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구목옹(芻狗木翁)
추구(芻狗; 제사 때 쓰는 풀로 엮어 만든 개)와 목옹(木翁; 나무로 깎아 만든 인형)이라는 뜻으로, 쓸모가 다해 버려지는 물건을 이르는 말이다.
芻 : 꼴 추(艹/6)
狗 : 개 구(犭/5)
木 : 나무 목(木/0)
翁 : 늙은이 옹(羽/4)
추구(芻狗)는 제사 때 쓰는 풀로 엮어 만든 개다. 목옹(木翁)은 나무로 깎아 만든 인형이다. 추구(芻狗)는 진설하기 전에는 상자에 담아 수놓은 비단으로 감싸두었다가 진설을 마치고 나면 길 가던 자가 그 머리와 등을 밟고, 땔감 줍는 자가 가져다가 불을 때기도 한다. 목옹(木翁)은 아이들이 장난감으로 가지고 놀며 애지중지하다가 싫증나면 길에다 내던져 버린다.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이학사의 시에 차운하여 보내다(次韻李學士再和籠字韻詩見寄)'의 5·6구는 이렇다. '옛사람 묵은 자취 추구(芻狗)로 남아 있고, 지난날의 뜬 영화는 목옹(木翁)을 웃는다네(古人陳迹遺芻狗, 往日浮榮笑木翁).'
또 '하산하라는 데 대해 감사하는 글(謝下山狀)'에서도 '삼가 생각하건대 저는 절집의 쇠잔한 중이요 선대 조정의 묵은 물건으로, 형세는 제사 마친 추구(芻狗)와 같고 모습은 놀다 버린 목옹(木翁)과 한가지입니다'라고 했다.
두 글에 모두 추구(芻狗)와 목옹(木翁)이 대구로 등장한다. 추구는 제사 때 쓰는 풀로 엮어 만든 개다.
장자 천운(天運)에서 '추구는 진설하기 전에는 상자에 담아 수놓은 비단으로 감싸두었다가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이 재계할 때 모셔 간다. 진설을 마치고 나면 길 가던 자가 그 머리와 등을 밟고 땔감 줍는 자가 가져다가 불을 때기도 한다. 만약 되가져가 상자에 담아 수놓은 비단에 싸두고서 그 아래에서 생활하게 되면 악몽을 꾸거나 반드시 자주 가위눌리게 된다'고 한 바로 그 물건이다.
추구는 제사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건이다. 소중하게 간직하다 제사만 끝나면 길에다 던져서 일부러 짓밟고 땔감으로 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추구에 붙은 귀신이 방자를 해서 산 사람을 괴롭힌다고 믿었다.
목옹은 나무로 깎은 인형이다. 아이들이 장난감으로 가지고 놀며 애지중지하다가 싫증 나면 길에다 내던져 버린다.
서거정(徐居正)도 '춘일서회(春日書懷)'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공명이야 필경은 추구와 다름없고, 신세는 날아 솟는 종이 연에 부끄럽다(功名畢竟同蒭狗, 身世飛騰愧紙鳶).'
여기서는 추구에 지연(紙鳶), 즉 종이 연을 대구로 썼다. 종이 연이 허공 높이 솟아 활기차게 난다. 그러다가 연줄이 끊어지면 끝 모른 채 날려가서 자취를 알 수 없다. 이 또한 액막이용이다.
필요할 때는 너밖에 없다며 치켜세우다가 볼일을 다 보고 나면 길에다 내던져서 일부러 짓밟고 땔감으로 태워버린다.
혹시 가위에 눌리거나 동티가 날까 봐 더 못되게 굴어 결국 죽음으로까지 내몬다. 권력이 무섭다. 인간이 참 무섭다.
🔘 나란히 앉아서 팔꿈치로 옆구리 치는 그들은 무슨 관계?
어떤 양반이 '그와는 친밀한 관계가 아니다'라고 주장 하였는데, 나란히 앉아서 팔꿈치로 그의 옆구리를 치는 동영상이 공개가 되었다.
