랐다. '죽음의 상인이 사망했다'는 부음이었다. 자신은 멀쩡한데, 신문사에서 잘못 보도한 것이다.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를 비롯해서 총 350개 이상의 특허권과, 폭탄 제조공장 탄약 제조공장을 포함해 90여 개가 넘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었다.
이대로 숨을 거둔다면 발명가라는 명예와 많은 재산은 쓰레기가 될 것이다. 노벨은 호텔에 머물면서, 삶과 죽음에 대해 깊이 생각했다.
인류평화를 위해 만든 다이너마이트가, 살생 무기로 사용되는 것에, 심한 죄의식을 느꼈다. 그래서 노벨은 '죽음의 상인’이 아니라 ’명예로운 상’을 만든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었다.
자신이 역사의 죄인임을 인정하고 속죄의 심정으로, 전 재산을 국가에 헌납했다. 스웨덴 정부에서는 그 기금으로 노벨상을 만들었다.
첫 수상자는 적십자를 창립한 스위스의 앙리 뒤낭이었고, 인도 간디는 노벨 평화상 후보였으나, 수상자 발표 얼마 앞두고 암살당해 받지못했다. 김대중 대통령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일본인 수상자는 23명, 중국과 대만인 수상자는 3명이 나왔고, 파키스탄과 아제르바이잔에서도 수상자가 나왔다.
○ 지능지수에서
스웨덴은 97, 유태인은 94, 한국은 106. 세계 최고 지능지수인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수상자가 한 명밖에 안 나왔다. 금년 제 124회 노벨문학상을 받는 소설가 '한강'이 두번째다.
○ 어떤 사람으로 기억될 것인가?
과학자인 Watt의 어린 딸은, 물이 끓자 주전자 뚜껑이 요동치는 것을 보았다. 이게 증기기관을 제작한 동기이다. 니트로 그리세린은 유동성이 큰 액체라, 옮길때 출렁거리면 폭발을 한다.
노벨의 아우가 그리세린을 강철 탱크에 넣고 옮기다가, 폭발해서 변을 당했다.
노벨의 딸이
아빠!
그리세린에 톱밥을 넣어보세요!
톱밥 대신 규조토를 넣어 안전하게 만든 것이 다이나마이트다.
2천 년 전에 만들어진 이집트 수로의 길이는 17km다. 이 수로를 만들기 위해, 3만 명이 11년간 일을 했다.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면, 100명 정도 인원으로 10개월이면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