그러면 그들의 사이는 무슨 관계인가? 팔꿈치로 옆구리 쳐서 혼내주는 모습인가? 아니면 그의 발언이 자기를 도와주는 말이라고 고마움을 표하는 모습인가?
몇 년전에 발표된 직종별 평균 수명의 최상위에 정치인이 있었다. 윗사람 눈치보며 국사(國事)를 하시느라 스트레스가 높으리라 생각했는데 이외의 순위였다.
그런데 이제 정치인의 평균 수명이 높은 이유를 알거만 같다. 우리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많이 보아왔던 장면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반복되고 있다.
그들은 일이 닥치면 '모른다', '기억나지 않는다'라고 말할 수 있는 '뻔뻔함'이란 최상의 무기를 가졌다. 거기에 또 다른 방법을 가졌으니 그들은 추구(芻狗)와 목옹(木翁)을 잘 다룬다.
필요할 때는 너밖에 없다며 치켜 세우다가 볼일을 다 보고 나면 길에다 내던져서 일부러 짓밟고 땔감으로 태워버린다. 혹시 가위에 눌리거나 동티가 날까 봐 더 못되게 굴어 결국 죽음으로까지 내몬다. 권력이 무섭다. 인간이 참 무섭다.
▶️ 芻(꼴 추)는 상형문자로 刍(추)의 본자(本字), 蒭(추)는 통자(通字), 刍(추)는 간자(簡字)이다. 풀을 베어 묶은 단을 손에 들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그래서 芻(추)는 ①꼴(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 ②꼴꾼(말이나 소에게 먹일 꼴을 베는 사람) ③짚(이삭을 떨어낸 줄기와 잎) ④풀 먹는 짐승 ⑤기르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초야의 언론이나 천한 사람의 말 또는 자기 의견을 낮추어 이르는 말을 추의(芻議), 마소에게 먹이는 꼴과 짚을 추고(芻稾), 마소에게 먹이는 꼴과 콩을 추두(芻豆), 말에게 꼴을 먹임을 추마(芻馬), 까치를 달리 이르는 말을 추미(芻尾), 허수아비를 달리 이르는 말을 추인(芻人), 마소가 먹을 꼴과 군대가 먹을 양식을 추향(芻餉), 무식하고 비천한 사람의 언어를 추언(芻言), 쓸데없이 되어 버린 물건을 비유한 말을 추구(芻狗), 꼴과 군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을 추량(芻糧), 꼴과 땔나무를 이르는 말을 추요(芻蕘), 가축을 기르는 일 또는 썩 잘차린 음식을 이르는 말을 추환(芻豢), 소나 염소 따위가 한번 삼킨 먹이를 다시 입속으로 되올려 씹어서 삼키는 일을 반추(反芻), 땔나무와 꼴을 시추(柴芻), 짚으로 만든 허수아비를 쇠도리깨로 치는 일을 편추(鞭芻),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쏨을 기추(騎芻), 고루하고 식견이 없는 촌스러움을 이르는 말을 추요지설(芻蕘之說), 꼴을 베고 가축을 치는 아이를 추동목수(芻童牧豎), 소 궁둥이에 꼴 던지기라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은 가르쳐도 소용이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우후투추(牛後投芻) 등에 쓰인다.
▶️ 狗(개 구)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개사슴록변(犭=犬; 개)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句(구)로 이루어졌다. ❷형성문자로 狗자는 ‘개’나 ‘강아지’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狗자는 犬(개 견)자와 句(글귀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句자는 말뚝에 줄이 엮여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개를 뜻하는 글자로는 이미 犬자가 있기 때문에 狗자가 따로 만들어진 것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다.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에서는 이에 대해 큰 개는 犬으로 불렀고 작은 개는 狗라고 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의 狗자는 이와는 관계없이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개’나 ‘강아지’를 뜻하고 있다. 그래서 狗(구)는 ①개(작은 개) ②강아지 ③범의 새끼 ④곰의 새끼 ⑤개새끼(행동이 나쁜 사람 비유) ⑥별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개고기를 구육(狗肉), 개의 간을 구간(狗肝), 개장국을 구장(狗醬), 바닷 장어를 구어(狗魚), 너구리를 구환(狗獾), 개의 목에 다는 방울을 구황(狗鎤), 개의 가죽을 구피(狗皮), 개의 쓸개를 구담(狗膽), 개가 앓는 돌림병을 구역(狗疫), 개고기를 쪄서 만든 음식을 구증(狗蒸), 개와 돼지를 구체(狗彘), 개를 통째로 진하게 고아 낸 국물을 구고(狗膏), 개를 잡음을 구도(狗屠), 개가 짖음을 구폐(狗吠), 개와 말이라는 뜻으로 신하가 임금에게 자신을 낮추어 이르는 말을 구마(狗馬), 개와 쥐의 뜻으로 인격이 비천한 사람을 구서(狗鼠), 개나 말이 그 주인에게 다하는 충성심이라는 구마지심(狗馬之心),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는 뜻으로 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어진 신하가 모이지 않음을 구맹주산(狗猛酒酸), 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쓸 만한 인격자가 없어 자질이 부족한 사람을 고관에 등용한다는 구미속초(狗尾續貂), 개밥의 도토리라는 속담의 한역으로 따돌림을 당하거나 외톨이가 되는 것을 구반상실(狗飯橡實) 등에 쓰인다.
▶️ 木(나무 목)은 ❶상형문자로 땅에 뿌리를 박고 선 나무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무를 뜻한다. ❷상형문자로 木자는 나무의 뿌리와 가지가 함께 표현된 상형문자이다. 땅에 뿌리를 박고 가지를 뻗어 나가는 나무를 표현한 글자라 할 수 있다. 중·고등용 상용한자에서는 木자가 부수로 쓰인 글자가 많다. 쇠를 능숙하게 다루기 이전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가공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 것이 나무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래서 나무와 관련된 한자를 보면 그 시대를 살아갔던 사람들이 나무를 어떻게 활용했고 인식했는지를 엿볼 수 있다. 木자는 나무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부수로 쓰일 때는 대부분이 나무의 종류나 상태에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木(목)은 (1)무명으로 된 것 (2)오행(五行)의 하나. 방위(方位)로는 동쪽, 철로는 봄이다. 빛으로는 푸른색으로 가리킨다. (3)어떤 명사 앞에 쓰여 나무로 된 무명으로 된의 뜻을 나타내는 말 (4)성(姓)의 하나 (5)목요일(木曜日) (6)팔음(八音)의 한 가지이다. 지어(枳敔)와 같은 종류의 나무로 만든 일종의 마찰(摩擦) 악기 등의 뜻으로 ①나무 ②목재(木材) ③널(시체를 넣는 관이나 곽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관(棺) ④오행(五行)의 하나 ⑤목성(木星; 별의 이름) ⑥목제 악기 ⑦형구(刑具; 형벌을 가하거나 고문을 하는 데에 쓰는 여러 가지 기구) ⑧무명(무명실로 짠 피륙) ⑨질박하다(質樸;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⑩꾸밈이 없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수풀 림/임(林), 수풀 삼(森), 나무 수(樹)이다. 용례로는 나무 인형을 목상(木像) 또는 목우(木偶), 나무그릇을 목기(木器), 나무 도장을 목도장(木圖章), 나무를 다루어서 물건을 만들어 내는 일을 목공(木工), 나무와 풀을 목초(木草), 나무토막으로 만든 베개를 목침(木枕), 나무를 다루어 집을 짓거나 물건을 만드는 일로 업을 삼는 사람을 목수(木手), 술청에 목로를 베풀고 술을 파는 집 목로주점(木壚酒店),나무나 돌과 같이 감정이 없는 사람을 비유하여 목석(木石), 나무에도 돌에도 붙일 데가 없다는 목석난득(木石難得), 나무나 돌로 만든 사람의 형상을 목우석인(木偶石人), 나무 인형에 옷을 두른 것이라는 목우인의(木偶人衣), 나무 껍질이 세 치라는 목피삼촌(木皮三寸) 등에 쓰인다.
▶️ 翁(늙은이 옹)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깃 우(羽; 깃, 날개)部와 음(音)을 나타내며 동시에 목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公(공, 옹)으로 이루어졌다. 새의 목덜미의 털의 뜻이다. 公(공)과 음(音)이 통하는 것을 빌어 노인(老人)의 뜻으로 쓰인다. ❷형성문자로 翁자는 '늙은이'나 '어르신'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翁자는 公(공평할 공)자와 羽(깃 우)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公자는 사물을 반으로 나눈 모습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공, 옹'으로의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翁자는 본래 새의 '목털'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하지만 후에 '노인'이나 '아버지'를 존칭하는 말로 가차(假借)되면서 본래의 의미는 더는 쓰이지 않고 있다. 翁자가 '노인'을 뜻하게 된 것은 가늘고 하얀 새의 목털이 나이가 지긋한 노인의 머리칼을 연상시켰기 때문이다. 그래서 翁(옹)은 (1)노인(老人)의 이름이나 호 아래에 붙이어 존경(尊敬)을 나타내는 말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늙은이(노인의 존칭) ②어르신네 ③아버지 ④장인(丈人) ⑤시아버지 ⑥새의 목털 ⑦성대(盛大)한 모양 ⑧기운이 오르다 ⑨파르스름한 빛깔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늙을 로(老)늙을 기(耆),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사위 서(壻)이다. 용례로는 늙은 스승을 옹사(翁師), 임금의 후궁에서 난 왕녀를 옹주(翁主), 아버지의 돈을 옹전(翁錢), 장인과 사위를 옹서(翁婿), 늙은 남자와 늙은 여자를 옹구(翁嫗),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옹고(翁姑), 노인을 쇠옹(衰翁), 집 주인을 가옹(家翁), 아버지가 아들에게 네 아비, 또는 이 아비라는 뜻으로 자기를 가리켜 일컫는 말을 내옹(乃翁), 늙은 남자의 존칭을 노옹(老翁), 술 취한 노인을 취옹(醉翁), 대머리진 늙은이를 독옹(禿翁), 돈 있는 늙은이를 부옹(富翁), 산속에 사는 늙은이를 산옹(山翁), 고기잡이하는 늙은이를 어옹(漁翁), 늙은 신선을 선옹(仙翁), 시골 늙은이를 야옹(野翁), 늙은이를 높여 이르는 말을 존옹(尊翁), 촌에서 사는 늙은이를 촌옹(村翁), 아내의 아버지를 악옹(岳翁), 자기의 아버지를 아옹(阿翁), 외할아버지를 외옹(外翁), 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이라는 뜻으로 세상만사는 변화가 많아 어느 것이 화가 되고 어느 것이 복이 될지 예측하기 어려워 재앙도 슬퍼할 게 못되고 복도 기뻐할 것이 아님을 이르는 말 또는 인생의 길흉화복은 늘 바뀌어 변화가 많음을 이르는 말을 새옹지마(塞翁之馬), 한때의 이利가 장래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을 이르는 말을 새옹화복(塞翁禍福), 한때의 이利가 장래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을 이르는 말을 새옹득실(塞翁得失),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하는 말을 여옹침(呂翁枕), 한때의 이利가 장래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을 이르는 말을 새옹위복(塞翁爲福), 고기 잡는 어르신의 이익이란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을 보는 경우를 이르는 말을 어옹지리(漁翁之利), 갈매기를 좋아하는 바닷가 노인이라는 뜻으로 친하게 지내던 새도 막상 잡으려고 하면 그것을 알고 가까이하지 않는다는 데서 야심이나 위험을 알아차리면 누구라도 접근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을 해옹호구(海翁好鷗) 등에 쓰인다.